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자 학습이 법률용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ffects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on Student's Legal Terms Understandi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한자
법률용어
이해도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자 학습을 통해 법률용어를 지도한 집단’과 ‘한자 학습 없이 법률용어를 지도한 집단’ 간의 법률용어 이해 향상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한자 학습이 법률용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학적으로 알아본 실험연구이다. 한자 학습 여부에 따른 법률용어 이해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우선 ‘한자 학습이 법률용어의 이해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험 대상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청량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개 학급(28명)과 비교집단 1개 학급(30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이후,『법과 정치』교과서 Ⅳ단원(민법 단원)에 나오는 법률용어 92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2차 사전 검사지’와 ‘사후 검사지’를 구안하였다. 1차 사전 검사지를 통해 ‘법률용어에 대한 주관적 이해도 검사 및 한자어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일주일 후 2차 사전 검사지를 통해 ‘객관적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한자어․객관적 이해도에 대한 두 집단 간의 등질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92개 법률용어에 대한 문항별 분석을 통해 주관적․한자어․객관적 이해 정도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이해도와 객관적 이해도와의 상관관계, 한자어 이해도와 객관적 이해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법률용어사전식 풀이’만으로 구성된 비교집단용 학습지와 법률용어의 ‘한자 풀이’, ‘한자어 추론을 통한 한자식 풀이’가 추가된 실험집단용 학습지를 8차시 분량으로 개발하여 매 차시 수업 시작 직후 학습지 활동을 전개하였고, 단원이 종료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및 검증의 실행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12.0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 및 지표로는 ‘t-test’, ‘X²-test’ 및 ‘정답수와 정답률’, ‘정답수 차(差)와 정답률 향상 차(差)’ 등을 활용하였으며, ‘집단별 이해도‘와 ‘문항별 이해도’로 구분하여 사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별 이해도와 관련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법률용어 이해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특히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더 크게 향상되었다. 문항별 이해도와 관련하여 우선 92개 모든 법률용어들에 대해 ‘X²-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법률용어의 개수가 많았다. 또한, 92개 문항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답수와 정답률’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92개 모든 법률용어들에 대해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정답수 차(差)와 정답률 향상 차(差)’를 분석한 결과, 72개의 법률용어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정답률의 향상 정도가 높게 나왔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법률용어에 대한 ‘한자 풀이’, ‘한자어 추론을 통한 한자식 풀이’를 추가로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법률용어사전식 풀이’만을 통해 법률용어를 학습한 비교집단의 학생들보다 법률용어의 이해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석과 결론에 의거하여 연구에서 설정한 ‘한자 학습이 법률용어 이해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연구가설을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첫째, 법률용어에 대한 ‘한자 풀이’ 및 ‘한자어 추론을 통한 한자식 풀이’가 학생들에게 이해도 증가는 물론 호응도 좋다는 현장에서의 가설적인 주장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에서의 함의를 통해 법교육 실천과 관련된 실질적인 논의사항을 제공했다는 점에서도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특히 지금까지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 관련 연구에서는 ‘용어 이해도 향상’이라는 목적 측면의 연구와 ‘한자 학습’이라는 수단 측면의 연구 모두 부족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