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뉴실버세대를 위한 스마트 TV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향성 제안 / The Smart TV Interface Design for the Chinese New Silver Ag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최근 사회 여러 분야에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각종 상품 개발이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사회 조류에 따라 급속하게 사용량이 늘고 있는 스마트 TV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기존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의 검증된 결과물을 적용하여 설문을 작성하였으며,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국시장의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TV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표를 두었다. 검증 방법으로서는 디자인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를 상대로 각각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조사항목의 개발을 위해서 일차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7원칙을 고찰하고 정리하여 이를 중심으로 7개의 1차 계층 항목과 31개의 2차 계층 항목을 도출하였다. 설문 대상은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전문가를 포함한 실무자 집단 6명과 일반 뉴실버세대(고령자) 2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는 과 을 제외한 5가지 요인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업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과 을 제외한 5가지 요인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소득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7가지 요인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 결과, 전문가 집단은 을 가장 중요하다고 꼽은데 반해 소비자 집단은 를 꼽았다. 이는 전문가 집단은 실사용자가 아니라는 점과 이론에 근거하고 있는 측면이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사용자인 고령자의 경우 스마트 TV가 낯설고 사용이 어렵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우선으로 꼽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을 최하위로 뽑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앞서 도출한 계층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나타난 항목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TV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향성으로 제안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최종 콘텐츠를 쉽게 인지하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의 기능이나 요소들이 애매하지 않게 표현되는 정도와 인터페이스 요소가 최적화되어 표현되어야 한다. 셋째,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TV의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를 배치해야 한다. 넷째, 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TV를 사용하면서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정도와 인터페이스 화면에 나타나는 구성 요소들 및 내비게이션 방식에 혼동이 없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한 사례 분석과 실증 연구를 통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기존 연구와는 다른 측면에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제품 마케팅 관련 연구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