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상적 표현 '-고 있다', '-어 있다'와 베트남어 대응표현 'đang' 대조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spect expression '-고 있다', '-어 있다' and the corresponding Vietnamese expression 'đa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상'
'-고 있다'
'-어 있다'
'đang'
'대조연구'
'베트남어'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의 상적 표현 ‘-고 있다’, ‘-어 있다’와 베트남어 대응표현 ‘đang’을 대조 분석하는 연구이다.한국어 ‘-고 있다’와 ‘-어 있다’가 베트남어 ‘đang’이라는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이로 인해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이 어떤 경우에 ‘-고 있다’를 사용하고 어떤 경우에 ‘-어 있다’를 사용해야 하는지 더 헷갈린다. 게다가 한국어의 ‘-고 있다’, ‘-어 있다’와 베트남어 ‘đang’에 각각 결합된 선행 용언에도 상당히 차이가 나기 때문에 더욱더 어렵게 느껴진다. 또 기존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조 연구는 상당히 많지만 상적 표현에 관한 대조연구는 비교적 적다. 사용빈도가 높은 ‘-고 있다’, ‘-어 있다’와 대응표현 ‘đang’에 대한 대조 연구는 더욱 없다.그래서 본고에서 한국어의 ‘-고 있다’와 ‘-어 있다’를 문법적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베트남어 ‘đang’과 서로 대조함으로써 이들의 대응관계를 논리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이론적 배경인 양국 언어의 상적 체계와 동사 분류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어 ‘-고 있다’, ‘-어 있다’와 베트남어 ‘đang’의 상적 의미와 통사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각 결합 경우의 결합제약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논리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 있다’, ‘-어 있다’와 ‘đang’을 대조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고 있다’와 ‘đang’과의 대응, ‘-어 있다’와 ‘đang’과의 대응으로 나눠서 각각의 의미적  통사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어서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서 이들의 대응관계를 논의하여 설정하였다. 논의한 결과에 따라 ‘-고 있다’, ‘-어 있다’와 ‘đang’이 형용사에 상태 변화를 주는 구성과 결합하는 경우 서로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용사나 지정사, 또는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고 있다’나 ‘-어 있다’는 ‘đang’의 대응표현이 될 수 없다. ‘-고 있다’와 ‘đang’은 ‘진행상’과 ‘상태지속상’을 나타낼 때 대응관계를 이룰 수 있다. 한편,‘-어 있다’와 ‘đang’은 ‘상태 지속상’을 나타낼 때 대응 관계를 이룰 수 있다. ‘-고 있다’와 ‘đang’이 서로 대응할 수 없는 경우는 주로 반복상과 한정상을 들어낼 때 일어난다. 실제로 ‘-고 있다’가 인식동사와 결합하는 경우 ’-고 있다’가 빈도를 나타내는 시간부사와 결합하는 경우 ‘đang’이 일반 순간동사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어 있다’와 ‘đang’이 서로 대응할 수 없는 경우는 주로 진행상과 한정상을 드러낼 때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어 있다’는 달성순간 자동사와 결합하는 경우 ‘đang’이 비한계 동사와 결합하는 경우 ‘đang’이 타동사와 결합하는 경우이다.본 연구를 통하여 베트남어권 학습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고 있다’와 ‘-어 있다’를 배울 수 있고, 또 교사가 이 구문들을 효율적으로 교수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리고 양국 언어의 일반언어학에서 논의를 보완하는 역할도 할 수 있었으면 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spect expressions ‘-고 있다’, ‘-어 있다 and the corresponding Vietnamese expression ‘đang’. In Vietnamese the Korean ‘-고 있다’and ‘-어 있다’ are both expressed in one form of ‘đang’, which makes it very difficult for Vietnamese learners to differentiate the two expressions. In addition, it seems even more difficult because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verbs and adjectives that are preceding the Korean ‘-고 있다’, ‘-어 있다’ and Vietnamese ‘đang’. Although, there are quite a lot of contrastive studies about Korean and Vietnamese, there are not so many regarding the aspect expressions of these languages. Especially, there are not so many comparative studies on the frequently used ‘đang’ and ‘-고 있다’, ‘-어 있다’.Therefore, I have selected Korean ‘-고 있다’, ‘-어 있다’ as the subjects of this paper,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Vietnamese expression ‘đang’ and logically examin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고 있다’, ‘-어 있다’ and ‘đang’ are corresponsive when they are binding with adjectives that are expressing change of state. Also, when ‘đang’ is combined with adjectives, nouns, or a copula ‘-고 있다’ and ‘-어 있다’ cannot be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it. ‘-고 있다’ and ‘đang' can be considered corresponsive when they indicate ‘progressive aspect' and ‘continuous aspect’. ‘-어 있다’ and ‘đang' can also be considered corresponsive when they indicate ‘continuous aspect’. We cannot say that‘-고 있다’and ‘đang’are corresponsive when they indicate ‘iterative aspect’ and ‘limited aspect’. Meanwhile, in cases when ‘-어 있다’and ‘đang’are indicating‘progressive aspect’ and ‘limited aspect’ they cannot correspon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Vietnamese students to learn Korean in a more efficient way. Als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uccessful teaching of ‘-고 있다’and ‘-어 있다’to Vietnamese students. Furthermore, I hope this study could become supplementing in general linguistics of both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