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인의 강박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자기양가성의 매개효과 /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s Obsessive Beliefs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ion Effects of Self-Ambivalence Moderated by Emotional Clarif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주관적 안녕감
강박신념
자기양가성
정서인식명확성
Subjective well-being
Obsessive beliefs
Self-ambivalence
Emotional clarity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교 성인의 강박신념이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자기양가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독교 성인(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470명의 자료를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박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양가성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강박신념과 자기양가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양가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self-ambivalence and emotional clarity in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ristian adult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Christian adults (over the age of 19 years or older), and finally, the total data of 47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 belief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 belief and self-ambivalence. Third, emotional clarity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mbival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