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이농민의 도시사회적응 : 윈난성 위안장현의 소수민족 농민공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Urban Adaptation of Rural-Urban Inmigrants in China, YunNan Provi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농민공
소수민족농민공
신형도시화
도시적응
호구제도
사람중심의 도시화
문화다양성
Language
Korean
Abstract
중국 사회의 도시화, 공업화 발전은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을 가속화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는 “농민공 조류(民工潮: 농촌의 인력이 도시로 진출하는 풍조)”는 단순한 공간적인 이동일 뿐만 아니라 사고방식, 행위방식, 심리적 염원 나아가 제도 형식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전환과 변화를 가리킨다. 이러한 전환과 변화는 유동 인구들의 생존 패턴의 전환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심각한 사회적응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수 억 명의 농민공 집단에서 소수민족 농민공은 특수한 집단으로 존재한다. 소수민족 문화가 주도하는 촌락(寨子)에서 한족 문화가 주도하는 도시로 이동함에 따라 나타나는 소수민족 농민공의 사회문화적 변화는 필연적으로 이들의 사회적 의식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소수민족 농민공의 도시적응 문제는 일반 농민공보다 더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소수민족 농민공들의 전통 민족문화와 도시문화의 충돌은 한족 농민공과는 다른 사회생활 적응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사회적응 문제는 사회 질서와 발전에 간과할 수 없는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가 주도하는 “56개 민족이 함께 나아가고 함께 발전하기”라는 정치적 배경 하에서 소수민족 농민공의 사회적응 문제는 그저 단순한 도시 농민공의 사회 문제일뿐만 아니라 56개 민족의 조화로운 발전이라는 정치적 의의를 갖고 있다. 따라서 소수민족 농민공의 적응문제에 대한 연구는 도시 농민공 연구에서 하나의 핵심적인 문제를 형성하며, 중요한 사회적 의의와 정치적 의의가 있다. 또한 이는 중국의 ‘신형도시화’전략에서 제기된 ‘사람 중심의 도시화’사상의 실천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중국 윈난성(雲南省) 위안장현(元江縣)의 소수민족 농민공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그들의 사회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많은 문제를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그들은 호구제도로 인한 자녀 입학의 어려움 때문에 커다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들의 자녀들은 언어문제로 인해 수업을 알아듣지 못하고 과제수행에도 어려움이 있어, 결국 학업에 싫증을 느끼고 중도에 학교를 그만두는 상황이 발생하곤 한다. 제도적 자원의 부족은 수 억 명 농민공들이 동시에 직면한 문제라고 한다면, 민족문화의 다양성으로 인해 초래된 비제도적 문제는 특히 소수민족농민공의 도시생활적응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어려움이다. 본 연구는 소수민족 농민공과 관련 공무원, 일반도시민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재 소수민족농민공의 도시생활 적응 및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밝히고, 소수민족 농민공의 도시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로부터 그들의 도시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시행 가능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