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 내 공감 구조에 따른 과제 몰입, 집단 실체성 지각 및 응집성 / Impact of empathy structure in groups: Effects on task-focus, group entitativity and cohes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공감
집단 상호 공감 구조
과제 몰입
집단 실체성
응집성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empathy structures in groups affect group member's task-focus, perceived entitativity and cohesion. “Mutual empathy” is defined as cognitive understanding and affective response that are derived from valuing the welfare and taking the perspective of the partner at the dyadic level.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group member’s level of task-focus, group entitativity, and cohesion would vary in accordance with the group’s empathy structure.In the balanced structure(empathic-balanced/non-empathic-balanced structure), it was expected that groups would experience lower levels of tension and higher levels of task-focus than in the imbalanced structure(empathic-imbalanced structure). Also, empathic-balanced groups were expected to perceive higher levels of group entitativity and experience higher cohesion than other groups. Moreover, it was expected that non-empathic-balanced groups would perceive lower levels of group entitativity and cohesion than other groups. In Study 1, 66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ad the scenarios(about 'member of empathic-balanced group', 'member of empathic- imbalanced group with two-person connected', 'member of empathic-imbalanced group with one-person connected', 'member of non-empathic–balanced group') and respond to the items regarding affects(including tension related affects), task-focus, perceived group entitativity, cohesion and other behaviors which could be observed in a group.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empathic-balanced group member condition reported the highest levels of perceived group entitativity and cohesion, whereas participants in the non-empathic-balanced group member condition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those variables. However, empathy structure did not affect group member’s level of tension, and unexpectedly participants in empathic-balanced group member condition reported higher level of task-focus than other conditions. Group member’s positive/negative affects, coordination motivation, open communication, relation/task conflict level also differed from each experimental conditions. Based on the Study 1, Study 2 was conducted to explore empathy structures on bona-fide groups consis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n Study 2 group’s mutual empathy was measured in a quantitative manner based on empathy structure and supplementing items of experiencing tension, task-related behavior within group were use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real teams could be characterized as certain empathy structure. Also, the result of group entitativity, cohesion, and other intragroup behavior corresponded to those of Study 1. Member’s level of tension related affect(‘uncomfortable’) was highest in empathic-balanced group and lowest in non-empathic-balanced group. Therefore, the hypothesis on level of tension was not supported. On the other hand, non-empathic-balanced group reported higher level of task-related behavior within group than other groups, thus hypothesis on task-focus was partially supported. Integrating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each mutual empathy structure has its own unique group dynamic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at the end.
본 연구는 양자 간 관계에서 서로 상대방의 안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관점 취하기를 한 결과 상대방에 대한 인지적 이해 및 정서 반응이 일어난 현상으로 ‘상호 공감’을 규정하고, 집단 내 상호 공감 구조(공감 균형 구조/공감 불균형 구조/비공감 균형 구조)에 따른 집단의 과제 몰입, 집단 실체성 지각 및 응집성 경험을 두 편의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집단 상호 공감 구조를 시나리오를 통해 조작한 실험 연구를 통해, 참가자들이 경험하는 정서, 과제 집중, 실체성 지각, 응집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했다. 연구 2에서는 팀 과제를 진행 중인 현장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집단 상호 공감 구조가 실재하는지와 각 집단에서 발생하는 집단 과정 및 행동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구조가 균형(공감 균형 구조/비공감 균형 구조)일 경우 불균형(공감 불균형 구조)일 때보다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긴장 수준은 낮고 과제에 대한 몰입 수준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집단 실체성 지각과 응집성 경험 수준이 공감 균형 구조의 집단이 가장 높고 비공감 균형 구조의 집단이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 1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4수준(공감 균형 구성원/공감 불균형-2인 연결 구성원/공감 불균형-1인 연결 구성원/비공감 균형 구성원) 피험자간 무선요인 설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집단 상호 공감 구조는 시나리오 상황 속 팀원들 간 상호 공감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통해 조작했다. 그 결과 집단 실체성 지각과 응집성 경험 수준에 대해 연구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반면 구성원들의 긴장 정서 경험 및 과제 몰입에 대한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특히 집단의 과제에 대한 집중 수준이 공감 균형 집단이 가장 높고 비공감 균형 집단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던 정적/부적 정서 경험, 협업 동기, 개방적 의사소통, 과제 갈등, 관계 갈등 등의 변수들에서는 집단 공감 구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대학 교양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 팀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했다. 특히 집단 상호 공감 구조를 양적 차원으로 환원하여 측정하고, 상호 공감 발생 수준과 종속 변수들 간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1에서 지지되지 않았던 집단 과제 몰입 수준의 결과를 보완 및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집단 상호 공감 수준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현장 집단에서 상호 공감 구조가 고르게 분포할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집단 실체성 지각, 응집성 경험 등에서 연구 1과 동일한 결과를 확인했다. 정적/부적 정서, 지각된 협업, 팀에 대한 호감 등의 변수들에서는 집단 상호 공감 점수와의 2차 선형 관계가 유의한 것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과제에 대한 집중과 과업 측면 몰입의 결과가 서로 다른 방향의 추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제에 대한 집중은 공감 균형 집단이 가장 높고 비공감 균형 집단이 가장 낮지만, 관계적 측면에 비해 과업 측면에 몰입한 정도에 대해서는 비공감 균형 집단이 가장 높고 공감 균형 집단이 가장 낮았다. 집단 과정 변수들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할 때, 이는 상호 공감 구조에 따라 각 집단에서 고유한 역동이 발생할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