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 (OSP) 체험에 대한 혼합연구 / A Mixed Method Research on Open Studio Process (OSP)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미술치료사
미술작업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 (Open Studio Process: OSP)
자기효능감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
혼합연구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이하 OSP)가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미술치료사들이 체험한 OSP 의미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혼합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미술치료사들은 이론과 체험을 통해 미술 매체의 치료적 기능과 상호작용을 습득하지만, 미술작업에 대한 경험 없이 이를 안다고 할 수 없다. 미술치료는 미술작업의 직접적인 경험이 필수적이다. 매체와 미술작업에 대한 치료적 기능을 경험을 통해 체득한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사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가지고 내담자를 만나게 된다. OSP란 마치 화가의 작업실에서 작업하듯이 자유롭고 창의적인 미술작업과 글쓰기가 포함된, 개인 성장을 위한 자기 주도성과 결정력을 가지는 과정이다. OSP는 의도와 목적(Intention), 미술작업(Art making), 바라보며 글쓰기(Witness Writing), 소리 내어 읽기(Reading)와 간단한 나눔(Discussion)의 5가지 구조를 지키며 미술작업이 진행된다(Allen, 2005).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에게 필요한 미술 방식을 OSP로 제공하고, 이 경험이 미술치료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 자기돌봄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OSP의 효과성을 비교 검증하고, 미술중재인식 변화를 확인하는 양적 연구 접근과 미술치료사들이 경험한 OSP 체험이 어떠한지 체험 연구의 본질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혼합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술치료 전공 석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로 모집된 40명을 실험집단, 통제집단 두 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비대면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통해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120분, 총 6회의 OSP를 진행했으며 통제집단에는 OSP가 제시되지 않았다. 연구자는 실험집단에 OSP 시작 전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척도(CAT-SES),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척도(K-SCAP)를 실시하였고 6회의 OSP를 마친 후에 동일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OSP 제공 없이 실험집단과 비슷한 시기, 동일한 척도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하여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미술중재인식(ABI) 질문지는 OSP에 참여한 13명에게 사전·사후 실시 후 집단 내 비교하였다. OSP 체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OSP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사후 인터뷰 녹취 파일, 작품 이미지, 글쓰기 자료, 연구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적 연구결과 첫째, OSP 실시 후 실험집단의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제집단과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OSP 실시 후 실험집단의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OSP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미술중재인식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점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질적 연구결과는 총 6개의 상위범주와 총 15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미술치료사의 OSP 체험의 상위범주는,, , 이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는 미술치료사들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작업과 멀어진 미술치료사들이 OSP 체험으로 미술과 관계가 변하였고, 치료에서 도구로 활용하는 미술을 내담자에게 제안하는데 확신을 가지게 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사로서 정체성과 전문성 확립을 위해 중요한 부분이며,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역량과 발달에 미술치료사가 다루는 미술에 대한 경험이 포함되어야 함을 다시 확인하게 되었다. 둘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는 미술치료사들의 자기돌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OSP를 경험한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자기돌봄의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사들은 OSP 체험에서 아무런 언급 없는 수용을 경험하였고, 이는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하며 자신을 돌아보게 해주었다. OSP에서 미술치료사들이 직접 체험한 온전한 수용과 지지의 경험은 임상에서 내담자를 평가하지 않고 존재 그대로 수용하고 함께해주는 치료사의 역할을 생각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체험은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에게 제공하는 물리적, 심리적 환경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역할과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중재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미술 과정 중에 발생하는 느낌과 생각을 인식하게 되었고, 작업 과정 중 자신의 감정 변화와 창의적 표현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사들이 OSP 과정에서 매체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머무르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에 맞닿고 창의적 표현의 즐거움을 경험하고 작업 과정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었음을 질적 분석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미술치료사들이 OSP 체험으로 미술작업 과정에서 재료를 경험하고, 느낌과 생각을 인식하게 된 것은 과정에서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통찰하는 미술이라는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에 대해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는 미술치료 임상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바라보는 미술치료사의 관점과 시각을 넓게 해주었다. 본 연구는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OSP)가 미술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과 체험을 살펴보기 위해 다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혼합연구로 수행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 질적 연구로 진행되어 그 주관적 체험의 본질을 탐색해 온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역량과 관련된 측정 도구를 선별하여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함과 동시에 그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질적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이는 향후 미술치료와 관련한 혼합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술치료사가 미술작업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사의 전문적인 성장과 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pen Studio Process (OSP) on art therapists' self-efficacy, self-care, and art-based-intervention for art therapists, and meaning of OSP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In order to find this out, an intervention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Art therapists learn the therapeutic function and interaction of art media through theory and experience, but they cannot be said to know this without experience in art work. Art therapy requires direct experience of art work. Art therapists who have acquired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edia and art work through experience meet clients with the identity and expertise of an art therapist. OSP is a process of self-direction and determination for personal growth that includes free, creative art work and writing as if working in an artist's studio. Art work proceeds while keeping the five structures of OSP: Intention, Art making, Witness Writing, Reading and Discussion (Allen, 2005). This study aims to provide art therapists with the necessary art methods as OSPs, and to investigate how this experience affects art therapists. To this end, the art therapist's self-efficacy and self-care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o compare the OSP effectiveness, an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change of art-based-intervention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Mixed Research Metho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explore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study of the OSP experience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art therapists who obtained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art therapy, and 20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OSP was conducted once a week, 120 minutes, for a total of 6 times, from June to November 2021 through the online conference program (Zoom), and no OSP was present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performed the Creative Arts Therapist Self-Efficacy Scales (CAT-SES) and Korean Self-Care Assessment for Psychologists (K-SCAP)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OSP started, and the same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completing 6 OSP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pre and post tests at the same time and with the same scale as the experimental group without providing OS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to compare the pre and post tests of the two groups. Art-based-intervention (ABI) questionnaires were compared within groups after pre and post administration of 13 participants in OSP. To find out the meaning of OSP experience, pos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SP participants, and data such as recording files, work images, writing materials, and research journals were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study, first, the Creative Arts Therapist Self-Efficacy Scale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fter OSP was implemented, and the difference in score with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Korean Self-Care Assessment for Psychologist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fter OSP was implemented, but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Art-Based-Intervent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OSP improved, and the scor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6 upper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The upper categories of OSP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are,, , and . The conclusions drawn by combin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SP conducted for art therap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who have moved away from art work have changed their relationship with art through the OSP experience, and have become more confident in suggesting art that can be used as a tool in therapy to clients. This is an important part for establishing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s an art therapist, and it was confirmed again that the experience of art handled by an art therapist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an art therapist. Second, OSP conducted for art therapist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elf-care changes of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experienced unspoken acceptance in the OSP experience, which allowed them to fully focus and reflect on themselves. The full acceptance and support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in the OSP made the role of the therapist who accepted and shared the client as it was without evaluating the client in the clinic. This experience led to a change in the role and perception of the art therapist abou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provided to clients in art therap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S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rt-based-intervention change of art therapists. In particular,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 feelings and thoughts that occurred during the art process and confirmed the change in their emotions and perceptions of creative expression during the work process. The qualitativ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art therapists were able to deeply explore and stay in the medium during the OSP process, touch their emotions, experience the joy of creative expression, and reflect on their work process. The fact that art therapists experienced materials in the art work process through OSP experience and became aware of their feelings and thoughts help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art in art therapy, which is art that explores, expresses, and has insight into themselves in the process. This broadened the art therapist's perspective on the client's art work in art therapy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mixed study using various data to examine the effects and experiences of the OSP on art therapists. While most studies on art therapists have been qualitative research and have explored the essence of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secure objective evidence by selecting measurement tools related to art therapists' professional competenc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gether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researchers who conduct mixed research related to art therapy in the future, and it i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fessional growth and training of art therapists by providing data on how art therapists experience art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