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적응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지능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perceived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on their Resilience: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회복탄력성
정서 지능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적응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 지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적응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 지능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은 타당한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적응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 지능은 매개효과가 있는가?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 452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도구로 회복탄력성 척도,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적응성 척도, 정서 지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Bootstrap을 실시하여 매개변수의 효과와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가족 응집성은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 지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과 가족 적응성은 높은 상관을 지니며 가족 응집성은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로 하여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은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 지능이 매개하는 모형은 타당하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은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로 하여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 지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은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로 하여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며,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은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하여 정서 지능에 영향을 주어 회복탄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이 가족 적응성을 완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 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증거를 마련하고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위해 상담 실제에서 보다 의미있는 변인을 찾아 효과적인 상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