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Ar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미적체험
예술융합교육
Language
Korean
Abstract
Becau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researches and discussions to present core capacities of high-tech technology revolution and future talents, and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have been actively mad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to foster convergent thinking, personality, and creativity are being sought with integrated thinking and integrated subjects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times.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s and performs art convergent educ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effective education as a method of art education for low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nurture future talents. To identify the effects shown in this proces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First, what is the status of the development of the art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Second, what is the aesthetic experience effects shown in the performance of the art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art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trends and related researche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arts convergent education of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reviewed. A program was construct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aesthetic curriculum of LCE (Lincoln Center Education) based on Maxine Green's aesthetic philosophy, Hans Georg Gadamer's play ontology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stages 1 to 4.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total 10 units of classes were performed on 20 students in a children’s library in Seoul. Qualitative case study was performed collecting and analyzing descriptive outputs created during the classes (workbooks), creative outputs (creations in each class), participating observation materials (video, photo, record materials, notes), conversations (students’ discourses and interviews). To analyze data, the analysis frame by Stake (1978) was used. As a result, the key elements expressed by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e summarized as change and reflection, and the sub-elements are summarized as convergent thinking, sociality, expression, and aesthetic attitude. The sub-elements of convergent thinking ability are summarized as knowledge, information and creative thinking, and sociality is summarized as self-confidence, empathy, leadership, and relationship. The sub-elements of expression are verbal expression, and non-verbal expression. Aesthetic attitude is summarized as artistic curiosity and artistic internalization. The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have a positive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thinking ability and sociability development, through the art convergent educ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 They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perform independent human roles that can reveal and express themselves with contextu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y become able to expand the meaning in the image, and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in a free environment. The production of students' works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gives them the opportunity to discover creative thinking and artistic talents.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appreciation and production of art works in the art convergent education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kes them pursue the value connected with their own lives that they live and make for themselves.keyword: aesthetic experiences, art convergence education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으로 최첨단 기술 혁명과 미래인재의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창의·융합형 인재를 위한 교육의 연구와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 통합적 사고력과 통합 단원들로 융합적 사고력, 인성,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인재를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예술교육 방안으로 효과적인 교육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을 설계하여 실행하고, 그 과정에서 발현되는 효과들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어떠한가?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현되는 미적체험 효과는 무엇인가?셋째,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생을 위한 국내외 미적체험과 예술융합교육의 동향 및 관련 연구들을 검토한 다음, Maxine Green의 미적 교육 철학에 기반 한 LCE(Lincoln Center Education)의 미적 교육과정과 Hans Georg Gadamer의 놀이 존재론, 예술융합교육 1~4단계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소재의 어린이 도서관에서 20명을 대상으로 총 10차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 실행과정에서 생성된 서술적 산출물(워크북, 워크북), 창의적 산출물(차시별 창작물), 참여 관찰 자료(비디오, 사진, 녹음 자료, 연구자 노트), 담화(수업 중 학생 발언, 인터뷰)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Stake(1978)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미적체험의 효과로 발현된 핵심 요소는 변화와 성찰이며, 그 하위 요소들은 융합적 사고력, 사회성, 표현력, 심미적 태도로 정리되었다. 융합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는 지식과 정보, 창의적 사고이며, 사회성은 자신감, 공감능력, 리더십, 관계성으로 정리되었다. 표현력의 하위 요소는 언어적 표현능력, 비언어적 표현능력이며, 심미적 태도는 예술적 호기심, 예술의 자기화로 도출되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생은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을 통해 융합적 사고력의 발달의 가능성과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맥락적 정보로 자신을 드러내고 표현할 수 있는 자주적인 인간의 역할 수행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에서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되며, 자유로운 환경으로 창의적 사고의 발달을 가능하게 되었다. 학생들의 작품제작은 독창적 사고와 예술적 재능을 발견하는 기회게 되는 교육적 의미 갖게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한 결론은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미적체험을 위한 예술융합교육에서 예술작품의 감상과 제작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 가는 자신의 삶과 연결 되어 진 가치를 추구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