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반응특성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PAT(Person Picking an Apple Tree) Assessment based on the Level of Life stres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사과나무; 그림검사(PPAT); 반응특성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반응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이를 위해 경상도에 소재한 대학교에서 재학 및 휴학 중인 대학생 221명을 임의표집 하여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소 안면이 있는 대학 강사를 대상으로 검사에 대해 설명한 후 검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학교에 방문하여 개인 또는 소그룹, 대그룹의 형태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질문지에 1/3 이상 응답하지 않은 항목이 많거나, 그림을 그리지 않은 19부를 제외한 총 202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2000)이 개발한 대학생용 대학 생활 스트레스 척도와 PPAT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Kelly(1939)의 집단분류 기준에 따라 생활 스트레스 수준을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각 27%씩 두 집단으로 분류하고 그림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림 자료 분석을 위해 FEATS(형식척도)와 내용척도를 채점체계로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자는 연구자를 포함한 총 3명의 석사과정의 미술치료사가 채점하였다.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 따른 형식척도와 내용척도의 반응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형식척도 항목 중 ‘내적에너지’, ‘선의질’, ‘세부묘사와 배경’, ‘인물표현’, ‘사실성’, ‘발달단계’ 6개의 세부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는 낮은 경우에 비해서 내적에너지가 낮고, 선의 흔들림이나 끊김이 보였으며 세부묘사가 적고 낮은 발달단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내용척도 항목 중 ‘사람에 사용된 색’, ‘사과나무의 색 - 수관’, ‘사과나무의 색 - 사과’, ‘옷 - 모자’, ‘사과나무’ 5개의 세부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시 말하면, 생활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는 낮은 경우에 비해서 사용한 색의 수가 적었으며 사과나무의 사과 개수가 적은 수로 나타났다.따라서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PPAT 그림검사는 임상현장에서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투사적 그림검사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
The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he tree(PPAT)" depending on the level of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lives. For this study, 221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attending school or taking a leave of absence from the university in Gyeongsang-do were randomly collected and examined. After explaining the research to a university lecturer, the researcher visited the school in person and conducted the examination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a small group, or a large group. Among them, a total of 202 copies were subject to analysis, except 19 parts that did not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or did not draw a picture. The main research tools were a PPAT picture test and a college life stress scale developed by Jeon Gyeom-gu, Kim Kyo-heon, and Lee Joon-seok (2000). Firstly, according to Kelly's group classification criteria (1939), we classified the life stress levels into two groups, 27 per cent each for high and another 27 per cent for low groups, then compared each of them using the figure data. For the analysis of pictographic data, FEATS (formal scale) and content scale were evaluated using the scoring system, and three art therapists who are in Master’s degree, including researcher, scored the evaluation.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scale and the content scale according to the level of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x detailed categories of 'Internal energy', 'Good quality', 'Detailed description and Background', 'Personality', 'Factuality' and 'Developmental stage' among the six categories. Among the five detailed categories of "Color used in humans", "Color of apple trees – crown", "Color of apple trees", "Clothes - hats" and "apple tre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PAT depending on the level of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PPAT assessment is likely to be used as a projective testing tool to identify the level of life stress towards university students at clinical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