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계별 거문고 초견 지도방안 연구: 예술고등학교 거문고 전공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Teaching Method of Geomungo Sight-Reading: for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Geomungo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국악 초견 교육
거문고 초견
거문고 초견 훈련
거문고 초견 지도방안
Language
Korean
Abstract
Acquiring skilled performance techniques with a creativeness is essential for Korean instrument musicians. As sight-reading skill drastically reduces the time needed to learn to play a new piece and enables musicians to play spontaneously without practice. It is highly complicated process which needs various componentskills. However, up until now, there is no thesis of sight reading specialized in geomungo which considers all relevant factors such as Korean Music theory, geomungo technique, sight-reading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and so forth.In the contrast to previous thesis(of sight-reading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ight-reading curriculum designed to help geomungo teachers and students have interest and efficiency in sight-reading thorough effective training method based on fundamental music resources of Korean Music and playing mechanism of geomungo.This study reviews the available research about sight-reading, categorizing the findings under different subheadings defined with Korean Music features. This thesis additionally deals with the various method to improve sight-reading skills and reinterpret several factors on sight-reading proficiency, considering of geomungo playing mechanism and learning environment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geomungo.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e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technique skills of geomungo is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posture and playing technique, rhythm, pitch, and score reading. In teaching plan for geomungo sight-reading, students would classified in three steps and organized with the theory of both Korean and Western Music, focusing on geomungo frets and playing technique.Despite extensive analysis in teaching and training method, curriculum designed for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geomungo have not yet been borne out in this thesis. However, as there is relatively little study on effective sight-reading program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 it might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studies. It is an indisputable fact that sigh-reading research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 needs to first put emphasis on expansion into globalization.
초견(初見)은 연주자의 다양한 음악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 음악 활동이다. 연주자에게 필수적인 악보의 해석력과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기초가 되는 능력이며 나아가 연주자들은 초견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흡수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기술의 발전은 음악가들이 활동 범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범세계적 활동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국악기 연주자들이 오선 악보에 대한 초견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국악 특성화 예술고등학교에서는 고등학교 과정부터 전공 교과에 초견 교육을 포함하였으나, 이는 학생의 음악적 성장과 발전이 아닌 작품 혹은 음악 요소 중심 교육을 통한 성공적인 대입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통음악 교육계의 미비한 초견 연구 현실을 반추하고, 공식적인 초견 교육이 시행되는 예술계 고등학교 거문고 전공생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초견 훈련 및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에서 제시한 초견 교육 방법은 그 필요성과 방법 등에 대한 서구 문화권 학자들의 연구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이 중 한국음악의 정체성을 포괄할 수 있는 이론을 간추리고, 이를 국악 초견 교육 현장에 응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악기 초견 교육 관련 선행연구 세 편과 국악 특성화고등학교 2개교의 거문고 초견 교육과정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초견 교육 관련 연구는 피아노 훈련법을 토대로 한 서양 음악적 훈련방안을 제시하였을 뿐, 국악기와 우리 음악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초견 교육내용 및 방법은 전통음악의 정체성이 간과되거나 구전심수(口傳心授)의 도제식 교육 위주로 이루어져 학습 목표와 지도계획 간의 부족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행 국악 초견 교육과정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전통음악과 거문고의 특징을 토대로 서양음악 요소를 결합한 테크닉 훈련방안을 제시하고, 고등학교 거문고 전공생을 위한 3단계의 초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승이라는 명분 아래 강조되어 온 구비전승 식 교수법에서 벗어나 우리 음악의 정체성이 반영된 초견 교육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국악 학습자들의 연계성 있는 음악 학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체계적인 거문고 초견 교육을 통해 거문고 학습에 대한 대중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국악 저변의 확대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