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행동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Nature Experience Program on Disabled Students, Behavior and Emo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자연체험학습
Language
Korean
Abstract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행동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장애학생의 행동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심학산을 체험 공간으로 설정하고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 7회 차 분량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특수학교 고등부 1학년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장애학생들의 행동 및 정서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관찰일지 작성, 녹음, 비디오 촬영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장애학생의 행동 및 정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심학산에서 학생들이 일정한 거리의 산책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첫 번째 장소에서는 자기나무를 정하고 자기나무에 이름을 붙여주고 변화를 관찰하며 자기나무를 그리고 나뭇잎과 줄기 등을 탁본 및 스크래치 하는 활동과 새총 만들기 등의 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자연에서 나무를 체험하게 하였으며 야생화 채집하기, 야생화의 꽃, 뿌리, 줄기 관찰하기, 자기 손발을 그린 작품에 자연물로 꾸미기, 나뭇잎 장식 왕관 만들기, 자연물로 곤충 만들기 등의 활동을 통하여 주변에 피어나는 꽃과 사물을 관찰하고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 학습 프로그램은 등산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감각을 통해 자연을 직접 체험하고 느낌으로써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하였다. 잦은 실패로 인해 성공에 대한 낮은 기대감을 갖는 장애학생들에게 쉽고 반복적인 과제를 제시하여 성취감을 맛보게 하고 두려움을 감소시켜 과제에 대한 동기를 부여 하였다. 또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좋아하는 분야의 과제를 제시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하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장애학생들의 행동적인 측면에서는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과 지속시간이 학교에서의 수업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과제 수행과정에서도 자연체험활동에서 보다 더 상호 협조적이며 서로 도우며 과제를 수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빈도가 낮은 장애 학생들이 산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자연에서의 체험 활동을 통하여 정서적 안정을 나타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자연체험학습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즐겁게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읽어주는 모습을 보였고 스스로 인내심을 가지고 과제를 수행하며 감정이나 충동을 억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장애학생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학생들의 행동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atural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disabled students were studied. For this purpose, Shimhaksan in Gyeonggi-do was set-up as the experiential center and 7 natural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disabled students were developed. 7 high level students at a special-education school located in Paju city, Gyeonggi-do were the test subjects. After the application of natural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disabled students, student observation, daily record, recording, video recording, etc. were conducted to study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s of the participants. The natural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targeting disabled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so that the students can take walks of certain distances and participate in various natural experiential activities at Shimhaksan. The students conducted craft activities such as choosing and naming their own trees, observing changes, drawing and making rubbings of leaves, stems, and other parts of plants, and making slingshots. They also observed and felt the surrounding flowers and objects through collecting wildflowers, observing wild plants' flowers, roots, and stems, decorating their artwork with natural material, making leaf-crowns and insects from natural material, etc. The results after implementing these programs for disabled students revealed that in the behavioral aspect, the students showed evidently elevated attention-concentration, its span, cooperation, and helping others in the process of fulfilling tasks during program activities than in in-school classes. Also, disabled students who have low social cooperation frequency in school or the community showed active social cooperation with people confronted in the mountains. In the emotional aspect of the disabled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was achieved in students through the experiential activities in natural surroundings. Students pleasantly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read others' emotions through the natural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howed patient execution of assignments and suppression of emotions and impulses. It can be argued that the various factors of the natural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disabled students led to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