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용 환상숲곶자왈공원 스토리북 개발 / Developing a Storybook for Children: Focused on the Fantasy-Forest Gotjawal Park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환상숲곶자왈공원은 제주의 천연원시림인 곶자왈을 배경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해설사가 방문객과 동행하며 이야기를 들려주고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숲이다. 방문객들이 자연 자체를 관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야기 자체를스스로 느끼는 가운데 곶자왈의 가치를 전달하며, 자연 자원의 부가가치도 높이는 장소로 거듭남으로써 이야기산업의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안을 보여주고 있다.그러나 이곳은 스토리텔링의 효과로 양적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아동을동반한 가족단위 개별 방문객들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보다 높은 품질의 콘텐츠를 제공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본 연구는 해당 장소의 스토리텔링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야기를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아동용 콘텐츠 개발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있다.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스토리북이라는 창작물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다양한 소재를 숲해설 스토리라인에 설정하여 방문자들이 해당 장소의 관람에만그치는 게 아니라 듣기, 읽기, 생각하기, 상상하기 등으로 이야기를 무한정 구성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펼쳐 보고자 했다.스토리북 개발을 위한 방법적 절차로, 곶자왈 숲에 대한 기존의 이용 현황과콘텐츠들을 수집하고 포지셔닝하여 콘텐츠 개발의 틀을 세우고, 장소성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스토리북을 5종 선정하여 아이들의 소감을 평가하여 스토리텔링 개발시의 적용점을 도출해 보았다.또한 ‘환상숲곶자왈공원’ 안의 숲해설 스토리라인에서는 코스 내 주요지점(POI)의 소재와 이야기 요소를 추출하여 대표 주제와 테마를 선정하고, 소재별캐릭터를 이미지화 한 후 스토리 플롯을 구상하는 과정을 통해 스토리북 개발모델의 단계를 제시해 보았다.결과적으로 스토리북 개발을 통해 곶자왈 자체에 대한 정보와 가치를 감성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알기 쉽게 전달하도록 했고, 해설 내용을 스토리북 형태로구성하여 장소 기반의 이야기 구조를 완성시키는 가운데 자기주도식 해설이라는효과도 도모했다.결론에서는 향후의 더욱 진전된 연구를 통해 창작된 스토리 플롯이 다양한 형태의 OSMU(One Source Multi Use)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전망했다. 궁극적으로, 제주의 자연자원(곶자왈)을 토대로 한 아동용 스토리북의 개발이 스토리텔링과 자연자원 및 관광산업의 유기적인 활용 방안의 하나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확인했다.
The Fantasy-Forest Gotjawal Park consists of several guide paths fortourists through the forest, each path describing unique features of the forestin Jeju. The forest is called “Gotjawal”, derived from the Jeju-Dialect, whichmeans ‘a unique evergreen geological region’. The characters representingFantasy-forest Gotjawal Park, is aimed to provide the visitors not only apassive observation, but to ensure that each visitor understands theimportance of this forest. Such efforts can create opportunities to invite morevisitors. However, most visitors have hoped for the fulfillment of other needs.That is the reason, why the developing a guide book for children is needed.This research is targeted for developing a strategy for special content. Eachtopic in the story book reflects a flow of the actual forest guide andgeographical features in the forest. Through this information, we hope tostrengthen the visitor’s experience from passive (i.e. observation) to an activeone, accompanied by listening, reading,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The methodology for developing this story book is based on analysis froma current geological environment in the forest. Using collected informationsuch as the number of visitors in Fantasy-Forest Gotjawal Park and otherexisting Gotjawal contents, we proposed a positioning target. Five sampleswere chosen for evaluation by children, by which a new strategy isestablished.The steps of developing a story book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guide contents in the Fantsy-Forest Gotjawal Park are analyzed todistinguish representative topics in special guide points and features in aguide’s plot. Based on this analysis, a theme and an objective has been set inthe story book. Then, these topic features are depictured as main characters.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story book is intended to provide interestinginformation and to awaken the value of Gotjawal by fresh stories from theforest. Furthermore, it is to find a prospective application for a self-directedguide-book.Finally, we hope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of tourism service in Je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