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사랑 구현 양상 연구 : -<금병매>, <구운몽>, <홍루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ros Implementation Patterns of Female Characters in Chinese-Korean Novels - centered on , ,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금병매>
<구운몽>
<홍루몽>
사랑
상호텍스트성
인과론
초월지향
Language
Korean
Abstract
본고는, 을 대상으로 한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사랑 구현 양상을 상호텍스트성의 시각에서 고찰하 였다. Ⅱ장에서는, 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사랑 구현 양상 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제1항에서 에 나타난 육신적 사랑의 비극적 양 상을 논의하였고, 제2항에서 에 나타난 육신적 사랑의 고양 양상을 고찰 하였고, 제3항에서 에 나타난 정신적 사랑의 비극과 비극 극복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 사랑이 어떤 성향을 띠면서 전개되는지에 초점을 맞 추어 는 사랑이 양분된 상태에서 육신적 사랑을 위주로 구현했다면, 은 육신적 사랑이 세 단계를 거쳐 정신적 사랑으로 고양되는 양상을 보이며, 은 사랑이 양분된 상태에서 처음에는 육신적 사랑과 정신적 사랑으로 나 뉘어 펼쳐지다가, 그중에 육신적 사랑이 정신적 사랑으로 고양되는 지점을 펼쳐내 는 것으로 보인다.Ⅲ장에서는 제Ⅱ장에서 분석한 작품들의 사랑 구현 양상을 토대로 하여 불교사 상의 시각에서 작품들의 사랑에 관한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 체적으로 작품들의 사랑에 관한 불교적 인과론과 초월지향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 하였다. 불교의 인과론의 경우, 에서는 인과응보가 부각되며, 에 서는 연기성공이 부각되고, 에서는 개오파집이 부각되는 차별성을 보인다 는 점을 제시하였다. 2항에서는 세 작품의 여성 사랑의 특징과 불교적 초월지향의 연계성을 포착하여 와 의 색적 사랑으로부터의 초월, 와 의 배타적 사랑에 대한 징계를 통해 초월, 과 의 낭만적 사랑으로부터의 초월을 살펴보았다. 이후 의 출현까지 그 사이에서 , 이 출현했는데, 이러한 작품들이 모두 일부다처인 사회 제도 하에 여성들의 ‘욕망’이나 ‘애정’에 대한 추구 의식을 서로 다른 방식을 통해 담아내고 있는 작품 이다. 이들 작품에 구현된 여성인물의 사랑 양상은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세 작품의 사랑 구현 양상에 관한 상호텍스트성 연구에 적지 않은 도움을 준다. 이에 Ⅳ장에서는 과 을 삽입하여 다섯 작품을 두 가지 축으로 나누어 여성 사랑의 소설사적인 상호텍스트 양상을 분석하였다. 편의상 ‘, , 의 상호텍스트성’ 그리고 ‘, , 의 상 호텍스트성’ 두 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한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사랑에서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을 지니는 점 을 통해 그들에 구현된 남녀의 사랑이 지니는 작품적 가치를 짚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