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白光勳과 李商隱의 漢詩 比較硏究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Sino-Korean Poetry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researching and comparing the Jue-ju poetry of poets Baek Gwang Hoon of the mid-Joseon dynasty and Lee Sang Eun of the late Tang era, and find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ets and their Chinese poetr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lives and creation backgrounds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The two poets didn’t get the opportunity on their difficult paths as government officials, and expressed their deep thoughts and meanings that they couldn’t fulfill and unfold through their work. Next, this study took a look focused on the Jue-ju poetry of the Chinese poetry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A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the contents per type of Chinese poetry, figure of speech and technique, and style. In the first part, the contents per type of Chinese poetry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Youngsa, Gyungmool, Youngmool, Gyoyu, and Eunil, and were analyzed in chapters and verses. Regarding Youngsa poetry, Baek Gwang Hoon usually used the leader of the dynasty for his poetry subjects, while Lee Sang Eun wrote about innocent and poor scholars or objects related to such scholars. Although the two wrote about different subjects, they both well express their concerns about the country by comparing their current era with past dynasties and satirizing leaders or events through citing quotes or events of the past. Baek Gwang Hoon’s Youngsa poems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Lee Sang Eun. As for Gyungmool poetry, both poets wrote poems by combining both ‘scenery’ and ‘affection’, where the atmosphere was created by ‘scenery’ to then describe one’s ‘affection’, but Baek Gwang Hoon portrayed the scenery using simple words, while Lee Sang Eun relatively using fancy words. In Youngmool poetry, both poets sang about objects to reflect their situations. Both of them was reminiscent of their lives and situations through Gyungmool poems, and wondered at life by comparing ideal and reality. When looking at Gyoyu poetry, Baek Gwang Hoon’s subjects were teachers, Buddhist monks, writers, companions, and courtesans, while Lee Sang Eun wrote about companions, taoists, writers, politicians, and courtesans. When comparing the Eunil poetry of the two poets, Baek Gwang Hoon’s poems of when he was living in the countryside sang about a harmony of abundant life and peaceful pleasures, while Lee Sang Eun who wrote about his true country life expressed an unstable inwardly heart through his Eunil poetry. In the second part, the figure of speech and techniques of the two poets were divided into categories such as references of other past writings, metaphors, contrast, and symbols and compared their poems. Baek Gwang Hoon used past record of historical facts while Lee Sang Eun’s work showed records of historical facts as well as legends and myths. Both poets used references of other past writings to indirectly express their inwardly worlds. In the works of Baek Gwang Hoon only some of them used referencing techniques but used Lee Sang Eun’s difficult references to make the reader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oems. When looking at the poems of both the poets overall, they both used timely and spatial contrasts.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s considering that they both created Chinese poetry using contrast.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used various symbols in each of their poems, such as the sun, moon, apricot blossoms, bamboo, and so 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ymbols. Finally, when comparing the two poets’ styles, Baek Gwang Hoon’s poems are of an old tale style which is plain while Lee Sang Eun’s poems contain a hazy style in his expressions. The two poets each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there are similarities.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s poems illustrates a picture in front of the readers’ eye. And they focus on handling their own meaning in their poems. This illustrative property is the commonness of the works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When comparing the Chinese poetry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both show a late Tang style, but it can be said that Baek Gwang Hoon’s work was influenced by the work of Lee Sang Eun, however he does have his own styles. This study is hoped to be utilized in other researches on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이 논문은 조선 중기 때의 시인 백광훈과 만당 때의 시인 이상은의 한시 중 절구시를 고찰하여 비교하여 두 시인의 차이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백광훈과 이상은의 생애와 창작배경을 살펴보았다. 백광훈은 7세에 글을 지을 줄 알았다.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서자로 태어나 출사하지 못하고 산수를 즐기면서 시작에만 전념하고 은거생활을 하였다. 은거 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과 교유를 하면서 학문을 도야하였다. 집안 경제가 곤궁에 빠지면서 옥봉은 벼슬의 길을 택하여 벼슬살이를 하면서 좌절과 고통을 느꼈다. 이상은은 5살에 경서에 통하였고 7세 때 붓과 연에 능하였다. 어린 나이에 귀향한 이상은은 16살까지 당숙의 가르침을 받아 따라 경문을 학습하고 문학을 배워서 고문방면이 뛰어났다. 하지만 이러하여, 이상은은 자기의 스승이자 은인인 영호초를 배신하는 자로 오해받고 제대로 된 취급을 받지 못하였다. 어머니의 상에 3년 정도 은거생활을 하다가 다시 벼슬길로 나섰다. 두 시인은 모두 평탄하지 않은 벼슬길에서 기회를 얻지 못하여 마음속에 품은 뜻을 이루어 펴지 못하는 정서를 작품을 통하여 드러냈다. 다음에 백광훈과 이상은의 한시 중 절구시를 중심으로 비교해봤다. 두 시인의 한시의 유형별 내용, 수사 및 기교와 풍격 세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첫 부분에서는 한시의 유형별 내용을 영사시, 경물시, 영물시, 교유시, 은일시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장절에서 시를 분석하였다. 영사시에서는 백광훈은 주로 왕조의 지도자를 대상으로 시제를 정하였으나 이상은은 조대, 혹은 어느 조대와 관련된 사물을 시제로 하였다. 비록 제재는 다르지만 두 시인의 작품은 전고를 인용하여 왕조의 지도자나 어떤 사건에 대해 풍자하고 시인이 살고 있던 당시의 왕조와 대비하면서 나라에 대한 우려를 작품을 통해서 잘 표현하고 있다. 백광훈의 영사시를 보면 이상은의 영향을 다소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경물시에서는 두 시인은 모두 ‘경’과 ‘정’을 융합하여 시를 지었는데 ‘경’을 통하여 분위기를 만들고 이런 분위기에서 자기의 감정을 서술하였지만 백광훈은 소박한 언어로 경물을 묘사하였으나 반면 이상은은 상대적으로 화려한 언어를 사용하였다. 영물시에서는 두 시인은 모두 사물을 노래하면서 자신의 처지를 사물을 통하여 반영되었다. 두 시인은 경물시를 통하여 자신의 인생과 처지를 연상시키고 이상과 현실사회를 비교하여 인생을 감탄하였다. 교유시를 보면 백광훈 교유시의 대상은 스승, 승려, 문인, 벗, 기녀 등 있었고 이상은은 벗, 도사, 문인, 정치인, 기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시인의 은일시를 비교해보면 백광훈은 전원에 파묻혀 살던 시기의 시는 유족한 삶과 한적한 흥취를 즐기는 조화로운 삶을 주제로 노래한 반면 이상은은 진실한 전원생활을 노래한 시가 있으나 이런 생활을 한 그의 내심은 안정되지 못하여 내용이 은일시에서 드러났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두 시인의 시에서 나타난 수사 및 기교 비교를 용사, 은유, 대비, 상징 등으로 나누어 그 들의 시를 비교해보았다. 백광훈은 역사사실의 전고를 사용하였고 이상은의 작품에서는 역사사실의 전고와 신화전설의 전고가 있다. 두 시인은 용사를 통하여 내심세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백광훈의 작품에는 일부 시에만 용사의 수법을 활용했으나 이상은의 어려운 전고를 잘 이용하여 독자들의 시의 뜻을 파악할 수 없게 했다. 두 시인의 작품을 전체적으로 보면 모두 시간적인 대비와 공간적인 대비를 활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두 시인이 대비로 한시를 창작하는 것을 보면 큰 차이가 없다. 백광훈과 이상은은 각자의 시에서 다양한 상징의 수법을 사용하였는데 두 시인의 작품을 일, 월, 매화, 죽 등 상징물을 활용하여 시를 창작하였다. 두 시인이 상징물에 대한 이해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마지막 부분은 두 시인의 풍격을 비교해 봤는데 백광훈의 시는 꾸밈없는 언어로 메마르고 담담한 고담 풍격을 지니고 이상은은 시구의 표현에서 몽롱한 풍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인은 각자 자기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두 시인의 시에는 유사성이 있다. 백광훈과 이상은의 시에는 그림이 그려 있는 듯이 독자가 시를 읽을 때에 눈앞에 그림을 보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두 시인은 각자의 사상을 표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경’과 융합하여 작품을 창작했다. 백광훈과 이상은의 한시를 비교해보면 두 시인은 모두 만당풍을 지니고 있지만 백광훈은 다소 이상은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지만 자신만의 개성이 있다. 이 논문이 이 후의 백광훈과 이상은에 대한 연구에서 조금이라도 유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