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 시청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폭력성 인지에 대한 연구 :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olence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Watching Video Contents of YouTube Influence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유튜브
청소년
중학생
1인미디어
폭력성
유사사회적상호작용
YouTube
Adolescent
Student
Personal media
Parasocial interaction
Violence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violent media contents are produced by YouTube platform and YouTube Influencer, and that adolescent users can accept it indiscriminately. For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YouTube Influencer that are known to affect teenagers and identified violent elements in their videos,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middle school students in five regions across the country research that violence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watching video contents of YouTube Influence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a social interac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lu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perception of violence differed according to who watched many videos, who they liked, and who they felt strongly about para social interaction among YouTube Influencer. In this study, violence cognition sub-factors were set as violence perception, imitation, and desensitization. Many watching videos of YouTube Influencer did not affect violence perception or imitation significantly, affect to desensitiz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group surve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YouTube Influencer, It is measured that the preference of who watches Youtube video affect the violence perception, imitation and desensitization. On the other hand, degree of watching video of YouTube Influencer, the stronger the para social interaction is felt. This is irrelevant to prefer, and watching a large number of videos from various YouTube Influencer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a social interactions. It is a very meaningful result that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s were measured in all cases between the degree of video watching of YouTube Influencer and the para social inter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para social interactions on the cognition of viol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violence, imitation, and desensitization. However, according to group surve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fer of YouTube Influencer, the effect on the violence perception, imitation, and desensitization varies according to para social interaction towards who.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watching of YouTube Influencer's video and the violence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watching a certain YouTube Influencer video regardless of preference was found to be influence that the effects of para social interactions are verified to be partially mediated to violence perception and imitation. In desensitization,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para social interaction on three pathways was measured. Frequent watching of the videos of a particular YouTube Influencer, known to make violent video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para social interaction in this process exerts a ful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watching a lot of videos of various YouTube Influenc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ensitiz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process, the para-social interaction towards the YouTube Influencer which is preferred by each middle school student exerts a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is an early study of the impact of the YouTube platform and YouTube Influencer towards to adolescents and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s traditional mass media effects theory to examine the impact of YouTube Influencer and their videos on adolescents.
본 연구는 유튜브 플랫폼과 유튜브 인플루언서로 인해 폭력적인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이를 청소년 이용자가 무분별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5개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 시청 정도가 중학생의 폭력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발생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 시청 정도가 중학생의 폭력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은 누구의 동영상을 많이 시청하고, 누구를 선호하며, 누구에게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을 느끼는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폭력성 인지의 하위요인을 폭력성 지각, 모방, 둔감화로 설정하였는데, 선호하는 유튜브 인플루언서에 따라 분류한 그룹 별 측정은 물론이고 다양한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 역시 폭력성 인지의 하위 요인인 폭력성 지각, 모방, 둔감화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측정되었다. 반면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을 많이 시청할수록 중학생은 강한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누구를 선호하는 지와 무관하며, 다양한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을 많이 시청하는 것 역시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 시청 정도가 중학생의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든 경우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측정되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은 중학생의 폭력성 지각, 모방, 둔감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측정되었는데, 선호하는 유튜브 인플루언서에 따라 분류한 그룹 별 측정에서는 누구를 향한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을 느끼는 가에 따라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 시청 정도와 중학생의 폭력성 인지 사이에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발생 여부를 측정한 결과, 특정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을 시청하는 정도가 폭력성 지각과 모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부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둔감화에 대해서는 3가지 경로에 대해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완전매개 효과가 측정되었는데, 폭력적인 동영상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을 자주 시청하는 것은 그를 선호하든 선호하지 않든 중학생의 둔감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 과정에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의 완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양한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동영상을 많이 시청하는 것 역시 중학생의 둔감화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이 과정에 중학생 각자가 선호하는 유튜브 인플루언서를 향한 유사 사회적 상호작용이 완전매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튜브 인플루언서와 유튜브 플랫폼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초창기 연구로, 유튜브 인플루언서와 그의 동영상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전통적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을 적용시켰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