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tudy Circle Activities of New Silver Generation on Formation of Social Capita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tudy circle activitie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topic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tudy circle activities according to participant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circ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second, to find out how participation types influenc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ird, to find out how a participation level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urth, to find out how a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404 respondents aged more than 50 years old who were participating in any lifelong learning programs or study circles in Gangneung Lifelong Learning Center, Gangneung Women's Cultural Center, Gangneung Senior Welfare Center, or Gangneung Educational Cultural Center located in Gangneung, Gangwon-do. SPSS v.21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feasibility examination, and the reliability was inspected to verify Cronbach's alph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d distribution, and un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tudy circle activities according to participant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based on study circle activities. Statistically analytic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we have reviewed participants’ ages,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occupations before retirement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tudy circle activities according to participant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circ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Participation types of the study circl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y gender, ages, and education variables. That is, a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advanced learning-typed circles and social practice-typed circles was shown for older, male rather than female, and spouseless. A longer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tudy circle was shown for older, male rather than female, >400,000 won and
본 연구는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학습동아리 활동 및 사회적 자본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유형이 사회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 수준이 사회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넷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 소재 평생학습기관인 강릉시평생학습센터, 강릉시여성문화센터, 강릉시노인종합복지관, 강릉교육문화회관의 평생학습프로그램 및 학습동아리에 참가하고 있는 만 50세 이상 참가자 4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는 SPSS 21.0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도구의 타당성 검정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 자본 및 학습동아리 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카이스퀘어분석,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동아리 활동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학습동아리 활동 및 사회적 자본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뉴실버 세대의 연령, 성별, 학력,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퇴직 전 직업 등으로 검정하였다. 먼저,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학습동아리 활동의 차이는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의 경우 연령, 성별,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화학습형과 사회실천형 학습동아리는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참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 참가 기간은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월평균소득이 40∼70만원인 경우가 40만원 미만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에서의 역할은 여성보다 남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퇴직 전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가 리더, 총무 등 운영진의 역할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혼자 사는 경우보다 배우자 및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신뢰’와 ‘네트워크’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소득, 퇴직 여부는 사회적 자본의 세 가지 변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직장을 다니고 있는 경우가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퇴직 전 직업에 따른 사회적 자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사회실천형)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 변인과 사회적 자본의 ‘신뢰’ 변인, ‘네트워크’ 변인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변인과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 중 사회실천형의 경우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즉 사회실천형 학습동아리에 많이 참가할수록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 수준(참가 기간, 1회 활동 시간, 참가자의 역할)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동아리 참가 수준과 사회적 자본의 ‘신뢰’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동아리 1회 활동 시간은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습동아리 1회 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학습동아리 참가 기간 및 참가자의 역할은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습동아리 참가 기간이 길수록 학습동아리에서 운영진의 역할을 할수록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 만족도는 사회적 자본의 ‘신뢰’, ‘네트워크’, ‘사회참여’ 세 가지 변인 모두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신뢰’, ‘네트워크’, ‘사회참여’ 수준 모두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있어 학습동아리 참가자의 학습 만족도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뉴실버 세대의 개적인 배경에 따라 학습동아리 활동과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동아리 참가자의 학습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뉴실버 세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보다 적실성 있는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