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용 전문성에 따른 뇌파 뮤 리듬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EEG mu rhythm according to dance professionalis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거울 뉴런 시스템
EEG(뇌파)
뮤 리듬
뮤 리듬 비동기화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발레 동작과 품새 동작이 연속적인 동작들로 구성된 영상시청 시 EEG로 두 집단의 뮤 리듬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무용 전문성에 따른 거울 뉴런 시스템의 활성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용 전공자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약 30초의 연속적인 동작들로 구성된 발레 동작 영상 클립과 품새 동작 영상 클립이 무작위 순서로 나오는 영상을 8번 반복 시청 시 EEG로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ioScan ver. 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뮤 리듬(8-13 Hz)을 상대 분석하였다. 모든 도출된 값을 이용해 각 조건별, 집단별로 평균을 계산한 후,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비교 분석했으며 각 전극의 위치마다 2(전공자, 비전공자)집단x 2(발레와 품새) 조건을 반복측정 이원 분산분석 2-Way ANOVA을 이용해 집단별, 조건별 주 효과와 집단과 조건의 상호작용을 확인했다. 연구결과, 전전두엽에 해당 되는 F3, F4 영역에서는 뮤 리듬 비동기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중앙 피질과 두정엽 부분의 C3, C4와 P3, P4 영역에서는 무용 전공자가 발레 동작 영상시청 시에만 뮤 리듬 비동기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전문성에 따라 뮤 리듬 비동기화가 발생하고 거울 뉴런 시스템의 활성화는 관찰자가 그 동작을 충분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신경학적 지표하는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신경 반응이 각각의 빠르며 짧은 움직임뿐만이 아닌 일련의 동작들로 구성된 동작들을 보는 중에도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거울 뉴런 시스템이 단순히 한 가지 단속적인 동작을 ‘이해’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일련의 동작들을 관찰하는 상황에서 공감과 감동을 받는 것까지 관여할 수 있다는 주장들을 지지하는 실증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hen watching a video consisting of continuous ballet and poomsae movements for dance majors and non-majors, the two groups' rhythm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confirm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according to dance expertise. For the dance majors and non-major groups, the ballet movement video clip and Poomsae movement video clip, which consist of continuous movements of about 30 seconds, were measured by EEG when viewed in a random order eight times repeated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BioScanver. 2.0 program to relatively analyze the mu rhythm (8-13 Hz).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for each condition and group using all derived values, we compared it with the SPSS 22.0 program and repeatedly measured 2 (major, non-major) group x 2 (ballet and poomsae) conditions for each electrode location. Two-way ANOVA was used to confirm the main effects and group and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mu-rhythmic asynchrony was not observed in the areas of F3 and F4 corresponding to the frontal lobe. On the other hand, in the areas of C3, C4, P3, and P4 in the central cortex and parietal lobe, mu-rhythm asynchronization was observed only when a dance major watched a ballet movement video. This is the result of supporting a neurological indicative argument that results in mu-rhythmic asynchronism depending on the professionalism and that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reflects that the observer fully understands its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se neural responses were maintained not only during each quick and short motion but also during the viewing of a series of motions. In other words, it can be an empirical data supporting claims that mirror neuron systems can not only "understand" one intermittent motion, but also engage in empathy and emotion in situations where they observe a series of m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