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가자 및 직업종류에 따른 특정 직업에 대한 인식 / Occupational Perceptions as a Function of Occupational Class and Rate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직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직업 및 평가자 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직업의 종류는 직업명성에 따라 의사, 변호사, 소방관, 경찰관으로 결정하였고 평가자는 해당직업 재직자와 재직후보자로 구성되었으며 각각 직업적 특성(명예와 존경, 직업적응력, 사회공헌도),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그리고, 평가자 중 재직자는 의사52명, 변호사47명, 소방관59명, 경찰관60명, 총 218명으로 구성되었고 재직후보자는 의대생60명, 법대생83명, 소방학생73명, 경찰학생60명, 총 276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이원변량분석(2×4)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적 특성 중 명예와 존경에 대한 직업 간 차이에서는 변호사가 가장 높았고 경찰관이 가장 낮았으며 직업적응력은 변호사가 높고 사회공헌은 소방관이 가장 높고 변호사이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은 변호사가 가장 높고 경찰관이 낮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경찰관이 높았고 변호사와 소방관이 낮았다. 또한 종속변인에 대한 평가자 간 태도는 재직후보자가 재직자들에 비해 대부분 낙관적인 편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명성이 높은 의사와 변호사는 동일한 직업적 위세와는 달리 의사의 직무만족이 변호사보다 낮고 직무스트레스는 변호사보다 높았다. 또한, 직업명성이 낮은 경찰과 소방관은 일의 위험성이나 어려움에 비해 사회적 인정이나 보상부분에 있어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 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ind out about the perception of people’s in the occupation through the survey of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between occupations and raters. To survey, doctors, lawyers, firefighters, and police were selected by occupational prestige and incumbent and candidate for above jobs were chosen to rater eac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honor and respect, career adaptability, social contributions),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There were consist of all 218 incumbent assessors (52 doctors, 47 lawyers, 59 firefighters, 60 police) and all 276 students (60 medical students, 83 law students, 73 fire academy students , 60 police students). Two-way ANOVA (2 x 4) were used. The study showed that lawyer was the highest for the honor and respect of the job in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hereas police was lowest .The lawyer's career adaptability and social contributions of firefighter was highest and police was lowest for social distribution. The job satisfaction of lawyer was highest and police was lowest. The police's occupational stress was high whereas lawyer and firefighter were low. It also showed that attitude of candidate for the jobs have more optimistic bias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an incumb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awyer's job satisfaction was low and occupational stress were higher than the lawyers despite the same occupational prestige. It also suggested that low-prestige occupation police and firefighters who have more risk or difficulty of the work do not receive a fair treatment for the compensation and social recogni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