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비 군왕설화의 의미전달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Conveying Meaning of Korean Oral Folk Tales about King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군왕설화
개국시조형
시혜선정형
이인조우형
암군실행형
사후이적형
의미구조
스토리
언술
서술
문화적 의의
스토리텔링
Language
Korean
Abstract
본고는 인물설화 중에서도 군왕(君王)을 대상으로 한 구비설화의 의미전달 방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왕은 일반적인 인물설화의 주인공들과 달리 최상층의 신분을 가진 절대적 지배자이며, 그 지위 자체가 상징적인 존재이다. 또한 설화의 전승범위도 특정 지역에만 그치지 않고, 전국적인 범위를 지닌다. 따라서 전승집단이 설화 속 인물에 대해 가지는 거리나 인식, 설화가 담고 있는 의미 등에서 일반적인 인물설화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준다. 군왕설화는 기록 전승되는 군왕설화와 구비 군왕설화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기록 건국신화이다. 그러나 구비 군왕설화 속에 등장하는 군왕은 보통 사람과 같은 한계를 지닌 현실적 존재이며, 건국신화의 주인공들과는 상당한 거리를 보여준다. 그리고 특정 지배 이념이나 정치적 목적, 편찬자의 의도 등에 따라 주제나 내용이 변개되는 일반적인 문헌 군왕설화와도 차이를 보여준다. 구비 군왕설화는 일반적인 인물설화나 기록 건국신화, 문헌 군왕설화와는 다른 독특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구비 군왕설화의 포괄적 이해를 위해 설화를 유형적 특징, 의미구조와 전달방식, 문화적 의의와 스토리 텔 링을 통한 활용방안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제해결 양상과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비 군왕설화의 유형을 나누면 크게 개국 시 조형(開國始祖形), 시혜 선정 형(施惠善政形), 이인조우 형(異人遭遇形), 암군실행 형(暗君失行形), 사후 이 적 형(死後異蹟形)의 다섯 가지이다. 각 유형이 가지는 스토리(story) 차원의 심층적 의미구조는 세계에 대한 인식 양상, 등장인물의 행위에 대한 가치 평가, 인물들이 가지는 정치적 특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구비 군왕설화의 서사 방식을 언술(discourse)과 서술(narration)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언술방식에서는 삽화의 연속적 제시와 유사주제의 반복 및 모티프 교체, 언술 양식의 이분화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서술방식에서 볼 때 구비 군왕설화의 화자는 스토리 외적 화자(extradiegetic)이며, 이종화자(heterodiegetic)이다. 화자는 서술 과정에서 논쟁을 피하며, 주관성을 감추면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주관화의 변형’과 ‘서술의 변형’이라는 두 서술 변화를 집중적으로 교차 사용한다.구비 군왕설화를 통해 살펴본 전승집단의 문화적 인식은 신화적 세계관에서 역사적 세계관으로의 변모와 피동적 태도에서 능동적 태도로의 변모가 두드러진다. 그리고 중세적 신분질서에 대한 고정적 인식이 개인이 가진 능력에 대한 인식으로 대체되는 모습도 보여준다. 설화 속에서는 전승집단이 바라는 지도자의 역할과 자세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특히 지도자의 높은 윤리성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진다.마지막으로 구비 군왕설화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설화의 이야기 방식과 현대적 스토리 텔 링을 비교하고, 실제 드라마를 통해 그것을 검토해 보았다. 비교 결과 드러난 구비 군왕설화의 유형적 특징과 서사방식은 모두 현대적 스토리 텔 링이 요구하는 기본 속성에 근접한 것들이었으며,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깊이 있는 탐색이 계속된다면 스토리 텔 링의 폭과 활용 가능성을 매우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thod of conveying meaning of oral folk tales about kings of character stories. Kings are absolute rulers in the highest position, which itself is a symbol.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their stories doesn't stop at certain areas but is national in scope. Thus, the stori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eneral character stories in terms of the space or recognition of persons in the stories of folk and the meaning the stories contain. Stories about kings may be divided into recorded stories and oral stories. One of the representatives is the birth myth of a nation handed down in literature. However, the kings who appear in the oral folk tales about kings are realistic beings who have the same limitations as ordinary people have and they show a significant distance from the heros of the birth myths of nations. Moreover, they show differences from general king's stories in literature, in which the themes or the contents change depending on a specific ruling ideology, political purpose or compiler's intent, etc.This study examined folk tales dividing them into typical characteristics, the structure of meaning and the method of conveyance, cultural significance and plans for utilization through storytelling for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ral folk tales about kings. The types of oral folk tales about kings based on the phase of the settlement of problems and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are classified broadly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founder of a country; merciful and just rule; encounter with stranger; bad king's mischief; and miracle after death. And the structure of meaning at the level of story each type has can be examined in terms of the phase of recognition of the world, the evaluation of characters' deed and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The narrative method of oral folk tales about kings is divided into the aspects of discourse and narration, and in discursive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secutive presentation of episodes, the repetition of similar themes and the replacement of motif, and the division of the modes of discourse. In addition, from the method of narration, the narrator of oral folk tales about kings are extradiegetic to the stories and heterodiegetic. Narrators use a variety of modifications of narration(changes of predicates) to avoid controversies during the process of narration and for effective conveyance hiding subjectivity. The cultural recognition of the folk examined through oral folk tales about kings show change from mythic world view to historical one and from passive attitude to active one remarkably. And fixed recognition of social position, a medieval order of domination also seems to be replaced by that of the abilities individuals have. In addition, the leaders' roles and positions the folk requires also could be grasped; that is, in folk tales, appropriate practice of morals as human beings is required more than any other qualities. To examine the usability of oral stories about kings, the method of folk tales was compared to that of contemporary storytelling, and examined through real drama, and recognition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course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and the method of the narration of oral king story are those that are close to the basic properties the contemporary storytelling requir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e width and possibility of storytelling will be broaden in very diverse directions through various and in-depth explo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