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주5일제 정책참여를 통한 사회성 향상 분석 연구 : 서울시 놀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Youth’s Sociality by the Participation in 5 Day’s School Policy : Focused on the Youth Weekend Project of Seou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청소년
주5일제
정책참여
사회성
Language
Korean
Abstract
정책결정과정은 다양한 정책요소들에 의해서 상호작용하는데, 그 중 하나가 정책을 에워싸고 있는 환경이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를 둘러싼 환경도 다양한 요인이 상호 견제와 균형을 갖고 작용하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정책환경의 변화는 정책대상인 청소년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2012년 주5일 수업제 실시라는 정책환경의 변화가 청소년들의 사회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 주5일 수업제가 전국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주5일 수업제 실시로 인한 나 홀로 학생 및 과도한 사교육 확대 방지를 위한 대체 돌봄 및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었다. 기존 청소년 시설만으로는 주5일 수업제 전면시행에 따른 수요 대처에 한계가 있고, 특히 저소득·한부모 가정, 나 홀로 아동을 위한 보살핌과 교육 확대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과도한 입시경쟁 및 인성에 대한 교육 부재로 인한 일탈행위 증대로 가족간의 유대감이 약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부모와 함께하는 건전한 청소년 주말활동의 활성화가 더욱 요구되었다(이상국, 2012). 본 연구에서의 자료수집은 서울시 소재 시·구립 청소년시설을 방문한 청소년 대상으로 총 500매의 설문지를 배포·분석하여 활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SPSS 17.0)를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성별로는 여학생의 경우 놀토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주말 여가시간의 다양한 활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급별로는 중고등학생들보다 초등학생들이 학습태도, 학교폭력 대처능력, 그리고 창조적 사고력에서 상당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서남권(학습태도, 주말 여가시간 활용, 학교폭력 대처능력, 그리고 교우관계)과 동남권(주말 학습시간의 변화, 사교육 참여)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가정생활에서 유일하게 가족관계의 이해와 관련하여서만 놀토 프로그램에 참여함에 따라 지역적으로 동북권과 동남권 등에서 높은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원인은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다만, 추정하건데 이 지역의 경제발전 정도와 더불어 가족구성원간의 관계가 소원해졌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자아변화 중에서 자아정체성은 교급별로 초등학생과 지역별로 서남권, 그리고 자아만족도는 지역별로 서남권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에서부터 가능한 일찍이 놀토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써 자아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며, 특히 서남권의 여러 지역적 환경이 자아정체성과 자아만족도를 제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놀토 프로그램에 참가함에 따라 타인관계의 4가지 요소 즉 사회생활 적응성, 리더십, 대인관계, 과업성취도 등 모든 항목에서 지역적으로 서남권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이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발전되지 않은 지역적 환경이 오히려 놀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에게 타인과의 관계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변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놀토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사회성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토 프로그램 중 장기적인 참여 즉 21회차 시 참여가 이루어 졌을 때 긍정적인 현황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즉 전체적 이라기보다는 전반적인 부분에서 현황들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모든 참여 및 문항에 대해 초등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유로는 중고등학교의 경우 학교 및 학원에서의 시간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비교적 참여시간이 자유로운 초등학생의 참여율이 높았고 이는 학부모들에 의한 강요적 참여도 없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으로는 동북 및 서남권이 많은 참여율을 보였는데, 이는 지역적 여건과 학부모들의 높은 학구열 때문이기도 하다. 향후 놀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위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여 지역차, 학년차, 운영회차 등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사례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아동청소년이 함께 참여하여 체험 할 수 있는 놀토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놀토 프로그램의 인지적 및 이용실태에 따른 청소년들의 사회성 분석 결과는 놀토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가 높은 경우와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학교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높은 적응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곧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정체성과 자아만족도 그리고 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감안해 볼 때, 놀토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서 청소년들이 놀토 프로그램을 인지하고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놀토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시설은 청소년수련관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참여시기도 가능한 저학년일수록 좋으며 참여정도 또한 다소 단기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중기나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놀토 프로그램을 통해서 청소년들의 사회성을 보다 더 함양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기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성 변인별 적합한 놀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이다. 청소년들의 학교 및 가정 생활, 그리고 내적 및 외적 사회성에서 나타난 분석결과에 적합한 놀토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청소년의 수요자 맞춤형 및 발달단계별 놀토 프로그램의 개발·제공이다. 앞으로의 청소년활동은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의 수준 맞추기, 즉 ‘바라보기’에서 ‘따라오게 하기’ 위한 전략과 생애주기적 접근(life-cycle approach)이 요구된다. 셋째, 아무리 좋은 정책이나 프로그램도 수요자가 모르고 이용하지 않으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없듯이 놀토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강화와 인지도 제고가 요구된다. 넷째, 놀토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교사 및 가족인 학부모의 지지를 이끌어 내고 청소년의 학습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초·중등학교 교과서와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과 인정학점 부여가 방안일 수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 역시 청소년의 활동에 일정한 역할이 필요하고 특히 지역사회 기관이나 단체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사회가 운영하는 놀토 프로그램을 새로이 개발하고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노력해야 한다.
Policy decision-making interacts with various policy elements, and the policy environment is the one of them. In case of policy on youth's sociality, various factors keep mutual check & balance and affect each other in policy decision-making. These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 also have a diverse affect on policy object, youth. Therefore changes on policy environment such as '5 Day's School Policy' in 2012 has been variously affecting youth's sociality. In 2012, '5 Day's School Policy' was implemented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stitute care toward solitary students and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the growth in private eduction which covered issues caused by implementing '5 Day's School Policy' were required. With existing youth's facilities, there was limitation to cover the issues and needs to expand the support for care and education toward solitary students, low-income family, and a single-parent family. And excessive competition in entrance examinations and lack of personality education resulted in the increase of deviant behavior and the lack of family bonds. Therefore, the activation of healthy weekend family activities were necessary to be expanded. Data collection in this research was targeting youths visiting city and district youth facilities in Seoul. A total of 500 sheets, analysis and utilization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7.0 statistical package.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ll mainly b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school life, girls appeared to participate in YWP program and take advantage of the wide range of leisure time on the weekends, By classes, elementary students are showing much higher results in learning attitude, ability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an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thinking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regionally, southwestern region are showing prominent features in learning attitude, taking advantage of free time on weekends, and coping skills in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s. And southeastern providence are showing features in learning time change weekends, private participation. Only in programs regarding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family relationships in family life section in YWP appears highly effective in northeastern and southeastern region. More specific studies on this reason are neede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might have led family members to be drifted away. Self-identity is greatly increased among self-change in elementary school, southwestern region, and self-satisfaction is greatly increased in southwestern region. This shows tha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early as possible in YWP program helps establish self-identity, and particularly in the various regional environment in southwest seems to help increase self identity and self-satisfaction a lot. Statistically in southwestern region, significant results are showing good results in the four categories, namely social life adaptability, leadership, interpersonal, and task performance by participating YWP program. It show that regional environment which is not relatively developed than other regions has affected on meaningful results in all categories : social life adaptability, leadership, interpersonal, and task performance by participating YWP program. Based on analysis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YWP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n a long-term program of YWP program, especially in 21st participation, there were a lot of positive status. It was rather on the whole than in all. Second, participation rate in of elementary school was the highest for all the questions involved. The reason is that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spend most time in school and institution, but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relatively free to spend time in participating YWP program. Last. students in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region shows much participation rate. The judgemental factors were regional circumstances and parent's high academic fever. YWP programs in the future will have to consider those facts above by region, and by classes and then rearrange operating schedule by developing various cases. So all youth will take full participate in programs in YWP. Also by youth's sociality analysis result, students who has high cognitive awareness and usage rate in YWP program shows high adaptation in school life, family life, and social life. They also shows high self-identity and self-satisfaction, and goal orientation. It shows that youth's cognitive awareness and high participation on YWP project will lead directly to much satisfaction and YWP program will have to make as much as opportunity for youth to participate in. In addition, facilities for YWP project needs to take advantage of variety of social resources including the Youth Center. Time involving to YWP project is also good for the lower grades and the more long-terms need to continue to develop programs than short-term ones.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may be proposed to foster youth's sociality though YWP program. First, program's development and supports which is customized to youth's socia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youth's sociality in school, family life, inter and outer sociality, th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Second, program's development and supports which is customized to youth's needs and development levels. Youth's activities needs to be programmed as youth's levels, such as from ‘Looking’ to 'Following' strategy, and 'Life-Cycle Approach'. Third, not all good policies and programs produces much effects unless it is well known to public. Marketing in YWP program needs to be reinforced to increase awareness of YWP program. Fourth, program development connected to school textbook and certificate which allows school point recognition could be a solution to support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YWP program needs to be lead and to ease the burden of learning. Last, local community also needs to take a pivotal role to youth's activities. Especially,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proceeded to expand YWP programs operated by local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