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자운동선수의 월경주기와 운동수행능력의 관계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thlete's menstrual cycle and exercise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has confirmed menstruation’s influence on physical fitness tests such as cardiovascular and muscular endurance, anaerobic-alactic power, and flexibility. Moreover, it examined the effects of menstruation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od, perceived performance, and exercise performance attitude.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eighty four (84)female athletes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and who had attained the age of menstruation, were selected. The data for physical performance was amassed through affixing sensors to the subjects while they performed: shuttle run for cardiorespiratory endurance, sit-ups for muscular endurance, standing long jump for anaerobic-alactic power, and sitting trunk flexion for flexibility .Psychological tests (POMS) to evaluate cognitive performance and exercise performance attitude questionnaire were also performed.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applied for analy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results from the athletes who were at the follicular phase of menstruation had high performance in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than the athletes who were at the luteal phase of their menstrual cycle. However, athletes in the luteal phase had better performance in anaerobic-alactic power and flexibility than athletes in the follicular phase. Second, psychological state tests, POMS and cognitive performance tes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enstrual cycle. Results from the exercise performance attitude questionnaire indicated cases of "most discomfort" in exercise performance and "most hated exercise" showed high numbers during the menstrual phase.Test subjects in the follicular phase period demonstrated the highest numbers for "most confident in performance", "feeling good about performance", and "feeling lighter i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resultsdid not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menstrual cycle and psychological state. However, results demonstrated a high correspondence between the menstrual cycle and effects on physical fitness. This research can be useful when evaluating exercise performance. Moreover,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by coaches and female athletes when conceiving training plans. It strongly suggests that when ideal condition is needed for an important physical performance, the menstrual cycle should be considered.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운동선수의 월경주기와 운동수행능력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월경주기에 따라서 체력(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과 심리(기분상태, 인지된 경기력, 운동수행 기분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체육회에 선수 등록이 되어 있고 초경을 경험한 여자 운동선수 8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심폐지구력은 왕복오래달리기, 근지구력은 윗몸 일으키기, 순발력은 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은 좌전굴 검사를 사용하였고, 심리는 기분상태, 인지된 경기력, 운동수행 기분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방법으로 일원변량분석과 빈도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운동선수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은 난포기인 선수의 기록이 월경기와 황체기인 선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순발력과 유연성은 황체기인 선수의 기록이 월경기와 난포기인 선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자 운동선수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심리상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분상태와 인지된 경기력은 월경주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수행 기분상태는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 수행 중 가장 불편함을 느낄 때’와 ‘운동이 가장 하기 싫을 때’에서 월경기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시합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 때’, ‘경기력이 좋다고 느낄 때’, ‘운동수행 중 몸이 가볍다고 느껴질 때’에서는 난포기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자 운동선수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심리상태에 대하여 밀접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여자 운동선수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체력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운동수행 시 지도자 및 선수들이 훈련을 계획함에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상의 운동수행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에서 월경주기를 고려한 컨디션 조절이 이루어진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