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 콘텐츠 플랫폼의 대안적 활용 방안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ns for Alternative Utiliz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Platform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유튜브
문화예술
플랫폼
공유지
Language
Korean
Abstract
As times change, so have the forms of culture and art and the way people experience them. As the tech-savvy MZ generation, familiar with today’s digital environment, has formed the mainstream of consumption and the overall lifestyles are rapidly changing due to COVID-19, the forms of digitized cultural and artistic works called contents are gaining more and more popularity as the mainstream of culture and arts. Contents are gathered in a specific space on the Internet, commonly referred to as a platform, thus making it possible to enjoy culture and arts easily and lightly with less restrictions in time and space than in the past. At the heart of this growing trend is Youtube, the content platform operated by the global company Google. YouTube, starting as a video sharing platform in 2005, has grown so rapidly that its market value was projected to reach at least 200 trillion won by 2020. Previous studies on YouTube, which serves as an exclusive content platform,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effective functions that YouTube was believed to assume.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the problems behind YouTube’s rapid growth were analyzed, thereby suggesting a desirable direction for a culture and arts content platform to take to move forward.To this e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ave allowed YouTube to grow were analyze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enabled YouTube to grow in the digital age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its three policies that help YouTube to continue monopolizing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its content recommendation algorithm, advertising revenue policy, and content ID policy.Based on the analysis, the concept of copyright was examin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overall culture and art content platform including YouTube. It is a well-known fact that copyright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interest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For this reason, YouTube is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developing its own system for copyright management to secur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which shows that the growth of YouTube is inextricably linked with copyright. Next, the exploitation strategies that platform companies are taking were examined. YouTube as one of the platform companies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as global platform companies, so it wa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YouTube using the concept.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environment in which creators for Youtube, subject to the pro-capital management, are compelled to produce capital-oriented contents.In this study,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Elinor Ostrom’s concept of ‘sharing’ for an alternative utilization of YouTube, which operates on a capital basis. Theories of sharing, commons, public goods, public land, and sharing economy were examined in combination with the clause on fair use of copyright law. In fact, there were quite a few negative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sharing or its impracticality before the digital age, but this is not the case today. This is because the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can further increase as they are shared with many people through the contents platform. Nevertheless, many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re increasingly being privatized by some specific companies, and YouTube’s recently announced new policies are also expected to further solidify the privatization and monopolization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To address this, plans were suggested to create a cooperative society by using resources together by a large number of people, to boost consumption and quality of society, and to activate the ‘Creative Common License (CCL)’, which corresponds to the copyright restrictions of the Copyright Act.It was proposed that YouTube should create a system that can focus on the promotion of contents based on sharing rather than on the distribution of advertising revenue, and introduce CCL, which was adopted in open source and open design. It was found that it is essential to minimize the role of advertisers in order to prevent the pro-capital operation of YouTube, and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YouTube to be utilized as a digital commons for the development of a DIY (Do-it-Yourself) culture where ordinary individuals can directly create and share contents, as YouTube aimed at in its early days,Lastly, the role of creators using YouTube and a social management plan along with YouTube’s self-cleaning ability were presented, providing an ideal way to use YouTube.
시대의 변화에 따라 문화예술의 형태와 이를 경험하는 방식은 늘 변해왔다. 오늘날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MZ세대가 소비의 주류로 등장하고 코로나19로 생활양식 전반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콘텐츠라 불리는 디지털화된 문화예술 작품의 형태가 문화예술의 주류가 되었다. 콘텐츠는 플랫폼으로 통칭되는 인터넷의 특정 공간에 모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하여 비교적 시·공간적 제한을 적게 받는 상황에서 쉽고 가볍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심에는 글로벌 기업 구글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 ‘유튜브’가 있다. 2005년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처음 등장한 유튜브는 2020년 그 시장가치가 최소 200조로 예측될 정도로 성장했다. 독점적인 콘텐츠 플랫폼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유튜브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유튜브의 효과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튜브의 급속한 성장에 가려져 있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문화예술 콘텐츠 플랫폼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유튜브가 성장할 수 있었던 대내·외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디지털 시대에 유튜브가 성장할 수 있었던 환경적 요인을 알아보고 그와 함께 유튜브가 문화예술 콘텐츠를 독점하기 위해서 유지하고 있는 3가지 정책인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광고 수익 정책, 콘텐츠 ID 정책을 분석한다.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유튜브를 비롯한 문화예술 콘텐츠 플랫폼 전반에 발생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저작권 개념을 살펴본다. 저작권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경제적 이익과 긴밀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유튜브도 역시 문화예술 콘텐츠 확보를 위해 자체적인 저작권 관리 시스템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 사실은 유튜브의 성장과 저작권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반증한다. 다음은 플랫폼 기업들이 취하고 있는 착취 전략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유튜브도 플랫폼 기업 중 하나로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고 있기에 해당 개념을 활용하여 유튜브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유튜브의 친자본적 운영 방식에 종속된 창작자가 자본 중심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대한 거시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자본 중심으로 작동하는 유튜브의 대안적 활용을 위해서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의 ‘공유’ 개념에 주목한다. 공유, 공유재, 공공재, 공유지 및 공유경제 이론들을 저작권법의 공정이용 항목과 결합하여 살펴본다. 디지털 시대 이전에는 공유 개념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혹은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이 꽤 많았지만, 오늘날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문화예술 콘텐츠가 많은 이들에게 공유되면 될수록 가치가 더욱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화예술 콘텐츠들은 특정 기업에 의해 점점 사유화되고 있고, 유튜브가 최근 발표한 새로운 정책들 또한 사유화와 독점화 현상을 더욱 공고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사람이 자원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협력적 사회를 만들고 사회의 소비 수준과 질을 높이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저작권법의 저작권 제한에 해당하는 ‘CCL(creative common license)’을 활성화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공유를 기반으로 유튜브는 광고 수익 배분이 아닌 콘텐츠의 홍보에 집중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오픈 소스와 오픈 디자인에서 채택했던 CCL을 도입할 것을 제시한다. 유튜브의 친자본적 운영을 막기 위해서는 광고주의 역할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는 초창기 유튜브가 목표로 했던 대로, 평범한 개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DIY(DoᐨitᐨYourself) 문화의 발전을 위한 디지털 공유지(Commons)로서 유튜브가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마지막으로 유튜브의 자정능력과 함께 유튜브를 이용하는 창작자들의 역할과 사회적 관리 방안 마련을 함께 제시하며 이상적으로 유튜브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