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해외파병 정책결정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평가 : 로즈노의 예비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fluence Estimate of Overseas Deployment Determinats in ROK : Focusing on Rosenau Pre-Theor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해외파병 정책결정
로즈노 예비이론
개인변수
정부변수
사회변수
체제변수
유엔 평화유지활동
다국적군 평화활동
국방 협력활동
Language
Korean
Abstract
1991년 유엔 가입 이후 1993년 7월에 소말리아에 250명 규모의 상록수 부대를 파견하면서 시작된 우리나라의 해외파병은 지난 20여년간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정부는 국제평화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파병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파병지에서의 성과와는 별개로 해외파병시마다 파병요청을 받고 파병결정하는 과정에서 정치·사회적 갈등이 야기되었다. 특히 파병형태, 수행임무 등에 따라 파병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파병반대세력의 주장과 여론에 밀려 최초 정부가 계획했던 파병정책을 수정하거나 파병정책 추진이 지연되는 등 많은 갈등이 있었고 이로 인해 국제사회와 동맹국의 신뢰감을 떨어뜨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난 20여년간의 해외파병에 대해 고찰해보면 남북대치하 한미동맹이라는 한반도의 특수성이 파병정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파병형태 및 수행임무에 따라서 정책결정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상이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파병정책을 결정하기 위해 유엔 평화유지활동, 다국적군 평화활동, 국방 협력활동 등 3가지 형태를 기초로 각 형태별로 전투병 파병과 비전투병 파병으로 구분하여 6가지 유형의 파병사례를 분석하고, 파병유형별로 파병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즈노의 예비이론을 활용하여 개인, 정부, 사회, 체제변수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파병정책 추진간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유엔 평화유지활동, 다국적군 평화활동, 국방 협력활동 등 파병형태별로 정책결정과정을 정리해 보면, 유엔 평화유지활동은 일반적으로 파병명분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감하다보니 정부중심으로 파병정책을 추진하며, 마찰요인 대비 파병소요기간이 장기간 걸리는 특징이 있었다. 다국적군 평화활동은 미국의 요청에 의해 한미동맹 관계를 고려 파병이 추진되다보니 대부분 파병을 잠정결정한 상태에서 예상되는 논란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파병정책이 추진되었으며, 반미운동 및 현지위헙고려 정치권 및 시민단체의 반대가 상대적으로 심하였다. 국방 협력활동의 경우 타파병형태와 비교시 상대적으로 체제요인의 영향력이 약했으며, 군사력을 국익창출의 수단으로 활용하다보니 파병명분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였다. 전투병 파병, 비전투병 파병 등 수행임무별로 정책결정과정을 정리해 보면, 전투병 파병의 경우 파병목적에 따라 수행임무가 상이하였고, 파병정책결정과정에서 파병장병의 안전문제가 대두되어 상대적으로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관심이 높았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파병반대운동이 정치·사회적 이슈화되어 국론을 분열시키기도 하였다. 비전투병 파병의 경우 정책결정과정이 비교적 무난하여 정부주도로 파병정책이 추진되었으며, 국가이익보다는 국제평화에 기여한다는 명분이 파병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파병유형별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경우 파병명분이, 다국적군 평화활동의 경우 한미동맹이, 국방 협력활동의 경우 국가이익이, 전투병 파병의 경우 장병안전이, 비전투병 파병의 경우 정치·사회적 관심이 정책결정과정에서 크게 영향을 미쳤다. 로즈노(Rosenau)가 제시한 국가유형별 우선순위를 고려하면 파병정책결정요인의 우선순위는 체제, 사회, 정부, 개인 순으로 되어야 한다. 하지만 유엔 평화유지활동 중 전투병이 파병된 동명부대의 경우 로즈노가 제시한 우선순위에서 정부요인과 개인요인의 영향력이 증가하여 정부, 개인, 사회, 체제 순으로 우선순위가 예상된다. 비전투병이 파병된 한빛부대의 경우 정부요인의 영향력은 증가되고 사회요인의 영향력은 감소하여 정부, 체제, 개인, 사회 순으로 우선순위가 예상된다. 다국적군 평화활동 중 전투병이 파병된 자이툰 부대의 경우 체제요인, 사회요인, 개인요인의 영향력이 증가하며, 이중 사회요인이 가장 크게 증가하여 사회, 체제, 개인, 정부 순으로 우선순위가 예상된다. 비전투병이 파병된 서희·제마부대의 경우 체제요인과 정부요인의 영향력이 증가하여 체제, 정부, 사회, 개인 순으로 우선순위가 예상된다. 국방 협력활동 중 전투병이 파병된 아크부대의 경우 개인요인과 사회요인의 영향력이 증가되고 체제요인의 영향력이 감소하여 개인, 사회, 정부, 체제 순으로 우선순위가 예상된다. 비전투병이 파병된 아라우부대의 경우 정부요인과 개인요인이 증가되고 사회요인과 체제요인이 감소하여 정부, 개인, 체제, 사회 순으로 우선순위가 예상된다. 이렇게 예상되는 파병유형별 우선순위와 실제 사례분석에서 제시한 일부 우선순위가 상이한 이유는 파병사례별로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외생변수가 작용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대안을 제시하면, 유엔 평화유지활동 파병시에는 긍정적인 파병명분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고, 다국적군 평화활동 파병시에는 한미동맹에 의한 갈등요소를 최소화 하며, 국방 협력활동 파병시에는 국가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파병을 추진할 수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해야겠다. 전투병 파병시에는 위험회피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비전투병 파병시에는 적극적인 국민홍보를 통해 대군신뢰도 증진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하겠다. 본 연구의 성과는 현재 파병하는 모든 유형의 파병사례를 분석하여 파병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으며, 유형별 정책결정요인의 우선순위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해외파병정책의 특성상 동일한 국가유형 속에서도 파병유형별로 정책결정요인의 영향력이 상이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파병형태 중 연구가 되지 않은 국방 협력활동 파병사례를 최초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사항은 유형별 1개 사례만을 분석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다소 제한되고,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가 제한되어 모든 영향요소를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impact of policy determinants of overseas dispatch troops from the Korean Military decision-making process. The Korean Military is currently pursuing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overseas dispatch troops as the UN Peacekeeping Operation(UNPKO), Multination Force Peace Operation(MNF PO),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Missions that combat overseas dispatch troops perform are different from missions that non-combat overseas dispatch troops perform. So,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s of the six different types in order to determine the dispatch policy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combat and non-combat overseas dispatch based on UNPKO, MNF PO, and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and we compare the impacts of governmental, social, individual, and system variables, which are the factors affecting the policy decision to dispatch troops, utilizing a preliminary theory of Rosenau, and then we propose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dispatch policy. Among UNPKO, MNF PO, and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UNPKO typically takes a long lead time while UNPKO has generally sympathetic justification for sending troops and is promoted by government-led dispatch policies. As MNF PO has been promoted at the request of the United States in the state almost decided to dispatch, the anti-American movement, and the political and NGO's oppositions are relatively harsh. So, it was considered important to resolve the controversy expected. In the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the influence of system variables was relatively weak and the utilization of military force as a means of creating national interests gave rise to controversy in terms of justification. In the case of combat overseas dispatch, a miss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dispatch purposes, and the interest of politicians and civil society was high since safety issues were a big rise. In the case of non-combat overseas dispatch, decision-making process has been relatively mediocre as government-led dispatch policies have been promoted, and contributing to the cause of international peace troops rather than Interests of the country affect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nalysis, justification for the UNPKO, the Korea-US alliance for MNF PO, national interests for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safety for the combat overseas dispatch,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interest for the non-combat overseas dispatch, are greatly affected in the dicision-making process. On considering the type of national priorities of Rosenau, the priority of the dispatch policy determinants must be system, society, government, individuals in order. However, in the case of dispatch of Dongmyeong Units which are combat troops of the UNPKO, the order of priority is expected as government, individuals, society and system. In the case of dispatch of Hanbit Unit which are non-combat troops, the order of priority is anticipated as government, system, individuals, and society as the impact of governmental variables increases and the impact of social variables decreases. In the case of the dispatch of combat Zaytun Unit under MNF PO, the order of priority is expected as society, system, individuals, and government since the impact of social variables greatly increases out of system, social, and individual variables. In the case of the dispatch of non-combat 'Seohee & Jema‘ troops under MNF PO, the order of priority is anticipated as system, government, society, individuals increasing as the impact of system and government variables increase. In the case of the dispatch of Akh Unit including combat personnel under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the order of priority is expected as individual, society, government and system as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social variables increase and the impact of system variables decreases. In the case of the dispatch of Araw Unit including non-combat personnel under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the order of priority is anticipated as government, individuals, system, and society as the impact of governmental and individual variables increase and the impact of social and system variables decrease. As a results, we find that the anticipated priorities and actual priorities are different because the order of variables affecting decisively and the impact of variables change on a case by case basi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options. First, for UNPKO, we should take full advantage of justification. Second, when MNF PO is promoted, conflicts elements of the alliance should be minimized. Third, at the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we should consensus to pursue the national interest to send overseas troops. Fourth, when we send overseas combat troops, we are working actively to find a way to avoid the threat. Fifth, when overseas non-combat troops are sent, we should take advantage as a means to heighten the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s through active national public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rived features based on the six different types of the dispatch by analyzing various dispatch types and characteri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all forms of current troop dispatch. This paper proposes effective promotion plan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dispatch policies by drawing the fact that the impact of variables that influence polity decisions is not the same as the types of the dispatch troops. This paper also introduces and analyzes a new case at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and analyz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is somewhat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ince only one recent case is considered in each type of the dispatch. The data for analyz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were not sufficient enough so that we could not consider all the variables which may affec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