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직구성원의 메신저사용에 대한 인식및 이용 동기가 메신저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청 공무원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use of instant messaging in an organization with respect to its antecedents and outcom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메신저
CMC
인스턴트 메신지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정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강한데 비해 수용이 일단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이해하는데 첫 번째 목적을 두었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사용이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에 대해 이해를 시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도입이 이루어진 채널들 상호간에 대체성이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대상이 된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현재 서울시가 사내 인트라넷(행정포털)을 통해 지원하고 있는 기업용 메신저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메신저 기술과 관련된 용이성, 유용성, 유관성은 메신저의 사용과 상당히 강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메신저의 사용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이용과 충족이론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메신저 사용 만족도와 함께 메신저 사용과정에서의 즐거움도 주요한 선행변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그러나 주관적 규범, 인지된 자율성, 조직 지원 가운데서는 주관적 규범만이 메신저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신저 사용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조직과의 일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측은 모두 지지되지 않았으며, 특히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경우에는 오히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메신저의 사용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부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메일과 메신저의 상호비교에 있어서는 서울시청의 직원들은 메신저에 비해 여전히 이메일을 업무수행을 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지만, 특정한 업무에 대해서는 메신저가 이메일에 비해 비교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용행태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