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래피티(Graffiti)를 활용한 도자 표현 수업 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the Expression Education of Ceramic through Graffiti : Focus on the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그래피티
도자 표현 수업
그래피티 활용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도자공예에 그래피티의 활용함으로써 그래피티가 가진 장식성, 조형성, 예술성을 적용하여 좀 더 참신하고 효과적인 도자 표현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미술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의 뚜렷한 개성이나 생각들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그래피티가 적합하고 이것을 도자 표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도자 표현영역에서의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 미술의 생활화를 유도하며 그래피티를 구성하는데 있어 캐릭터와 그림, 상징, 다양한 언어 등을 사용하여 그래피티 이미지를 독창적이고 진보적인 표현 방법으로 도자표현에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본 연구의 과정은 실제 수업에 앞서 문헌과 참고자료를 통해 그래피티에 대하여 고찰하고, 표현활동 전 개념 정립을 위해 그래피티의 개념과 기원, 내용 요소와 특성, 미술사적 전개 등을 탐색하여 자신만의 그래피티 이미지를 표현하였다.그래피티를 활용한 도자 표현 수업 제작과정은 먼저 자신만의 ‘그래피티 이미지’를 표현하고 도자공예의 일반적인 성형기법과 장식 표현기법을 습득한 뒤 ‘입체 생활용품 만들기’, ‘방 문패 만들기’, ‘장신구 만들기’ 등의 실제 수업을 하였다.그래피티를 통한 도자 표현 수업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첫째, 학생 개개인의 경험, 느낌, 생각으로 창의적이고 자유롭게 그래피티 이미지를 구성하고 이를 도자 표현에 활용함으로서 도자 표현 능력신장에 향상을 볼 수 있었다.둘째, 교사 중심의 지식 안내 수업이 아닌 학습자 주체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을 전개할 수 있었다. 도자 흙을 만지고 그에 맞는 표현 기법을 선택하고 활용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수업이 가능하였다.셋째, 도자를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완성작품을 상상하며 계획단계부터 스케치 성형, 완성의 모든 과정을 작품에 알맞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재료와 표현 방법을 권장하였더니 내용에 적합한 재료를 스스로 선택하고 각 작품에 적합한 표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창의성을 발휘하였다.넷째,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과 생각을 상상력을 발휘하여 표현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능한 표현을 시도하였다.다섯째, 하나의 도자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단계를 거쳐 나온다는 것을 깨닫고 작품의 완성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는 학생이 많았다.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그래피티를 활용한 도자표현은 그래피티 이미지 발상을 원활히 하고 창의적 사고를 불러일으키며 순수 창작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독창적인 도자 작품을 완성하여 도자 표현 능력신장에 긍정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o the more creative and effective class of ceramic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 of decoration, form and artistry through graffiti.This study is to lead the art to the part of daily life in the way of arousing students' interest from the field of ceramic expressions based on the thought that graffiti is suitable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characteristics and ideas freely in the fine arts education.This is also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graffiti image's applying to ceramic expressions with creativity and progressiveness using characters, paintings, symbols and various languages to construct graffiti.The process of doing this study examines graffiti in referring the documents or materials before the real classes, also expresses the creative graffiti images by searching the concept, the origin, the elements, the characteristic an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graffiti in order to build up the whole concept of creative activity.The first step to plan the ceramic expressions class with graffiti is creating graffiti images. The next step is doing the real cla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life articles, doorplates and accessaries after mastering the general technique of shaping and decorating.As a result of teaching ceramic expressions through graffiti,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First, students could make up the graffiti images creatively and freely with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ideas and improve the creative potential of the ceramic expressions by using the previous make-up.Second, the class was student-centered not teacher-centered by touching the ceramic clay and choosing or using the suitable expressive techniques.Third, students could produce the ceramic creatively. They exercised the active creativity for choosing the proper material and the expressive technique, when the teacher advised the students on the best material and technique for the good product from the planning stage, the make-up of sketch to the completion stage while imagining their finished work.Fourth,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imaginative potential. They attempted varied ways to enhance the expression effect of the interest and ideas with their imagination.Fifth, students came to realize that it needed many steps to produce a ceramic, felt a sense of great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about having made a ceramic themselves.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ceramic expressions through graffiti help the learners not only come up with ideas, arouse creative thinking, get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pure creation, but also positively increase their ability to produce cera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