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허지표를 이용한 기업의 특허경쟁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tent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using patent indicator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특허지표
특허경쟁력
특허경쟁력지수
Language
Korean
Abstract
AbstractA study on the patent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using patent indicators Kim, Sung-Ho (Supervisor Kim, Ji-Pyo) Dept.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Title: A Study on Patent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Using Patent IndicatorsPatents must protect the technology from competing firms and protect the market profits from them. Therefore, Patent competitiveness refers to the ability to secure such a competitive advantage, and many companies try to use such patent competitiveness as a means of strengthen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However, most companies do not properly grasp the level of their objective patent competitiveness by comparatively evaluating only some of their competitors. In order to strengthen or improve patent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evel of patent competitiveness within the same industry as well a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evaluation. Moreover, since patent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due to the nature of patents, a comprehensive evaluation must be mad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propose a way to enhance and improve a company's patent competitiveness by itself. To this end, this study approached two core themes. The first topic is about an objective method to grasp the level of patent competitiveness, and the second topic is the composition of a complex index for multi-faceted patent evaluation that enables companies to discover necessary patents.The first study used several patent indicators to objectively measure various aspects of patents and tried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level of patents owned by companie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t this time, the patent competitiveness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patent competitiveness level into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technology, and marketability according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atents, and deducing 12 patent indices corresponding to them. For empirical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on 68,202 registered patents (based on applications filed from 2011 to 2018) of 129 companies for which patent data can be collected, weighted values ​​are obtained from them, and rankings are made according to the principal component score applied to major Korean companies of patent competitiveness. As a result, large corporations in terms of corporate size, KOSPI corporations in corporate form,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ies in terms of business sector had relatively high patent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the principal component score obtain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regarded as the patent competitiveness index, and by comparing it with the company's own patent competitiveness index obtained by itself through the same process, the company's patent competitiveness level could be grasped.In addition, the second study is to select excellent patent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among many patents owned by companies and institutions as quality management of patents as well as cost related to patents is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factor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patent applications and registrations. I wanted to suggest a method. Accordingly, the QFD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the patent indicators to evaluate the patent quality, and first, the company's requirements for patents and the patent quality characteristic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case of the company's requirements, the importance was determined by AHP's pairwise comparison method, and based on this, the patent indicator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customer(company) was determined from the patent quality characteristic indicators. As a result, the patent indicators related to the number of citations for marketability, the technical scope for business performance and technicality, and the number of claims for rightness were selected. For the case analysis, a method of effectively selecting valuable excellent patents using the QFD technique was described for 917 registered patents owned by a specific company A.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composite indicator and the utilization method were explained.If these two methods of this study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companies can specifically try to strengthen or improve patent competitiveness on their ow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echnology and patent policy, which is very significant.
요 약제 목 : 특허지표를 이용한 기업의 특허경쟁력에 관한 연구 특허는 경쟁 기업으로부터 기술을 보호하고 그로부터 시장에서 얻는 이익을 지켜내야 한다. 따라서, 특허경쟁력은 이러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하며 많은 기업은 이같은 특허경쟁력을 기업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사용하려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쟁사 일부만을 대상으로 비교 평가함으로써 자사의 객관적인 특허경쟁력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경쟁력을 강화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양적 평가나 질적 평가 뿐만아니라 동일 업종내 자사의 특허경쟁력 수준 파악이 필요하다. 더욱이, 특허의 속성상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업의 특허경쟁력을 기업 스스로 제고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가지의 핵심 주제로 접근하였으며, 첫 번째 주제는 객관적인 특허경쟁력 수준 파악 방법에 관한 것이며 두 번째 주제는 기업이 필요한 특허를 발굴할 수 있는 다면적 특허평가를 위한 복합지표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연구는 특허의 다양한 측면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특허지표를 사용하고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의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때, 특허경쟁력 수준을 특허의 본질적 특성에 따라 기술혁신활동성, 기술성, 시장성으로 크게 나누고 이에 부합하는 12개의 특허지표를 도출하여 특허경쟁력을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특허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한 129개 기업의 등록특허 68,202건(2011년~2018년 출원 기준)에 대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가중값을 구하고 이를 적용한 주성분점수에 따라 순위를 매겨 우리나라 주요기업의 특허 경쟁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업규모로는 대기업, 기업형태로는 코스피 기업, 업종으로는 전기전자 업종이 상대적으로 특허경쟁력이 높았다. 본 연구는 이렇게 주성분분석에 의해 구한 주성분점수를 특허경쟁력 지수로 보았으며, 이를 동일한 과정으로 기업 스스로 구할 수 있는 자사의 특허경쟁력 지수와 서로 비교함으로써 자사의 특허경쟁력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두 번째 연구는 특허 출원 및 등록의 급속한 증가로 특허 관련 비용뿐만 아니라 특허의 질적 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기업 및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많은 특허 중에서 활용 목적에 맞는 우수 특허를 선별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특허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특허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QFD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우선 특허에 대한 기업의 요구사항 및 특허품질 특성지표를 도출하였다. 기업의 요구사항의 경우 AHP의 쌍대비교 방식으로 중요도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기업)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특허지표를 특허품질 특성지표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시장성에는 인용문헌빈도수, 사업성과 기술성에서는 기술범위, 권리성에는 청구항수와 관련된 특허지표를 선정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서, 특정 A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등록특허 917건을 대상으로 선정된 특허지표를 활용하여 가치 있는 우수 특허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는 방안을 기술하였다. 또한 복합지표의 구성 방법과 이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해서 논했다. 이와 같은 2가지의 본 연구의 방법들을 서로 연계 활용할 경우 기업은 스스로 특허경쟁력 강화 또는 개선을 구체적으로 시도할 수 있으며 기술 및 특허 정책에 있어서도 본 연구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그 의의는 크다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