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도서관 이용과 초등학생 영어실력간의 관계 연구 /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ibrary Us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영어도서관
영어도서관 프로그램
프로그램 만족도
학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초등학생 영어실력
English Library Use
English Library Program
Program Satisfaction
Pa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lementary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실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영어도서관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과 결부시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서울에 있는 네 곳의 영어도서관을 이용하는 초등학생 이용자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영어도서관 이용에 따라 영어독서량, 이용시간,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만족도 요인과 학부모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요인으로 세분화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어도서관과 초등학생의 영어실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지만 그 외의 영어실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영어사교육 및 영어권국가 체류경험과 영어실력의 관계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초등학생의 영어듣기, 읽기, 말하기, 전반적인 영어실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각각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독서량, 이용시간, 영어독서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만족도 및 학부모의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초등학생의 영어실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 외에 영어사교육 및 영어권국가 체류경험 또한 초등영어실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 영어듣기와 읽기실력에 동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어독서량, 프로그램만족도, 학부모의 교육수준, 영어사교육이다. 셋째, 초등학생 영어말하기 실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어독서량, 영어사교육이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전반적인 영어실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어독서량, 프로그램 만족도, 영어사교육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영어실력 향상을 위한 영어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영어독서만을 강조하는 학습에 그치는 것이 아닌 영어실력향상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장서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에 관련 없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영어도서관 설립을 증설하고,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이용자들을 위해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셋째, 영어사교육에 치우치지 않도록 영어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효과성을 입증해 나가야할 것이다. 넷째, 한정된 예산으로 다양한 연령층에 맞는 강좌 및 장서수를 개발해야하므로 이용자의 수요를 적절히 파악하여 적합한 프로그램 개설을 통해 영어 학습 지원체제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그 외에도 공교육 확립을 위해 주입식 영어 학습과 차별성을 두어 영어로 특화된 도서관에 대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해야할 것이며, 영어도서관의 효율성을 위해 영어읽기에 치중하지 않고 영어 읽기, 듣기, 말하기의 모든 영역을 골고루 다루어야할 것이다. 더불어 영어도서관 사서들만을 위한 역량 강화 교육과 영어도서관끼리의 상호작용을 통해 업무공유가 이루어진다면 좀 더 체계적인 학습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므로 다각화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ibrar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find effective ways to operate them.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viewing relevant concept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the latter was supplemented with in-depth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our English librarie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with factors such as English reading, time spent, program experience, program satisfaction, and par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use of English libraries, and to examine the other factors affect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hus,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overall English proficiency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reading volume, hours spent, English reading program experience, program satisfaction,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arents’ income leve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In addition, English man to man tutoring and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Second, the English reading volume, program satisfaction, parents' education level, and English private education had a similar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Third, factors with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included the English reading volume and English private education. Finally, the English reading volume, program satisfaction, and English private tutoring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the overall English proficiency of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optimize the management of English libraries for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English proficiency. First, it is urgent to develop programs and collections designed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o help improv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not just to emphasize English read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stablishment of English libraries to improve their accessibility regardless of the family’s education and income levels, and to develop specialized programs for users with relatively poor education and income levels.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English library users and to prove the libraries’ effectiveness so that they do not opt for English tutoring. Fourth, si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umber of lectures and the number of collections for various age groups within a limited budg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nglish learning support system by identifying the user demand precisely and establishing appropriate programs.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public education, various programs should be teste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elementary libraries specialized in English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infantile English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glish libraries, the latter should focus on all areas of English learning, including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In addition, diversified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learning space in order to realize English capacity-building education in English libraries, and interactions between English libraries should be encour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