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 다큐멘터리의 기획과 스토리텔링 기법 : 첨부작품 <우리 곁의 친일잔재>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The Planning of Historic Documentary and Its Storytelling Techniqu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year 2019 i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refore a meaningful year in the history of Korea. Many broadcasters have made historic documentaries about it respectively. However, historic documentaries are not easy to produce. Its contents are difficult and fixed. Making historic documentaries is possible to be embroiled in the controversy of historic distortion. The composition of scenes of past events is difficult as well. In particular, time-based programs, which are produced at special seasons, must differentiate its subject matters from other broadcasters. Above all, people’s interest in historic documentaries is not strong. For these reasons, producers of historic documentaries experience difficulties. The author has taken part in the production of EBS documentary as a scriptwriter since 2017. Along the way, the author also took part in the production of in three parts, a work for the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roadcasted in January, 2019. The author wrote for the part of painting and for the part of musi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lanning of historic documentaries and its storytelling techniques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in the production of above works which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time of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one take part in the actual production of broadcasting works, he or she could take the concept of ‘a handbook of broadcasting production’ which is helpful to a scriptwriter. This is a different point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rather emphasize the perspective of direction. The factor, which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 of all in the planning of historic documentaries, is ‘what subject will the viewer be interested in?’ Because just hearing the word of history, some people consider it difficult, subject matters must induce audience’s interest when they once hear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differentiated strategy from other broadcasters. A most quick and accurate method of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strategy is to seek advice from specialists in the field. At this time, a clear directivity, which is established by production crew, is essential for seeking a valid advice from specialists. A most fundamental thing is a basic investigation. An overall design needs data in diverse areas such as ‘understanding of current situation’, ‘causal analysis’, ‘process’ and ‘result’. With these data one could design the core and stream of stories, thus establishing the overall plan of composition. When digging down the links of historic subjects, it will easily become vas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rganize related data and establish the scope of stories when basic investigation is underway. When the storytelling of a historic documentary concretely begins, a key matter is ‘how to put historic events in order’. The author presents a most interesting issue at first, thus inducing audience’s interest in it and then when audience becomes curious as to why, explains wer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addition, when audience’s interest in an issue is nearly exhausted, the author connects it with another interesting issue, thus making audience keep up their interes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not to lose the thematic consciousness, namely the skeletal of a program. Sensitive topics such as ‘pro-Japanese vestiges’ are high in the probability of getting sued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work out a countermeasure when a historic documentary is initially planned.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credible research institutes. The author excluded such issues of which reliability is not officially verified, no matter how interesting its content or argument is. Emotional contents were also excluded in the work of narration, thus trying to deliver objective truths maximally.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balance of description, the standpoint of people who were mentioned as a pro-Japanese figures was clearly presented. In doing so, the author provided audience with a base of judgment. It could be a schematic method, but it had such an advantage point as objectifying the eyesight of a program which could be biased. The most difficult part in the storytelling of historic documentaries is to compose scenes. Filming locations are limited, because it is the event in the past. Data screens and historic materials are presented for the most part. However, recently they frequently insert such methods as dramatizing or image reenacting. But it is difficult to use these methods when production cost is insufficient. In ‘the part of paintings’ the author focused how to display frequently appeared painting works. At last, the author used such a method as installing a projector on a wall in the street and then presenting the painting works. In ‘the part of music’,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reality of unknowing what is pro-Japanese music. By setting a stage in the studio, as in a music program, the author made pro-Japanese songs sung on the stage and then continued explains. These methods were used as a bridge and a ventilating element in both parts of painting and music, respectively. Therefore, if visual images and sounds are utilized properly, the composition of scenes can be abundant and storytelling will be strengthened in the end. Historic documentaries mainly use the modality of explanation. This modality is a most efficient method to deliver historic truths or academic information to audience. Now, the producer of historic documentaries faces with the question ‘how to explain it.’ Most universal methods of explaining historic documentaries are three: (1) to explain it with narrations, (2) to explain it by interviews, and (3) to explain it by specialists directly. The author did not followed these patterns, but placed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author vivifi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historic documentaries, but paid attention to the length of explanation in order for audience not to feel tedious. As above, the planning of historic documentaries must focus on the confirmation of objectivity and induce audience’s interest with differentiated subjects. In addition, storytelling must place interesting issues continuously, induce audience’s curiosity, focus on subject matters, and compose scenes diversely.
2019년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으로 뜻깊은 해다. 각 방송사에서는 많은 역사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하지만 역사 다큐멘터리는 제작이 까다로운 분야다. 기본적으로 내용이 어렵고 딱딱하다. 역사적 왜곡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의 사실로 화면구성이 쉽지 않다. 특히 특별한 시기에 맞춰 제작하는 계기성 프로그램은 타 방송과 주제의 차별화까지 모색해야 한다. 무엇보다 사람들의 관심이 적다. 역사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게 되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이유다. 연구자는 2017년부터 EBS 다큐멘터리 의 구성작가로 참여했다. 그 과정에서 2019년 1월에 방송한 ‘3·1운동 및 임정 수립 100주년’ 기념 3부작에도 참여했다. 이 중 ‘미술편’인 와 ‘음악편’인 를 집필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라는 시기에 맞춰 제작한 경험을 중심으로, 역사 다큐멘터리의 기획과 스토리텔링 기법을 연구하였다. 직접 제작에 참여했을 시, 구성작가에게 도움이 될 ‘방송 제작 입문서’의 개념을 가져간다. 이는 연출적인 관점이 강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점이다. 역사 다큐멘터리의 기획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 ‘시청자가 어떤 주제에 흥미를 가질 것인가’다. 역사라는 단어만 들어도 어렵다고 판단될 소지가 많기 때문에, 주제를 들었을 때 관심을 끌어당길 수 있어야 한다. 다른 방송과 차별화 전략은 필수다.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다. 이 때 제작진이 원하는 명확한 방향이 있어야 전문가에게 유효한 자문을 받을 수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기초조사다. 전체적인 구상을 위해서는 ‘현재 상황 파악’, ‘원인 분석’, ‘과정’, ‘결과’ 등을 알 수 있는 다방면의 자료가 필요하다. 그래야 이야기의 핵심을 무엇으로 잡고 흐름을 어떻게 잡아갈지 전체 구성을 세울 수 있다. 역사와 관련된 주제는 연관성을 파고 들어가기 시작하면 방대해지기 쉽다. 때문에 기초조사를 진행하면서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 이야기의 범위를 설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역사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을 시작하면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질서화 하느냐’가 관건이다. 연구자는 가장 흥미로운 사안을 초반에 제시하여 관심을 끌어가고, ‘왜’라는 궁금증이 생겼을 때 설명을 이어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어 하나의 요소에 흥미가 떨어질 때쯤 또 다른 흥미 있는 요소를 연결,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도록 배치했다. 이 때 프로그램의 뼈대인 주제의식을 놓치지 않도록 유의했다. ‘친일잔재’와 같이 예민한 주제는 차후 소송에 걸릴 확률이 높다. 구성할 때부터 이에 대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정부부처와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의 자료를 확보했다. 아무리 흥미로운 내용이나 주장이더라도 공식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는 요소는 배제했다. 내레이션 작업도 감정적인 내용을 제외, 최대한 객관적인 사실만 전달하는 방식을 취했다. 또한 서사적 균형을 확보하기 위해서 친일파로 거론되는 측의 입장을 명확하게 제시했다. 시청자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 것이다. 이는 도식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시선을 객관화 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역사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화면의 구성이다. 과거의 일이기 때문에 찍을 수 있는 현장이 한정되어 있다. 대부분 자료 화면과 역사적 자료를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최근에는 드라마타이즈나 이미지 재연의 방식을 삽입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하지만 제작비가 넉넉하지 않으면 쉽지 않은 방법이다. 연구자는 ‘미술편’은 자주 등장하는 미술작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여줄 것인가에 집중하였다. 최종적으로 거리의 한쪽 벽면에 프로젝터를 설치하고 작품을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였다. ‘음악편’은 친일음악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현실에서 착안했다. 음악프로그램처럼 스튜디오에 무대를 세팅하여 친일음악을 부르도록 하고 설명을 이어갔다. 각각의 방식은 각 편에서 브리지로 활용되며 환기요소가 되었다. 이렇듯 영상과 음향을 잘 활용하면 화면구성이 풍부해지고 결국 스토리텔링은 더욱 강화된다. 역사 다큐멘터리는 해설적 양식을 주로 사용한다. 역사적 사실이나 학문적인 정보들을 전달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제 제작자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의 문제에 놓이게 된다. 내레이션으로 설명하는 방법, 전문가의 인터뷰로 설명하는 방법, 전문가가 직접 자료를 설명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연구자는 패턴을 따라가기보다 내용에 따라 배치를 달리했다. 또한 역사 다큐멘터리가 가진 교육적인 기능을 살리되 지루하지 않도록 설명의 길이 조절에 유의했다. 이처럼 역사 다큐멘터리의 기획은 객관성의 확보를 가장 중점적으로 하되, 차별화되는 주제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또한 스토리텔링은 흥미로운 요소를 지속적으로 배치하며 궁금증을 유발하고, 주제에 집중하여 화면구성의 다양성을 가져가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