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학습환경 인식이 인지된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접근방식의 매개효과 분석 / The effec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on Perceived learning effectiveness in Digital Textbook-Based Instruction :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in the Learning approach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디지털교과서
학습환경
학습접근
매개효과
Language
Korean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학교교육에서 새로운 학습환경을 형성하여 유의미한 학습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유형의 교과서로서 디지털교과서는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활용 장면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이 실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디지털교과서 학습환경을 학습자 중심 환경의 맥락에 적합하게 인식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학습과정과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환경 인식과 학습접근방식, 인지된 학습효과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습환경 인식이 인지된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학습환경 인식과 인지된 학습효과와의 관계에서 학생의 학습접근방식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6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초등학교 4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지도아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인 397명의 자료(남자 199명, 여자 198명)는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특히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와 Bootstrap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환경 인식, 학습접근방식, 인지된 학습효과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학습환경 인식은 인지된 학습효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학습환경 인식의 하위요인 중 ‘학생 자율성’, ‘개인적 관련성’, ‘적극적 학습’ 순으로 인지된 학습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접근방식은 학습환경 인식이 인지된 학습효과를 예측하는데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디지털교과서 학습환경을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에 적합하게 인식할수록 심층적으로 학습에 접근할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를 높게 판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을 실시하는 교사들이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습환경을 검토하고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