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판소리 〈심청가〉와 뮤지컬 〈심청〉의 표현수단 비교 : 말, 음률, 동작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he expressive means of Pansori 〈Simcheongga〉 and musical 〈Simcheong〉 : around words, tones, and movem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현재 판소리는 동편제와 중고제, 서편제 등의 유파가 전승되고 있다. 동편제의 시조 송흥록, 중고제의 시조 염계달, 서편제의 시조는 박유전으로, 송흥록과 염계달은 19세기 전반의 ‘전기 8명창’이고, 박유전은 19세기 중후반의 ‘후기 8명창’이다. 이삼현의 ‘이관잡지’에서 전기 8명창 전 세대에 ‘우춘대’라는 창자의 기록이 있고, 김조순의 풍고집에서 우춘대 창자가 ‘말과 동작을 꾸미고’, ‘신들린 듯한 소리’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현재 전승되는 판소리 유파의 생성 이전부터 판소리 창자는 ‘말’, ‘소리’, ‘동작’을 표현수단으로 활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과 ‘소리’, ‘동작’은 현재 ‘아니리’, ‘소리’, ‘너름새’의 판소리 구성 3요소로, 판소리 형성단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는 본질적 성질임을 알 수 있다. 뮤지컬은 배우의 ‘연기(말)’, ‘노래(음률)’, ‘춤(동작)’을 활용하는 장르로, 판소리와 뮤지컬은 공통적으로 ‘말’과 ‘음률’, ‘동작’을 표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공연예술이다.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와 뮤지컬 〈심청〉의 비교연구를 통해 판소리 표현수단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판소리와 뮤지컬은 제작에 기본이 되는 텍스트를 각각 사설과 대본이라고 한다. 판소리 〈심청가〉 사설은 ‘해설’과 ‘대사’로 구성된다. 작품 전반의 내용의 ‘해설’과 극중 인물의 말인 ‘대사’를 창자 혼자서 교차하며 구현한다. 청중은 오로지 창자의 표현에서 작품의 정보를 얻기 때문에, 창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는 원형의 형태를 보인다. 뮤지컬 〈심청〉 대본은 ‘해설’과 ‘대사’, ‘지문’으로 구성된다. ‘해설’은 작품 전반의 정보를 무대미술 및 장치 등으로 표현하고, ‘지문’은 배우의 연기를 위한 정보, ‘대사’는 배우가 연기하는 극중 인물의 말이다. 뮤지컬은 일반적으로 무대미술 및 장치의 활용이 용이한 ‘프로시니엄 무대’ 형태를 활용한다. ‘말’은 판소리에서 ‘아니리’, 뮤지컬에서는 ‘연기’라고 한다. 판소리에서 ‘말’은 창자의 몫이고, 뮤지컬에서 ‘말’은 배우의 몫이다. 배우는 ‘대사’를 통한 ‘극중 인물의 말’로 인물의 정서와 상황을 전달하며, 무대 위에서 배우 자신이 아닌 극중 인물로서 존재한다. 뮤지컬은 배우의 ‘말’ 뿐만 아니라, 무대미술 및 장치 등의 시각 언어와 악기 연주 음악의 청각 언어 등의 ‘해설’로 다양한 볼거리와 풍성한 음향적 효과를 더한다. 판소리 창자는 ‘아니리’에서 극중 상황과 인물의 감정 등 뮤지컬에서 무대미술 및 장치를 활용한 표현까지 ‘해설자의 말’로 표현하고, ‘극중 인물의 말’을 통해 작품 내적 인물을 묘사한다. 창자의 ‘극중 인물의 말’은 배우와 유사해 보이지만, 창자는 ‘해설자’과 ‘극중 인물’을 수시로 교차하면서, 극중 인물의 실제적 연기가 아닌 ‘해설자’로써 청중의 연상작용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자는 작품 외적 현실세계로 빠져나와 분위기를 환기시키고, 현장성을 살리기 위해 ‘창자의 말’을 활용한다. ‘음률’은 판소리에서 ‘소리’, 뮤지컬에서는 ‘노래’ 혹은 ‘음악’으로 부른다. 뮤지컬 〈심청〉에서 악기 연주 음악은 ‘극의 분위기(tone)의 형성’, ‘상징을 통한 전개 상황 예측’, ‘장면전환의 수단’ 등의 해설적 기능을 하고, 배우의 노래는 극중 인물의 감정을 극대화한다. 판소리 〈심청가〉에서 ‘소리’는 ‘해설 소리’와 ‘대사 소리’로 나뉜다. ‘해설 소리’는 극중 상황과 인물의 감정, 행동 묘사 등의 표현과 시공간 이동 등의 기능을 통해 청중이 작품을 연상할 수 있게 하고, ‘대사 소리’는 ‘극중 인물의 감정’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뮤지컬에서 ‘노래’와 공통점을 보인다. 뮤지컬의 ‘해설’은 무대미술 및 장치로 화려한 시각적 볼거리와 여러 악기의 음악으로 다채로운 음향적 효과를 만든다. 하지만 무대와 객석의 물리적 거리감으로 배우의 섬세한 연기는 객석에 전달되기 어렵고, 한정된 무대 공간에 따라 극중 장소와 시간을 이동하는데 비교적 제약이 있다. 판소리에서 ‘해설 소리’는 뮤지컬의 무대미술 및 장치의 부재로 시각적 다채로움이 뮤지컬에 비해 적다. 하지만 창자 혼자 구현하는 특징에 따라 극중 장소와 시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고, 극중 인물의 세세한 행동 묘사로 다각도의 감정을 생성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 외에 ‘해설 소리’는 ‘아니리’의 ‘말의 시간성’과 ‘소리’의 ‘음악적 시간성’이 교차할 때 생기는 이질감을 줄여주는 기능적 역할을 한다. ‘동작’은 판소리에서 ‘너름새’, 뮤지컬에서 ‘춤’이라고 일컫는다. 뮤지컬 〈심청〉에서 ‘춤’은 극중 분위기를 형성하고, 다양한 소품과 오브제를 활용하며, 역동적인 화려한 동작으로 시각적 볼거리를 제공한다. 판소리 〈심청가〉에서 ‘너름새’는 ‘아니리’와 ‘소리’처럼 유파나 더늠의 계보가 존재하지 않고, ‘너름새’만을 청중에게 독립적으로 선보이지 않는 점을 보아, ‘너름새’가 볼거리를 제공하는 유희성보다는 ‘아니리’와 ‘소리’의 표현영역을 확장하는 역할로써의 표현수단임을 짐작할 수 있다. ‘너름새’는 ‘해설’의 내용을 동작으로 시각화하는 ‘해설 동작’, 극중 인물을 연기하는 ‘연기 동작’, 청중에게 상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연상 동작’을 수시로 교차하며, 청중으로 하여금 ‘아니리’, ‘소리’의 청각 언어를 ‘너름새’의 시각 언어로 확장하면서 작품을 상상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판소리의 표현수단인 ‘말’은 ‘해설자의 말’과 ‘극중 인물의 말’, ‘창자의 말’로 구성되고, ‘소리’는 ‘해설 소리’와 ‘대사 소리’, ‘동작’은 ‘해설 동작’과 ‘연기 동작’, ‘연상 동작’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과 ‘음률’, ‘동작’은 공통적으로 청중에게 이야기를 잘 전달하기 위한 ‘이면’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뮤지컬은 배우의 ‘연기’, ‘노래’, ‘춤’와 더불어, 무대미술 및 장치 등의 시각 언어로 ‘해설’을 표현한다면, 판소리에서 ‘해설’은 창자의 ‘말’과 ‘소리’의 청각 언어로 표현하기 때문에 뮤지컬은 ‘관객(觀客)’, 판소리는 ‘청중(聽衆)’이라 부른다. 뮤지컬은 프로시니엄 무대에서 작품이 완성된다. 하지만 판소리는 청중이 작품의 세계를 상상하지 못하면 공감할 수가 없기 때문에, 판소리 듣는 능력을 갖춘 ‘귀명창’이 필요했다. 즉 판소리는 창자의 표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청중이 상상 속 작품 세계를 구축해야 완성되는 예술이기 때문에, 판소리의 ‘말’과 ‘소리’, ‘동작’의 표현수단 목적으로 ‘이면’이라는 예술적 경지가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Currently, pansori is handed down from different schools such as the school of Dongpyeonje founded by Song Heung-rok, the school of oonggonje, founded by Yeom Gye-dal, and the school of Seopyeonje, founded by Park Yoo-seong. While Song Hong-rok and Yeom Gye-dal are "the eight singers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Park Yoo-seong is part of the "eight singers of the late 19th century." In Lee Sam-hyun's "Lee Gwan-magazine", there is a record of the work of the eight singers called "Woochundae", and the verses of the performers are decorated words and movements" and "Sound like God" can be found in the collection of Punggo by Kim Jo-so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current Pansori school, the Pansori singers used different expressions such as "word", "sori", and "motion" wich are the three Pansori components of "aniri", "sori(sound)", and "neoreumse(gesture)",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at do not change from the beginning of the Pansori's creation to the present. A musical is a genre that utilizes the actor's 'acting (words)', 'singing (melody)', and 'dance (movement)'. Pansori and musicals are performing arts that commonly utilize 'words', 'melody', and 'movement' as means of expressio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nsori Kang Sanje "Simcheongga" and the Musical "Simcheong", we aim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s means of expression. The basic text for the production of pansori and musicals is called the lyrics and script, respectively. The pansori 〈Simcheongga〉 lyrics consists of ‘commentary’ and ‘dialogue’. The director implements the 'commentary' of the overall content of the work and the 'dialogue', which is the word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Because the audience gets information about the work solely from the expression of the singer, it shows a circular form that maintains a close distance around the singer. The script for the musical 〈Simcheong〉 consists of ‘commentary’, ‘dialogue’, and ‘text’. 'Commentary' expresses the overall information of the work through stage art and devices, meanwhile 'text' is the information for the actor's performance, and 'lines' are the words of the character in the play played by the actor. Musicals generally utilize the 'proscenium stage' format, which allows easy use of stage art and equipment. The 'words' are called 'aniri' in pansori and 'acting' in musicals. In pansori, ‘words’ belong to the singers, and in musicals, ‘words’ belong to the actors. The actor conveys the character's emotions and situation through 'words of the character in the play' and through 'lines' and exists on stage as a character in the play, not as the actor himself. A musical is not only about the ‘words’ of the actors. It adds various attractions and rich acoustic effects with 'commentary' such as visual language such as stage art and equipment and auditory language of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usic. Through the 'Aniri', the pansori singer expresses the situation in the play,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and even expressions using stage art and devices in the musical through 'the narrator's words', and describes the characters within the work through 'the word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Although the word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seem similar to those of the actors, the singers frequently intersect between 'narrator' and 'character in the play', and their purpose is to evoke associations in the audience as a 'narrator' rather tha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In addition, the singer escape into the real world outside of the work, evoke the atmosphere, and use 'the words of the singer' to bring out the realism. The ‘note’ is called ‘sori’ in pansori, and ‘song’ or ‘music’ in musicals. In the musical 〈Simcheong〉, the music played by instruments plays a heuristic function such as 'forming the tone of the play, predicting the unfolding situation through symbols', and 'a means of scene change', and the actor's song maximize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In the pansori 〈Simcheongga〉, 'sound' is divided into 'commentary sound' and 'dialogue sound'. 'Commentary sound' allows the audience to associate the work through functions such as expression of situations in the play, characters' emotions and behavior descriptions, and movement in time and space, while 'dialogue sound' maximizes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songs’ in musicals. The musical's 'commentary' creates spectacular visual attractions through stage art and equipment and colorful sound effects through music from various instruments. However, due to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it is difficult to convey the actor's delicate acting to the auditorium, and there are relatively restrictions on moving the place and time in the play according to the limited stage space. In pansori, the 'commentary sound' has less visual diversity compared to musicals due to the absence of musical stage art and equipment. Howev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emboided by the singers, it is possible to move relatively freely between places and times in the play,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generating various emotions through detailed behavioral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In addition, the 'commentary sound' plays a functional role in reduc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arises when the 'verbal temporality' of 'aniri' and the 'musical temporality' of 'sound' intersect. ‘Movement’ is called ‘neoreumsae’ in pansori and ‘dance’ in musicals. In the musical 〈Simcheong〉, 'dance' 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play, utilizes various props and objects, and provides visual attractions with dynamic and colorful movements. In the pansori 〈Simcheongga〉, 'neoreumsae' does not have a lineage of a school like 'aniri' and 'sori', and is not presented independently to the audience, 'neoreumsae' provides something to see.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a means of expression that plays a role in expanding the expressive area of ​​'aniri' and 'sori' rather than the playfulness of it. 'Neoreumsae' frequently alternates between 'narrative movements', which visualize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through movements, 'acting movements', which act out characters in the play, and 'associative movements', which provide the audience with opportunities to imagine, and encourage the audience to imagine the work by expanding the auditory language of ‘sound’ into the visual language of ‘neoreumsae’. In this way, 'words', the means of expression of pansori, are composed of 'words of the narrator', 'words of characters in the play', and 'words of the singers', and 'sound' is 'sound of commentary', 'sound of dialogue', and 'movement' is ‘explanatory movements’, ‘acting movements’, and ‘reminiscent movements’ appear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ords', 'melody', and 'movement' have in common a focus on 'the other side' of conveying the story well to the audience. In musicals, 'commentary' is expressed through visual language such as stage art and equipment, along with the actors' 'acting', 'singing', and 'dancing', while in pansori, 'commentary' is the auditory sense of 'words' and 'sound' because they are expressed through language, musicals are called ‘audience’ and pansori is called ‘spectators’. The musical is completed on the proscenium stage. However, because the audience cannot sympathize with pansori if they cannot imagine the world of the work, an audience with the ability to listen to pansori was needed. In other words, since pansori is an art that is not completed with the expression of the singers, but is completed only when the audience builds a world of work in their imagin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rtistic level of 'the other side'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words', 'sound', and 'motion' of pans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