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차문화 교육과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Korean Tea culture Education and Research Trend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차문화
차문화교육
연구동향
Language
Korean
Abstract
As the quality of life is being emphasized in our modern society full of rich information and culture, tea culture is closely connected to the well-being oriented life. Historically, this culture has continued throughout a long period of time, as people enjoyed the benefits of teas such as bettering health, clearing mind, and building virtues. Above all, tea culture, along with the sentiment and tradition of this country, is deeply immersed in the life of our people. Tea culture, with its physical and metaphysical benefits, thus has immense value as our nation’s representative culture. No one will be able to deny the value of tea culture education that brings positive changes to students’ emotional state, behavior and etiquettes. Tea culture education is categorized as integrative academics as well as integrative art, combining science and culture of tea. It is because tea culture education is evaluated as the top educational program that enhances cultivation of national ethos and refinement. Our nation’s modern tea culture education is a part of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combined with etiquette learning. Both traditional learning and school education are concurrently consisting tea culture education. With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realm and range of tea culture education are becoming wider along with increasing interest. Now tea culture education has reached the state of a new research area, thereby resulting i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We need perceptional change in the direction of more popularized tea consumption as a way of life. In the process, institutionalized system must support easier access to tea culture education. Tea education institutions must therefore correctly understand the needs and demands of consumers. Tea culture education has different curriculum based on the institutions and their differing courses. However the basis program components include tea making and drinking principles, etiquettes, the ingredients and benefits of tea, tea manufacturing and history. Based on these components, tea culture education curriculum allows professional knowledge through theories and practice such as tea table setting, meditation, and therapy. However, compared to China and Japan where tea culture education is well developed, etiquettes and ceremony are treted with more emphasis in our tea culture education.In Korea, the development of tea ceremony based on the succession and practice of tea drinking culture is yet at a less advanced stage compared to othe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However, through the effort of tea culture educators and tea industry, tea culture education is becoming more invigorated, while its merits are still undervalued. Thus, globalization of Korean tea culture can only be accomplish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interschool joint research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Our long history and tradition of tea culture carry merits and value based on the academic evidence and background that developed over the period of 20 years since 1995. It is deemed that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ea culture, with teir highly supported merits, will contribute to further integrative development of tea culture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future. We expect empirical, objective research result will be reflected in the process, so that tea culture education, which demonstrates functional effects in bring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may be implemented in the official curriculum for elementary, junior high,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현대 사회가 다양한 정보와 풍요로운 문화 속에서 삶의 질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차문화는 웰빙(Well-Being) 지향적인 삶과 연결되어 있다. 차는 마시는 가운데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맑게 하며 인간 삶의 도리를 추구하는 덕을 쌓는 행위로 오랜 역사를 거쳐 이어져 왔다. 무엇보다 차문화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전통을 함께 하며 우리 민족의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이 차문화는 형이하하적으로는 몸을 수련하고, 형이상학적으로는 마음을 수련하는 양면의 효과 달성 기능을 겸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민족문화로서 그 가치가 상당하다. 이에 다도교육이 학생들의 정서․행동․예절면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인성 교육으로 충분한 가치는 누구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차문화 교육을 차의 과학과 문화가 접목된 종합학문인 동시에 종합예술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차문화 교육이 국민정서의 함양과 교양을 높이기 위한 교육으로서 최상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평가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 우리나라 차문화 교육은 예절교육과 결합한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차회교육과 학교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 경제적인 발전에 따라 차문화의 영역과 범위는 넓어지고 관심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차문화가 새로운 학문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단계에 이르러 대학원의 석․박사 과정까지 개설되었다. 최근 차문화에 대해 다양한 층이 관심을 가지며 쉽게 접할 수 있고, 대중적으로 차음용을 생활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차문화 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차문화 교육기관에서는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문화 교육은 실시기관과 교육과정에 따라 커리큘럼에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행다법, 예절, 차의 성분과 효능, 제다, 역사 등을 바탕으로 티테이블세팅, 명상, 테라피 등 이론과 실습을 통해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차문화가 발전한 중국과 일본에 비해 예절과 다례가 차문화 교육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음차문화의 계승과 수행을 전제로 하는 다도의 발전은 동아시아의 차문화가 앞선 중국과 일본에 비해 아직도 후진적인 상황에 있지만 차문화 교육자와 차 산업계의 노력으로 차문화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가치는 저평가 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차문화의 세계화는 학제간의 공동 연구와 국제간의 비교연구에 따른 학문적인 축적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가 있다. 차생활에 대한 인식, 정서 및 행동의 변화에 순기능적인 효과로 나타난 총등학생, 중․고등학생․대학생을 대상으로 차생활교육이 공교육 내 정규 교과목으로 편입할 수 있도록 실증적 연구 결과가 반영되길 기대한다.오랜 차문화 역사와 전통성은 1995년 이후 20여 년 동안 이룬 학문적 근거와 배경에 충분한 가치가 있고 앞으로 우리 차문화 교육과 차문화 교육 연구가 교류하고 융합 발전시키는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차생활에 대한 인식, 정서 및 행동의 변화에 순기능적인 효과로 나타난 차문화 교육이 공교육 내 정규 교과목으로 편입할 수 있도록 실증적 연구 결과가 반영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