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 친화 홈트레이닝 운동 의자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ge-Friendly Exercise Chair in the Non-Face-to-Face Er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운동 의자
노인 의자
의자 기반 운동 프로그램
고령친화
홈트레이닝
사례 연구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xercise chair that reflects the body size of older adults with embedding of exercise function for arm and leg, and then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e exercise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chair.The development of the exercise chair was completed through chair design, plan, production and modification with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requirements for an age-friendly exercise chair with the execution of the research of related documents and market and actual measurement of the older adults’ body size(158 olds, from 65 years old to 94 years old) and interviews(10 olds who attends silver welfare center, 10 senior sports instructors, 14 employees for silver welfare center) from February 2019 to March 2020. After the exercise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chair was organized, mixed methods research(interviews, pre/post strength tests, field log) was applied to 3 families of the old couples for 8 weeks from July 2020. Through these processes, deduced improvement points for the exercise chair and the exercise program are as below. First, the developed exercise chair was considered body dimensions of older adults'(seat height 380mm, back height 900mm) and equipped the exercise functions of psoas muscles, hip adductors muscles, biceps, and rotator cuff muscles.The improvement of the exercise chair were appeared as the amendment of design for the revelation of resistibility on function for arm movement, adjustment of operation allowance during input and output of leg movement tool and addition of finishing touches to solve noise problem on the operation unit of arm movement. Second, the exercise program was consists of 30 minutes long of combined exercise for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with focuse on 4 types of the chair’s exercise function. 6 old participants brought exercise chair at their home and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through 2 times of ‘non face to face’ exercise(with use of exercise video) in a week and 1 time of face to face exercise (the instructor’s visiting) in a week and about 23 times of exercise participation were recorded in average and there was no accident during using of the exercise chair. Compared average values of pre/post strength tests results appeared as improved for arm flexibility, leg muscular strength, leg flexibility,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except for arm muscular strength. Step-by-Step formation of coordinated movement, seeking of various movement of the exercise chair use, preparation of various exercise contents, and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for exercise contents appeared as improvement points of the exercise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exercise chai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신체 사이즈를 반영하고 상·하지 운동 기능을 탑재한 운동용 의자를 개발하여 이것을 활용한 운동프로그램의 실현 가능성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노인 운동 의자 개발은 2019년 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관련 문헌 및 시장조사 · 노인 신체 치수 실측(노인 158명, 65세~94세) · 인터뷰(노인복지시설 이용 노인 10명 · 노인운동 지도자 10명 · 노인복지시설 관계자 14명)를 시행하여 고령 친화 운동 의자의 필요 요건을 선정한 후, 이것을 바탕으로 의자 디자인 · 설계 · 제작 및 수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개발된 의자를 활용한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하여 2020년 7월부터 8주간 노인 부부 3가정에서 혼합 연구 방법(참여자 인터뷰 · 사전/사후 체력 평가 · 관찰일지 작성)으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운동 의자와 운동프로그램의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운동 의자는 좌고 380mm, 등판높이 900mm로 노인의 신체 사이즈를 반영한 규격이며, 대요근 · 내전근 · 이두근 · 어깨 회전근개 운동 기능이 탑재된 것이다. 운동 의자의 개선점으로는 상지운동 기능의 저항성 발현을 위한 설계 수정, 하지운동 도구의 인입·인출 작동 공차 조정, 상지운동 작동부의 소음 발생 해결을 위한 마감 처리 추가로 드러났다. 둘째, 운동프로그램은 의자의 운동 기능 4가지를 중심으로 한 소요 시간 30분의 근력·유연성 복합운동으로 구성하였다. 6명의 노인 참여자는 8주 동안 각 가정에 운동 의자를 비치하고 주 2회 비대면 운동(운동 영상 활용), 주 1회 대면 운동(강사 방문 지도) 방식으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 평균 23회 운동 참여를 기록하였고, 운동 의자 사용 과정에서 사고 발생은 없었다. 사전/사후 체력 평가 결과 참여자 평균값을 비교하면 상지 근력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상지 유연성, 하지 근력, 하지 유연성, 심폐지구력 항목에서 향상이 나타났다. 운동 의자를 활용한 운동프로그램의 개선점으로는 협응 동작의 단계별 구성, 운동 의자 활용 동작의 다양성 추구, 다양한 운동 콘텐츠 마련, 운동 콘텐츠의 접근성 강화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