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전 이상범 산수화에 나타난 물(水)과 소(牛)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Water and Cow in the Landscape of paintings of Lee, Sang-Beo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청전
이상범
산수화


한국 근대 회화
상징적 표현
Language
Korean
Abstract
한국 근대 화단은 식민지 지배와 분단의 시대라는 억압과 좌절의 연속인 역사적 부침 속에서 서구의 문화 유입과 전통 화단의 화풍을 유지하고자 하는 정체성의 혼란이 심했던 시기이다. 이러한 근대의 화풍 속에서 우리만의 독자적인 가치체계와 미의식을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노력이 끊임없이 전개되어 왔다.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 1897-1972)의 회화가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우리나라만의 향토적인 민족 정서를 독창적인 회화적 표현양식으로 구현해 내었다는데 있다. 이러한 그의 신선한 시도는 침체 되어 있던 한국 화단에 새로운 활기를 주었다. 한 작가의 작품은 그가 지내온 시간과 공간의 생생한 증거이다. 청전의 회화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재는 평범한 야산, 흐르는 계류, 소를 몰고 가는 농부의 모습 등이다. 농부가 청전 자신의 모습이라면 그가 몰고 있는 소는 영원한 마음의 고향에 대한 향수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나라를 잃고 고향을 빼앗긴 외부의 침탈로부터 영원히 보호받아야 할 영혼의 안식처인 것이다. 본래적인 고향을 그리워하고 지향하는 마음이 소를 몰고 가는 농부의 모습으로 반영되었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잔잔히 흐르는 계류의 물결은 단순히 실경의 묘사가 아닌 평온함과 관조의 모습을 지향하는 청전 내면의 바램인 것이다. 청전의 회화는 자신의 절제되고 맑은 기운의 삶을 통하여 작품과 인품이 하나가 되는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지 감상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그림이 아니라 청전 자신의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은 무의식적 동기를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고 반복되는 회화의 소재는 영원의 고향으로의 회귀, 진정한 자기 자신을 만나기 위한 끊임없는 깨달음의 여정이었다.본 논문은 청전의 회화의 주된 소재로 나타난 물(水)과 소(牛) 표현의 상징성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위・진 남북조 시대이후로 발생한 산수화의 기원과 전개를 알아보고 동양의 삼가(三家) 사상 즉, 유가적(儒家)적, 도가적(道家)적, 선가적(禪家)적 사상에서 물(水)과 소(牛) 표현에 나타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은 동양인의 사유체계가 곧 회화의 소재로 구현됨을 알아보았다. 청전 작품의 물과 관련된 상징성은 시기별로 다르게 표현되어지고 있다. 초창기(1918~1922)는 스승인 안중식(安中植, 1861~1919)과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의 가르침에 충실한 관념적인 표현의 시기였고, 형성기(1923~1953)는 금강산 여행을 통한 실경적인 산수가 등장하는 시기로 청전만의 독립적인 화풍을 이어가기 위한 초석을 닦는 시기였다. 완숙기(1954~1972)의 물 표현은 자신만의 화법을 통하여 토착적인 향토적 서정미와 조형적 요소가 결합하여 청전 자신이 갖고 있는 내면의 화의(畵意)가 작품을 통해 구체화됨을 살펴보았다. 소의 상징적인 표현은 완숙기 이후에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나타나고 있어 시기적 구분이 아닌 자연과 하나가 된 물아일체로서의 표현과 심리적 표상을 지닌 상징적 표현으로 분석해 보았다.청전이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적 언어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를 실현한 것에 대한 것 뿐 만이 아니라 반복되는 제재를 통하여 청전의 심상에 맺혀져 있는 상징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는 깊이 있는 노력이 더 이어졌으면 한다.
The period when traditional Korean modern artists were active was a continuation of oppression and frustration, an era of colonial rule and division. It was a time of great confusion about the West's cultural influx and identity to maintain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 In this modern atmosphere,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our own value system and sense of beauty. The reason why the paintings of Cheong-Jeon(pen name: 靑田) Lee, Sang-beom (李象範, 1897-1972) are highly regarded is that they embody Korea's native national sentiment in an original style of painting. His attempt boosted new energy to Korea's depressed painting style. This artist's work is a vivid representation of the time and space he has lived. The subjects that continue to appear Cheong-Jeon's paintings include plain hills, flowing streams, and the appearance of a farmer driving a cow. If the farmer is Cheong-Jeon himself, it can be said that the cow he drives represents nostalgia for the hometown of the eternal heart. In other words, it is the resting place of the soul that should be protected forever from outside looting that has stolen from Korea's national identity. It can be said that the longing for his original hometown and the desire to pursue it are reflected in the image of a farmer driving a cow. In addition, the calm flowing stream is not just a realistic description, but a look at the calmness and nature of Lee, Sang-beom's wish. Cheong-Jeon's paintings show a world where works and characters become one through their restrained and clear lives. This is not just to satisfy the viewer's expectations, but to reveal the unconscious intention deeply embedded in Cheong-Jeon's own mind. The subjects matter of the repeated paintings was the return to the eternal hometown, the constant journey of enlightenment to meet the true self. This paper seeks to intensively discuss the usage of water and cow as symbols in the works of Lee, Sang-beom. We first looked at the origins and developments of the landscape paintings since Wei · J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y. We looked at the symbology of water and cows in the three Eastern philosophies,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hows that the system of reasons for Asians is the subject of painting. The symbolism of Lee, Sang-beom work related to water varies from time to time. The early period (1918-1922) was a period of ideological expression faithful to the teachings of Ahn, Jung-sik (安中植, 1861-1919) and Cho, Seok-jin (趙錫晉, 1853-1920). The formation period (1923-1953) was a time when realistic depictions of the trip to Mt. Geumgang appeared, laying the groundwork for continuing the independent painting style of Cheong-Jeon. The water-related expressions of the period of completion (1954-1972) were combined with indigenous beauty and formative elements through their own techniques, and the intention of the unique style paintings of Cheong-Jeon himself was embodied in the work.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use of cow has appeared repeatedly since the completion period. Therefore, we looked at the paintings instead of the time-sensitive expressions focused on them as representation unity between man and nature, psychological symbols of mental state. Lee, Sang-beom realized Korean emotions through his unique visual language. In the future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done on the usage of water and cows as symbols of an artist's psyche in the Cheong-Jeon's styles of paintings.Keywords: Cheong-Jeon, Lee, Sang-beom, Water, Cow, Korea modern art, Symbolic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