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관한 개념도 연구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옹호활동
옹호상담
사회정의 상담
사회정의 옹호상담
개념도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dvocacy is being made in actual counseling, and to find out the common concept of counselor’s perspective on advocac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1. What is the content of the advocacy perceived by the counselor? 2. Which dimensions and clusters of advocacy does the counselor perceive?3. How much significance does the counselor attach to each advocacy?To explor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hases. In the initial hase, the question list for counselor’s perspective on advocacy was developed. In the initial phase, the question list for counselor’s perspective on advocacy was developed by reviewing precedent researches on this subject. This list was preceded by preliminary interviews with counselors and examined by a doctoral counselor and a professor of counseling. In the second pha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unseling experts(with an average of 12.8 years in advocacy counseling) in the fields of sexual minorities, irregular workers and NGO activists, crisis workers, domestic violence and gender discrimination, sexual violence, multicultural client, North Korean refugees, state violence victims, child abuse, adolescent crisis, to get idea statements on advocacy. In the third phase, the idea statements were combined and edited after being reviewed by two counseling major professors, one counseling expert with Ph. and one doctoral counselor. In the forth phase, 17 counselors(with an average of 10.3 years in advocacy counseling) including the 9 interviewees of the former procedure classified similarities of the final statement lists and rated their significance. In the fifth phas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significance ratings by 17 participan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duce a concept map in this process.As a result, a total of 563 idea statements for counselor’s perspective on advocacy were drawn from the 10 counseling experts, which were ultimately combined and edited into 76 statements. Lastly, based on the classified statement data given by the 17 research participants, a concept map consisting of 2 dimensions and 5 clusters was identified.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Firstly,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dimension of ‘emotion-action' and ‘client change-environmental change' based on the focus and direction of the advocacy.Second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e clusters classified, research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5 clusters and 9 sub-clusters. Cluster 1 was named as ‘psychological advocacy(17 items)’, cluster 2 as ‘social structural approach to client(11 items)’, cluster 3 as ‘relationship network and social resource connection(20 items)’, and cluster 4 as ‘client support and support system constructing(12 items)’, cluster 5 as ‘social contribution as a counseling expert(16 questions)’.Thirdly, the significance ratings of each statement on counselor’s advocacy showed that all of them were assessed with more 3 points(normal), and the average of significance for all 76 statements was 4.12. Further examination of relative significance between clusters revealed that cluster 1 ‘psychological advocacy’ got the highest rating(M = 4.54), followed by cluster 2 ‘social structural approach to client(M = 4.33)’, cluster 4 ‘client support and support system constructing(M = 3.95)’, cluster 3 ‘relationship network and social resource connection(M = 3.90)’, cluster 5 ‘social contribution as a counseling expert(M = 3.89)’.This study ha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what advocacy is made in actual counseling through advocacy counseling experts, and empirically identifies the concept of counseling by deriving common concepts of advocacy. It also confirmed the specifics of advocacy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who have counseled clients who need social support in various fields. It has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that advocacy are not separate activities outside the counseling room, but start from counseling, which psychologically advocates clients who need social support and understands what social resources the client needs. In this study dimensions and clusters of concepts of counselor’s perspective on advocacy was explored, and the gap between counseling practice and theoretical discourse was filled, and the basic data for advocacy was provided by empirically extracting what advocacy actually took place. These research results are therefore, on the whol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or education.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내담자들을 상담해 온 상담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해 실제 상담에서 어떤 옹호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개념도 방법론을 통해 옹호활동에 대한 상담자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상담자가 인식하는 옹호활동의 내용은 무엇인가?연구 문제 2. 상담자는 옹호활동을 어떠한 차원과 군집으로 인식하는가?연구 문제 3. 상담자가 옹호활동에 대해 부여하는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쳤다. 먼저, 개념도 연구의 첫 단계로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대한 진술문 추출을 위해 면접에 필요한 초점 질문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성소수자, 비정규직∙NGO 활동가, 위기 노동자, 가정폭력∙여성, 성폭력, 다문화, 탈북민, 국가 폭력, 학대 아동, 위기 청소년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10년 이상의 상담 경력을 갖추고 있으면서 옹호활동 경력이 5년 이상인 상담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여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관한 563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상담 전공 교수 2인과 개념도 연구를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는 박사 과정 중인 상담자와 개념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상담전문가 2인의 검토를 거쳐 563개의 진술문을 76개의 최종 진술문으로 통합∙편집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개별 면접에 참여한 상담전문가 9명을 포함한 17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최종 진술문의 유사성을 분류하고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2개의 차원, 5개 군집으로 구성된 개념도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옹호활동의 초점과 방향을 기준으로 ‘정서-행동’ 차원과 ‘내담자 변화-환경 변화’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위계적 군집 분석 결과와 연구 참여자들이 분류한 범주 내용을 함께 검토한 결과, 상담자의 옹호활동은 5개의 군집과 9개의 하위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1은 심리적 옹호활동(17문항), 군집 2는 내담자에 대한 사회구조적 접근(11문항), 군집 3은 관계망 형성과 사회자원 연계(20문항), 군집 4는 내담자 지원과 지지체계 구축(12문항), 군집 5는 상담전문가로서의 사회적 기여(16문항)로 명명하였다. 셋째,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관한 진술문에 대해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모두 3점 ‘보통이다’ 이상으로 평가하였으며, 76개의 진술문 전체에 대한 중요도 평균은 4.12였다. 군집별 중요도를 살펴보면, 군집 1 심리적 옹호활동(M = 4.54)을 가장 중요하다고 평정하였고, 다음으로 군집 2 내담자에 대한 사회구조적 접근(M = 4.33), 군집4 내담자 지원과 지지체계 구축(M = 3.95), 군집 3 관계망 형성과 사회자원 연계(M = 3.90), 군집 5 상담전문가로서의 사회적 기여(M = 3.89)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첫째,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내담자들을 상담해 온 상담전문가들을 통해 실제 상담에서 어떤 옹호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옹호활동의 공통 개념을 도출하여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대한 개념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내담자들을 상담해 온 상담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해 옹호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옹호활동이 상담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개별적인 활동이 아니라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내담자를 심리적으로 옹호하고 내담자가 필요로 하는 사회자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상담’에서부터 출발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은 상담자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셋째, 상담자의 옹호활동에 대한 개념의 차원과 군집을 탐색하고 해석을 통해 상담 실제와 이론적 담론 사이의 갭을 메우고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옹호활동이 무엇인지를 경험적으로 추출하여 옹호활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자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