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중학생의 성별 및 비만수준에 따른 식품표시 인식도 연구 / A Study On Food Label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Lebel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최근 현대 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등의 변화로 청소년기의 비만 인구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자신의 외모에 관심이 많은 시기로 이에 따른 체중 조절 관심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가공식품 선택 시 식품표시제를 참고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성별 및 비만 수준에 따라 식행동과 체중 조절 관심도를 조사하고, 동시에 현재 중학생들의 식품표시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습관 및 식행동, 체중 조절 관심도, 체중 조절 경험 여부, 식품표시 인식도, 식품표시 관련 영양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및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에 근거하여 비만 수준을 분류하였다. 전체 학생 중 과체중군과 비만군에 속하는 비율이 26.5%로 조사되었다. 식습관 및 식행동태도는 총 40점 중 전체 학생의 평균점수는 25.29점으로 나타났다.체중 조절 관심도가 높을수록 체질량지수 과체중군, 비만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의 비율이 높았다. TV, SNS 등 다양한 매체가 자신의 체중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이는 체중 조절 관심도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중 조절 경험 방법은 여학생의 경우 주로 식이요법을 통해 조절 하였고, 남학생의 경우 운동을 통해 시도했다. 식품표시 인식도는 비만 수준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는 정상군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성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는 여학생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제도를 알게 된 경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알게 된 비율이 많았다.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이유로는 유통기한을 확인하기 위해 참고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가공식품에 표시하는 영양표시제 형식이나 표시 방법 등을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개선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식품표시 관련 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점으로는 자신의 건강 향상이라고 응답한 수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식품표시 관련한 영양교육 연구의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성별 및 비만 수준에 따른 식품표시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성별과 비만 수준에 따라 식품표시 인식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교 교육과정에서 식품표시 관련 교육의 효율적인 프로그램 체계를 구축하게 되면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풍부한 영양학적 지식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in modern society, the obesity population of adolescence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such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dolescence is a period of interest in one's appearance, and the interest in weight control is increasing day by da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behavior and interest in weight control according to the gender and obesity level of adolescence, and at the same time,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food labeling among current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7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analyzed the subjects' general matters,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 weight control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food label awareness, and nutrition education related to food labeling. The study analysis and results were first classified into obesity levels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of the study subjects. The proportion of overweight and obese students among all students was 26.5%. For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s, the average score of all students was 25.29 out of a total of 40 points. The higher the interest in weight control,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subjects in the BMI overweight group and the obese group. Many students thought that various media such as TV and SNS influence their weight change, and this was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interest in weight control. The weight control experience method was mainly controlled through diet for female students, and exercise was attempted for male students. Food label recogni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he normal group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obesity level, and female students' recognition was high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Most of the paths that people came to know about the food labeling system were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most common reason for checking food labeling was referring to the expiration date. The reason for checking the nutrition label appeared to be a low rate.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in food labeling as the reason for not checking food labeling,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at and labeling method of nutrition labeling on processed foods should be improv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As for the benefi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education on food labeling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high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improved their health.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ctive development of research on nutrition education related to food labeling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ood labeling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lev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food label recogn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level. If an efficient program system for food labeling related education is established in the school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rich nutritional knowledge and correct eating habits for growing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