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72년 지방지도를 통해 본 익산의 역사지리 : - 읍치, 취락, 하천 경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 / A Historical Geography of Iksan-county Based on the 1872 County Old Map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1872년 지방지도
익산군
읍치
취락
익산천
탑천
만경강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geography of Iksan-county through an old county map made in 1872. This map was made by local government official. So we can assume that this map well reflected the local people’s understanding on this county at that time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lements of landscapes in administration center place was examined by identifying the sites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And the meaning of Stone man statue(Seokinsang) was investigated in geographical viewpoint. Second, the location of settlements appeared in this old map was verified by the relative location and place names. And the territory of Iksan-county in 1872 was traced by the searching of the settlements distribution. Third, the historical change of Yogyo-dam site and the confluence alteration of rivers(Iksancheon and Mangyeonggang) from 1872 to present was traced by the comparison with modern maps. The landscap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historical change of landscapes we can identify the local people’s understanding on the local geography. And the investigation on the local historical landscapes will be a contribution to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based on the placeness.
이 논문은 1872년 지방지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익산군의 역사지리를 읍치, 취락, 하천 경관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72년 지방지도는 각 군현에서 그려서 중앙으로 보낸 지도들을 편찬한 것이다. 따라서 주민들의 해당 지역에 대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72년 지방지도에 표시된 읍치경관들에 대해 현재 시점에서 위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크게 강조되어 그려진 석인상의 의미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둘째, 1872년 지방지도에 나타난 10개 면 94개 마을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를 통하여 과거 익산군의 영역에 대해 추정하였다. 셋째, 1872년 지방지도와 이후 제작된 현대적 지도들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요교제 지역의 변화와 익산천과 만경강의 합류 지점의 변화에 대해 확인하고, 그 원인을 설명하였다. 경관은 지역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관변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주민들이 가진 지역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역사적 경관에 대한 분석은 장소성에 기반한 지역발전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