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녀 대학생의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i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Present Motivation and Self-Present Efficac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취약성 자기애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특성분노
성차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약성 자기애 성향이 특성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취약성 자기애 성향과 특성분노 간의 관계를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생 427명(남성 196명, 여성 231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 중 특성분노 문항, 자기제시동기 척도(SPMS), 자기제시기대 척도(SPES)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성 자기애,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특성분노에 대한 성차를 확인한 결과 남녀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남녀 모두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남자의 경우, 자기제시기대와 자기제시동기 및 특성분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여자는 자기제시기대와 자기제시동기 및 특성분노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남녀 대학생의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학생은 특성분노에 대한 취약성 자기애와 자기제시동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자기제시기대의 조절효과는 남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경우, 자기제시동기의 수준에 따라 취약성 자기애 성향이 특성분노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취약성 자기애 성향의 여성들의 분노 경험에는 타인에게 잘 보이고자 하는 동기가 타인에게 잘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한 기대감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약성 자기애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쉽게 경험하게 되는 높은 수준의 분노에 대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여성은 특성분노에 대해 자기제시동기가 치료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vulnerable narcissism affects trait anger and whether self-present motivation or self-present 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For this purpose, 427 college students(196 males, 231 females) completed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PNI),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SPMS)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Scale(SPES)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s among vulnerable narcissism, self-present motivation, self-present efficacy and trait ang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Second,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In particular, for mal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present efficacy, self-present motivation, and trait anger, but for fema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in male and female group,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 in male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was significant in female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present efficacy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males and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females, the effect of vulnerable narcissism on trait anger depends on the level of self-present motivation.In summary, for females with vulnerable narcissism, the motivation to be liked by others plays critical role in experiencing ang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sensi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required for high levels of anger that are easily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 vulnerable narcissism. Especially for females,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target to decrease their trait a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