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목련의 산림 내 분포 및 귀화 특성 /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nd Naturalization of Magnolia obovata in Forests of Kore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경급분포
귀화단계
귀화식물
조경수
침입식물
Language
Korean
Abstract
일본목련은 일본원산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국내에 도입된 지 90여년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림 내에서 치수가 빈번히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산림에 산포되어 있는 일본목련의 생태적 특성과 영향을 조사․분석하고 귀화식물로서 인정여부를 판단하여 향후 일본목련의 산림 내 지위변화 등을 예상하고, 나아가 목본식물의 귀화 판단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도입 목본의 귀화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 가능한 하나의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의 도솔산을 중심으로 총 5개의 대상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도솔산의 일본목련은 높은 고도로 확산이 이루어지고 장거리로 산포하였다. 또한 단목으로 출현하고 낮은 밀도로 출현하는 등 종 고유의 출현특성을 보인다. 비대생장과 신장생장은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49.6%에 해당하는 개체가 개화가 가능한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흉고직경이 커질수록 근맹아를 가진 개체의 비율이 높아져 산림 내 정착한 일본목련이 점차 안정적인 입지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일본목련 차대목의 개화, 결실, 그리고 실생묘의 확인은 정상적인 번식과정을 기반으로 생활환을 완성했음을 알 수 있으며, 흉고직경에 따른 개체수가 역 J형 곡선을 보이고, 감소계수가 1.8을 초과함에 따라 개체군의 발달이 진행 중에 있다. 이런 현상은 도솔산뿐만 아니라 서울시 서리풀공원, 경기도 구학골산, 강원도 남이섬, 부산시 엄광산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일본목련은 귀화식물로 인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생활환과 개체․개체군의 발달을 기반으로 한 외래 목본식물의 귀화여부 확인과정은 일본목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종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생활환의 완성을 기반으로 귀화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해당 시점은 이미 확산이 진행 중인 상태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귀화단계를 세분화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목형 외래목본식물의 귀화과정을 도입, 발달, 정착, 확산, 안정의 5단계로 구분하고, 발달 단계를 차대목의 발달 정도에 따라 두 단계로 세분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귀화 가능성이 높은 외래수종을 귀화하기 이전에 선별적으로 모니터링한다면 외래목본식물의 귀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 obovata native to Japan is a deciduous broadleaf canopy tree. Almost 90years have passed since the tree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the M. obovata individuals could be observed fr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at M. obovata is naturalized and suggest a procedure based on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five study sites, Dosolsan, Suripul park, Namisum, Guhakgolsan, and Umgwangsan. M. obovata individuals have been distributed in higher altitude, long distance area, and the density was relatively low. Growth in diameter and enlongation was satisfactory, and 49.6% of the total individuals developed to mature trees. Sprouting individuals were increased with DBH, and gradually getting stabilized. Life cycle was confirmed with investigation of flower-blooming, seed-bearing, and seedlings. Diameter distribution with reverse J-shaped curve represented population development. Silmilar phenomenon was observed in the other four study sites. Therefore M. obovata could be recognized as a naturalized plant species. The confirmation process based on life cycle, individual and population development might contribute to ascertain naturalization of the other canopy trees. However, it could spread widely when the species is designated as a naturalized plant. Thus, Naturalization stage should be departmentalized. In this study, aturalization stage was divided into 5 phases, introduction, development, establishment, expansion, and stabilization. The development stage was divided into two situations. This approach might contribute to effective response to naturalization of alien canopy trees when the species are being monitored before naturalization using th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