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서적 자기노출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Effects of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 emotional self-disclosure; deliberate rumin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growth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자기노출과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만20~65세 성인 중 외상사건 당시 주관적 고통을 7점 Likert척도로 측정하였을 때 고통의 강도가 높은 수준인 6점 이상으로 보고한 37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자기노출은 성별, 나이, 최종학력, 종교의 유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의도적 반추는 최종학력에서만,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최종학력과 종교의 유무에서, 외상 후 성장은 나이, 최종학력, 종교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참여자의 외상사건과 관련된 고통의 변화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상사건 당시에 비해 현재 고통의 정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한 집단보다 고통의 정도가 같거나 오히려 증가했다고 보고한 집단이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인 역기능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전략(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 외상 후 성장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인 역기능적 대처는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과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에서 정서적 자기노출과 의도적 반추가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는 완전매개하였고,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는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령대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면서 그중 외상강도가 높은 수준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피험자로 선정하였기에 외상 후 성장의 일반적인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를 통해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는 정서적 자기노출 및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매개하지만, 역기능적 대처는 매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혀냄으로써 트라우마상담에서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관련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넷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을 통해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주제어: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전략, 외상 후 성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o verify thi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376 adults in age of 20 to 65 who reported pain intensity of 6 points or higher when measuring subjective pain at the time of a traumatic event on a 7 point Likert scal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y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otional self-disclosure showed differences in gender, age, highest qualification, and religion, deliberate rumination showing difference only in the highest qualification, stress coping strategy showing differences in the highest qualification and relig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ing differences in age, highest qualification and relig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pain intensity related to the participants’ trauma cas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that reported the degree of pain is same or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time of the traumatic event used more of dysfunctional coping as sub-factor of the stress response strategy, compared to the group that reported the degree of pain is decreas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emotional self-disclosure, deliberate rumin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problem-centered coping, emotion-centered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ed a positive one. However, dysfunctional coping as sub-factor of stress coping strategy,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emotional self-disclosur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ur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and plus on post-traumatic growth.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problem-centered coping and emotion-centered coping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both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deriv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growth because the subjects with relatively high trauma intensity among general adults in various ages were selected. Secon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blem-centered coping and emotion-centered coping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but dysfunctional coping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ird, by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ng programs related to emotional self-disclosure,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rauma counseling. Fourth, through analysi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counseling intervention suitable for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by confirming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Key words: emotional self-disclosure, deliberate rumin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