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장년의 비자발적 퇴직경험과 진로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의 적용 / A Study on the involuntary Retirement Experience and Career Coping Behavior in the Middle-aged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
진로대처행동
근거이론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understand how middle-aged retirees overcome the psychological conflicts caused by their retirement and develop new life designs by analyzing involuntary retirement experiences and the corresponding course of action that were not prepared due to changes in the management environment. To this end, the basis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voluntary retirement experience of middle-aged people and the course action proces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issues were set up. "First, what about the retirement experience of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es? Second, how is the career coping behavior of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es going forward? For this purpose, 20 middle-aged people aged 50 to 64 who involuntarily retired after more than 20 years of working in the main job were selected as theoretical sampling method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arried out for three months from March to May 2019.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observations of research participants' facial expressions and behaviors were also used to take notes during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procedure of the evidence theory method by Strauss and Corbin (2008). The analysis procedure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open-coding, axis-coding, and selection-coding, and the analysis is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open-coding analysis yielded 228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retirement experience and career handling of the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es was "struggling for the recovery of the original condition." The causal conditions responsible for the central phenomenon consisted of 'unwanted forced retirement', 'the years of company cohabitation', 'late regret' and 'the consumables of organizational society'. Contextual conditions also turned out to be "preparation for post-life reversals," "family is my partner," "leaping for the future," and "loss of self-identity." Interim conditions that promote or inhibit action/interaction on a central phenomenon were 'job as a life goal', 'leave me open', an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hich is a deliberate action taken to cope with the central phenomena presented to them, was derived as 'use of the expertise and strengths held' and 'continuing to tear down the strong entry barri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were categorized into 'design of self-directed life' and 'walking a new path'. After the central phenomenon was expressed in the process analysis, the process of career handling over time appeared in five stages: 'heart-trackingphase', 'acceptance phase', 'self-analysis stage', 'direction-finding' and 'living a new life'. The first step was the "heart-to-heart" phase, wher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make involuntary retirement, quickly recover their minds and do new things for the livelihood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The second stage is the "acceptance phase," which has a new turning point in connecting with the "heart-throwing phase" and accepting retirement boldly, adapting itself to what it is now, not who I was in the past. The third step is the "self-analyzing stage," where people try a new career path to continue their lives through the "acceptance phase." The fourth step is a "direction-finding" step, which is to set the meaning of work and find a way for career alternatives while repeatedly trying and making trial and error in the mind, getting out The fifth step is to find a way to live a new life, and to prepare anew for the future and take a leap forward through the "Direction Search" step. In this study, the key category that explains the course of dealing with the career of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es was found to be "a good job without shaking." Based on these key categories, four types of 'target-setting', 'career-keeping', 'proposal discovery' and 'unplanned'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urse of mid-aged involuntary retirees. 'Target-set' is a type of person who looks back on himself and uses the information or support of his or her surroundings to lead the way in finding specific arrangements and methods. While "status quo" blames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oneself, it takes advantage of the human resources he has accumulated while dealing with his retirement situation relatively well, starting as a new milestone in his life. The "proposal discovery" is a type that positively accepts the retirement situation that he lacked his abilities rather than the environment, and moves toward the future in search of work he likes with the expectation that new opportunities will come. "Unplanned" is a type of life in which one fails to accept retirement and gives up reality, putting everything down and trying to make vague preparations for the future. In this study, we decided that the situation model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course of career handling by the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es, so we set up four dimensions: individual, family, social/organization, and national. The above result has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structure in which senior citizens who experience involuntary retirement move toward a "good job without shaking" by realistically recognizing their retirement situation and looking back on themselves from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ir career handl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support situation of families, friends and acquaintances of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es is a central factor in explaining the course of their career, and presented a new view that retirement is not a retreat from society, but a new beginning for a post-life reversa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ntervention in actual counseling sessions for middle-aged people and for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enior citizens who are involuntarily retiring.Key words : middle-aged, involuntary retirement experience, career coping, behavior, grounded theory
본 연구는 중장년 퇴직자들이 경영환경 변화로 인해 준비되지 않은 비자발적인 퇴직경험과 이에 따른 진로대처행동 과정을 분석하여 그들이 퇴직으로 인한 심리적인 갈등을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인생설계를 해 나가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중장년의 비자발적 퇴직경험과 진로대처행동 과정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진로대처행동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이다.” 이를 위해 주된 일자리에서 20년 이상 근무하다가 비자발적으로 퇴직한 50세~64세의 중장년 20명을 대상으로 이론적 표본추출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 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중에 나타나는 연구 참여자의 표정이나 행동 등의 관찰도 병행하여 메모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 분석절차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분석절차는 개방코딩과 축 코딩, 선택코딩의 순서에 따라 진행하고 그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 분석 결과 228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으로 본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경험과 진로대처 과정의 중심현상은 ‘재도약을 위한 몸부림’이었다. 중심현상에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원하지 않는 강제퇴직’, ‘회사와 동고동락한 세월’, ‘때늦은 후회’, ‘조직사회의 소모품’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맥락적 조건은 ‘인생후반전의 준비’, ‘가족은 나의 동반자’, ‘미래를 위한 도약’, ‘자기정체성의 상실’로 드러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중재적 조건은 ‘삶의 목표로서의 직업’, ‘나를 열어 놓기’였고, 이들에게 나타난 중심현상을 대처하기 위해 취해지는 의도적 행위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보유한 전문성과 강점 활용하기’, ‘막강한 진입장벽 계속해서 허물기’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자기 주도적 삶의 설계’, ‘새로운 길 걸어가기’로 범주화하였다. 과정분석에서 중심현상이 발현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로대처의 과정은 ‘마음 추스리기 단계’, ‘수용하기 단계’, ‘자기분석하기 단계’, ‘방향성 찾기’, ‘새로운 삶 살아가기’의 다섯 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참여자들이 비자발적 퇴직을 하고 자신과 가족의 생계를 위해 빨리 마음을 추스르고 새로운 일을 해야 된다는 ‘마음 추스리기 단계’였다. 두 번째 단계는 ‘수용하기 단계’로 ‘마음 추스리기 단계와 순환적으로 연결하여 퇴직을 담대하게 받아들이면서 과거의 내가 아닌 현재의 모습에 자신을 맞추어 나가게 되는 새로운 전환점을 갖게 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자기분석하기 단계’로 ‘수용하기 단계’를 거쳐 삶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 새로운 진로대처를 시도해 보는 단계이다. 네 번째 단계는 ‘방향성 찾기’ 단계로 실직의 아픔에서 벗어나 일의 의미를 정립하고 마음의 시도와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진로대처를 위한 길을 찾아가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 단계는 ‘새로운 삶 살아가기’단계로 ‘방향성 찾기’ 단계를 통해 자신의 가족과 미래를 위해 새롭게 준비하고 한 단계 도약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진로대처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흔들림 없는 좋은 직업 갖기」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핵심범주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진로대처행동 과정을 분석한 결과, ‘목표수립형’, ‘경력유지형’, ‘대안발견형’, ‘무계획형’의 네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목표수립형’은 퇴직상황을 잘 다루어 나가면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주변의 정보나 지원을 잘 활용하여 주도적으로 구체적인 준비와 방법을 찾아서 앞으로 나아가는 유형이다. ‘경력유지형’은 자신보다는 환경적 요인을 탓하나 퇴직상황을 비교적 잘 다루어 나가면서 자신이 축적해 놓았던 인적자원을 잘 활용하여 새로운 인생의 분기점으로 출발하는 유형이다. ‘대안발견형형’은 환경보다는 자신의 능력이 부족했다는 퇴직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기회가 올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서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유형이다. ‘무계획형’은 퇴직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현실을 체념한 자신이 없는 생활을 하면서 모든 것을 내려놓고 미래의 막연한 준비를 시도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모형이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진로대처행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여 개인차원, 가족차원, 사회/조직차원, 국가차원 등 4가지 차원으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비자발적 퇴직을 경험하는 중장년들이 진로대처 과정에서 중심현상인 ‘새로운 길을 찾는 나의 선택’에서 퇴직상황을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자신을 되돌아봄으로써 ‘흔들림 없는 좋은 직업 갖기’로 나아가는 진로대처 과정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비자발적 퇴직자의 가족, 친구, 지인 등 의 지지 상황이 진로대처 과정을 설명하는 중심 요인임을 밝혀내고, 진로대처 과정에서 겪는 직업적 사건이 퇴직은 사회에서 물러나는 것이 아닌 인생후반전을 위한 새로운 출발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자발적으로 퇴직하는 중장년의 진로대처 과정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개념적인 틀을 제공함으로써 중장년을 대상으로 한 실제적인 상담과정에서의 개입과 실제적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