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교실침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lassroom Silence of Elementary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교실침묵
초등학생
교실문화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culture influences on human being's pattern of behavior and, in the same manner, classroom silence is influenced by classroom cultu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ypes and factors of classroom sil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to know what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silence and classroom culture. In order to find out types and factors of classroom silence that are changed depends on attributes of classroom culture, I have research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y interviews, and quantitative research by the questionnaire method.The problem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I am going to inquire types of classroom. silence.Secondly, I am going to look at factors of classroom silence.Thirdly, I am also going to talk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and factors of classroom silence.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we could divide types of classroom silence in elementary school hours into two different criteria. Before everything, depends on patterns of the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 school hours, classroom silence could be separated from answer silence, presentation silence, and question silence. And, according to silence division method of Goldberger'(1996), classroom silence are classified into structural silence and strategic silence.Secondly, we could state factors of classroom silence in elementary school hours below. In the first place, students think there are 'the correct answer' for the teacher's question in the school hours. Also, students are not comfortable for having a conversation a teacher. Lastly, some students choice silence because they do not want to stand out above the others. In addition, some students choose to be silent because of their laziness. They have no desire to talk with their peers and are unconcerned with the communications between each other during school hours.Thirdly, no matter classification of silent types according to the forms of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students who are understood the classroom culture as a low power distance culture, a femininity culture, or a individualism culture have a lower silence level. On the other hand, generally, there are twice more students who are structurally silent than strategically silent. This condition is very prominent in the collective culture.And factors of classroom silence is related to power distance index, masculinity index, and collectivism index, which are the standards for Hofstede(1995)'s culture classification. First, Being uncomfortable with a teacher while they are having a conversation in the class is related to low power distance culture. Secondly, thinking that a presentation must be telling the correct answer all the time is related to masculinity culture. Thirdly, being silent in order not to be stand out above others is related to collectivism culture.Factors of classroom silence are related to low power distance culture, masculinity culture, and collectivism culture, and in actuality students who are recognized classroom culture in that manner have higher silence level. Therefore, silence is largely responsible for the way that people recognize classroom culture, and influences the silence level. In order to make school hours the space where students and a teacher are able to communicate well, We must be really cautious of the fact that classroom silence is influenced by classroom culture. Accordingly, in order to make classroom in school hours the space where people could freely give their opinions, there should be a in-depth discussion of classroom culture in school hours.
본 연구는 문화가 인간의 행동양식에 영향을 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실침묵 또한 교실문화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제 아래 시작되었다. 먼저, 교실침묵을 두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교실문화를 Hofstede(1995)의 문화구분방식으로 구분한 후 교실침묵의 유형과 원인이 교실문화의 특징에 따라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업시간의 교실침묵의 유형과 원인을 알아보고 교실문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실침묵의 유형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둘째, 초등학교 교실침묵의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셋째, 초등학교 교실침묵의 유형과 원인은 교실의 문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를 병행해서 실시하였다.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해볼 수 있다.첫째, 초등학교 수업시간의 교실침묵의 유형을 두 가지 기준에 의해 구분해볼 수 있다. 먼저 수업시간의 교사와 학생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에 따라 대답침묵, 발표침묵, 질문침묵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Goldberger(1996)의 침묵구분방식에 따라서 구조적 침묵과 전략적 침묵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대답침묵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상황에서의 발언도 거부하는 침묵이고, 발표침묵과 질문침묵은 자신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야 하는 상황에서의 발언을 거부하는 침묵이다. 한편, 전략적 침묵은 튀지 않으려고, 귀찮아서 침묵하는 것이고 구조적 침묵은 틀릴까봐, 나만 모르는 것으로 보일까봐, 무엇을 질문해야 할지 몰라서 침묵하는 것이다.둘째, 초등학교 수업시간의 교실침묵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교사가 하는 질문에 ‘정답’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자신이 생각하는 답이 ‘정답’이 아닐까봐, 즉 ‘틀릴까봐’ 대답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선생님과 대화하는 것을 편하게 느끼지 않는다. 수업시간에 침묵하는 학생들은 평소에도 선생님과 의사소통을 거의 하지 않는 학생들이다. 그런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교사와의 대화에 참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마지막으로, 친구들 사이에서 튀고 싶지 않아서 침묵하는 경우도 있다.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자유롭게 말하는 것을 ‘튀는 행동’이라고 규정하고 자유롭게 말하는 친구들을 좋지 않게 생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뚜렷한 이유 없이 침묵하는 경우도 있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 귀찮아서 침묵을 선택한다고 했다. 수업시간에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자체에 무관심하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이다. 이처럼 특별한 이유 없이 수업시간의 의사소통에 참여하고 싶지 않는 냉소적인 침묵도 있다.셋째, 교실문화를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서 교실침묵의 유형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일정한 경향성을 보인 것은 사실이다. 먼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의 형태에 따른 침묵유형에서는 유형구분을 막론하고 교실문화를 권력거리가 작은 문화로 인식한 학생, 여성적 문화로 인식한 학생, 개인주의 문화로 인식한 학생들의 침묵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리고 침묵의 주체에 따른 침묵유형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구조적 침묵을 하는 학생들이 전략적 침묵을 하는 학생들보다 두 배 가량 많았는데 특히, 집합주의 문화에서는 그런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편, 학생들의 교실침묵의 원인은 Hofstede(1995)의 문화구분 방식의 기준이 되는 권력거리 지수, 남성성 지수, 집합주의 지수와 관련이 있다. 첫 번째로, 수업시간에 교사와의 대화가 편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권력거리가 큰 문화의 특징과 관련이 있다. 교실에서 교사와의 권력거리가 클 경우 교사가 수업을 주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수업시간 중간에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말하거나 의문점을 질문하는 것이 쉽지 않다. 두 번째로, 발표가 정답을 말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남성적 문화의 특징과 관련이 있다. 경쟁지향적인 남성적 문화에서는 뛰어난 학생이 규범이 되기 때문에 발표는 정답을 말할 수 있는 성적이 좋은 학생이 주로 하게 된다. 세 번째로, 튀지 않기 위해서 침묵하는 것은 집합주의 문화의 특징과 관계가 있다. 집합주의 문화에서는 집단과의 조화가 우선시 되므로 설사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더라고 자신의 의견을 잘 표현하지 않는다.교실침묵의 원인들은 권력거리가 큰 문화, 남성적 문화, 집합주의 문화와 관련이 있고, 실제로 교실문화를 그렇게 인식하는 학생들의 침묵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즉, 교실문화를 인식하는 방식은 침묵이 원인이 될 수 있고 침묵의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수업시간의 교실을 교사와 학생들이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교실침묵’이 교실문화의 영향을 받는 한 가지 현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성적이 중시되는 입시위주의 교실, 정답을 강요하는 교사의 질문이 난무하는 교실, 다른 행동과 다른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교실에서 교실침묵은 사라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수업시간의 교실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말하고 들을 수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수업시간의 교실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