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학교의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초등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severe and multiple students in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중도․중복장애 학생
학급수준 교육과정 실행
교육과정 개별화
질적 연구
관찰
생활기능 향상
즐거움과 성취감
반복학습
교육의 동반자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eachers would implement the class-leve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school for the physically disabled, amo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at would be tough to teach following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suggested in the national level.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the qualitative study on non-intervention data were used. With demands from the educational site that it is tough to teach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llowing the subjects suggested in the basic curriculum,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management measures have been suggested to teach them through living area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by reducing 50% class hours. However, it was limited to the management measures about reducing class hours without concrete discussions or clear standards for execution, so that schools and teachers were feeling burdened. So far, the discussions about curriculum have mainly focused on the stage of planning without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classroom implementation curriculum. Therefore, the revision direction of curriculum should be sought for based on teachers' thinking and implementation focusing on classroom actually realizing th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implementation of class-level curriculum focusing on difficulties in the execution of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methods, evaluation methods, curriculum, and teachers' thinking about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eachers' thinking about subject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hey thought that the subject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the one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nd the ones for knowledge and functions necessary to life. Even though they were considered as subject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s the structure of knowledge, it was no more than teaching basic knowledge of subjects necessary to life because it was tough to teach them following the curriculum. In spite of such hardship, they thought that the basic knowledge of subjects should be taught based on the belief that students could learn i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of school for the physically disabled basically considered the independence as the educational goal. However, as they were receiving the full support of whole life, it was more like reducing help from others and also finding something that they could do by themselves. A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nd diverse educational demands, the curriculum was individualized and recomposed with subject contents in the class level by focusing on life-centered topic,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life function, and activities for pleasure and achievement. Teachers conducted lessons emphasizing communication, so that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own opinions and also find methods. Teachers used a method of using physical senses like seeing, listening, and touching, a method of continuously repeating in daily life, a method of using stories for composing meanings, a method of using activities and plays to induce the movements of students who could not move by themselves, and a teaching method connecting with community for the actual life experience. Regarding the educational evaluation, the descriptive evaluation through observation was conducted just like ordinary educa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learning in a short period, and also to decide the standard of achievement. Such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lass-level curriculum included students’large individual deviation, difficult evaluation as there was nothing could be done by students, teachers’burden to take all the responsibilities for education, and insufficient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by students with no expectation of learning. They emphasized that parents should be the companion for education as the whole life should be the educational scene.
이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학생들 중 초등학교 과정 학생들에 대해 교사들이 학급수준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비 개입 데이터의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을 기본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대로 가르치기 어렵다는 교육 현장의 요구에 따라 교과수업시수를 50% 감축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생활영역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국가수준에서 교육과정 운영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논의 과정 없이 수업시수 감축이라는 지침만이 제시되었고, 명확한 실행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학교와 교사들은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교육과정이 실현되는 교실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계획 단계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이 실제적으로 구현되는 교실을 중심으로 교사의 생각과 실행을 통해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이 모색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과 교육목표, 교육방법, 평가방법,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가지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학급수준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사들이 가지는 교과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교과는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는 대로의 교과와 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이 되는 교과라는 두 가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지식의 구조로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더라도 교과대로 가르치기 어려워 생활에 필요한 교과의 기초적인 지식을 가르치는 정도에 그치고, 교과를 가르치기에 어려운 상황이 있지만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다고 보고 기초적인 교과의 지식이라도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지체장애학교의 중도․중복장애 학생들도 교육의 목표를 기본적으로 자립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생활전반에서 전적인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자립의 의미를 타인의 도움을 줄여가고, 학생이 할 수 있는 것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보았다.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은 개별적인 장애특성과 교육적인 요구가 다양하기 때문에 생활 주제 중심, 생활기능 향상을 위한 내용, 즐거움과 성취감을 주는 활동 경험으로 학급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별화하고 교과내용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업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보고, 듣고, 만져보는 신체적인 감각을 활용하는 방법, 일상생활 속에서 꾸준히 반복하는 방법, 의미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야기를 이용하는 방법,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학생들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활동과 놀이를 이용한 방법, 실제적인 생활경험을 위한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교육평가는 일반 교육과 같이 관찰에 의한 서술평가를 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학습결과를 파악하기 어렵고 성취기준을 정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학급수준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가지는 어려움으로는 학생들의 심한 개인적인 편차, 학생들이 스스로 하는 것이 없어서 어려운 평가, 교육에 대한 모든 책임이 교사에게 주어지는 것에 대한 부담, 학습을 기대하기 어려운 학생들에 대한 교육활동에 대한 안내 부족을 지적하였고, 생활전반이 교육장면이 되기 때문에 학부모가 교육의 동반자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