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명 사상의 인성 교육적 가치와 고등학교 윤리교과서 내 서술비중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Study on the Value of Character Education of Nammyung's Thoughts and Critical Review on the Proportion of Narration in High School Ethics Textbook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
문무겸비지사
선비정신
인성 교육
윤리와사상 및 생활과 윤리 교과서 서술
Language
Korean
Abstract
Why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narration in the ethics textbook, nevertheless Nammyung Jo Sik(1501~1572) and Toegye Lee Hwang(1501~1570) are the two representative Confucians(巨儒) of Sarim in the 16 century? This research began from this matter. Nammyung and Toegye were born in the same year (1501), and Toegye passed away 2 years ahead (1570), actually they lived in the same era. Nevertheless, they only exchanged letters a few times without meeting, and they showed quite different aspects in the academic tendency, attitude, and educational method. Nammyung was a ‘Confucianist with a sword’, emphasize practical Confucianism. That is, he was a literary(文士的) Seonbi as well as a military(武士的) Seonbi. He was so-called a person of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文武兼備之士). Also, he lived a life of Cheosa(處士) through his life, however he did not spend a moment without worrying about the nation and the people. Even in the terrible disaster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point that all of 57 righteous army heads of Gyeongsangdo were his students well shows practical and military(武的) characteristic, as well as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憂國愛民 精神) of Nammyung ideology. Toegye can be said that he greatly contributed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theory differently from China in the aspect of Simseongron(心性論) by focusing on in-depth study and established a solid foothold of Sarim(士林) based on a gradual reformation through government service(出仕), Nammyung was a true symbol of Seonbi spirit, who intended to reform the unfair reality through a strong will for innovation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Confucianism, holding to a strict Chulcheogwan(出處觀). This way, since their Chulcheogwan, ideological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were mutually contrasting, it would be very helpful for the students to study in comparison of two excellent scholars’ ideology, if ethics textbooks, particularly, high school『Ethics and Ideology』and『Life and Ethics』 included the contents of Nammyung and Toegye. However, unfortunately Nammyung was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winding history, due to this, proper outcome of research was delayed, accordingly, he was excluded from the contents of ethics textbook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textbooks, which take the role of Character education, increase of the contents of Nammyung can be said rather late. In the ethics curriculum, practic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education. From now, efforts to cognize and increase the contents of the value of Character education of Nammyung, in ethics textbooks, particularly in high school 『Ethics and Ideology』 and 『Life and Ethics』.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과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은 16세기 사림을 대표하는 두 거유(巨儒)임에도 왜 도덕윤리교과서 서술비중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남명과 퇴계는 같은 해에 태어나 거의 비슷한 시기(퇴계가 1년 정도 앞섬)에 세상을 떠난 인물들이다. 그럼에도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이 몇 차례 서신 교환만 했을 뿐이고 학문 경향과 태도, 교육방식에 있어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남명은 실천유학을 강조한 ‘칼을 찬 유학자’ 다. 즉, 문사적(文士的) 선비이면서 무사적(武士的) 선비의 특징도 갖는 유학자이다. 이른바 문무겸비지사(文武兼備之士)이다. 또한 그는 평생 처사(處士)로서의 삶을 살았지만 나라와 백성에 대한 걱정을 단 한 번도 내려놓지 않았다. 임진왜란의 참화 속에서 경상도 의병장 57인 모두가 그의 제자였다는 사실은 남명 사상의 실천적이고 무적(武的) 특징, 우국애민 정신(憂國愛民 精神)을 잘 보여준다. 퇴계가 깊은 학문 연구에 주력하여 심성론(心性論) 측면에서 중국과 다른 독자적 이론 정립에 큰 공헌을 하고 출사(出仕)를 통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여 사림(士林)의 입지를 다져 놓았다면, 남명은 엄정한 출처관(出處觀)을 견지하여 유학 본연의 가르침에 따라 부정한 현실을 강렬한 쇄신의지로 개혁하고자 한 선비정신의 참 표상이었다. 이렇듯 서로의 출처관과 사상적 경향, 특징이 상당히 대비되기 때문에 도덕윤리 교과서 특히, 고등학교『윤리와 사상』 및 『생활과 윤리』에 남명과 퇴계 모두가 서술되었다면 우리 학생들이 두 훌륭한 학자의 사상을 비교하여 공부하는데 대단히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남명은 굴곡진 역사 속에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였으며 그로 인해 본격적인 연구의 성과도 늦어지게 되었고 결국, 도덕윤리 교과서 서술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인성 교육 주관교과인 도덕윤리교과의 성격에 비추어 보면, 남명에 대한 서술 비중을 늘리는 것은 오히려 그 시기가 늦었다고 할 수 있다. 도덕윤리교과는 지식교육보다 실천하도록 하는 교육이 더 중요하다. 이제라도 남명이 가진 인성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여 도덕윤리교과 특히, 고등학교『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에 그 서술비중을 늘리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