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Performanc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유방암
교육
환자
간호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The research subjects wer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got a mastectomy in K or Y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with 21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peopl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daily life management, self-care, cancer treatments, lymphedema, sexual life,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nd diet for three weeks. The program was provided once a week from April 13 to April 29, 2015.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nowledge Scal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S-Br),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and Self-Care Performance Scale developed by N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WIN 2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demographic and disease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nowledge (p
본 연구는 유방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문헌고찰을 통해 유방암 환자의 교육 요구를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방암의 치료에서 재발 방지까지 환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내용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K대학교 병원 또는 Y대학교 병원에서 유방암 수술 후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하는 자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15명으로 총 3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에게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3주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제공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 수행의 변화를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 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과 달리 지식(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