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걸리버 여행기』의 곁텍스트 연구 : 번역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atexts of Gulliver’s Travels: Focusing on the Reception of Transla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번역 수용
원본 곁텍스트
번역본 곁텍스트
곁텍스트 특성.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he study of paratexts can be a useful tool in understanding how literary texts are received in a target culture, through translation.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source and target paratexts of Gulliver's Travels by readers’ age group and chronological periods. The overall organiza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Chapter 2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previous related studies. Chapter 3 provid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urce text, Gulliver's Travels, and the target texts. Chapter 4 is the data analysis followed by conclusion in Chapter 5. The study sets out with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atexts of the source text? How do the source paratexts mediate the text and the context to which the source text belong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aratexts of translated texts sorted by the year of publication and by the target readers’ age group? If so, how do the paratexts mediate the differences? In order to answer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adopted and adapted the concept of paratexts and their five characteristics offered by Genette (1997). Based on the five characteristics – spatial, temporal, substantial, pragmatic, and functional – the study developed an analytic model. The revised characteristics used in this study for analysis are spatial, temporal, substantial, and pragmatic. The source text used for this study is the London edition of Gulliver's Travels published in 1726. As for the target texts, according to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Gulliver's Travels was published in 1947 and the total of 187 translations were published through 2000s. Of these, sixteen translations were selected by reader’s age group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equence of publishing year.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wo ways. First, the study examined prominent features of the paratexts of the translated texts by the order of publishing year from the 1940s to the late 2000s. Then the paratexts of the translated text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o the source paratexts, that is the London edition.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paratexts of the translated texts by the readers’ age group. Target reader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age: children, junior, and adult readers.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aimed to identify how the paratexts of the source and the translated texts mediate texts with their contexts and how the translations were received in the target cultur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analysis by the order of publication year, the paratexts of translated texts targeted at children and junior readers placed more emphasis on mediating socio-cultural contexts of the receiving culture. In the meantime, those targeted at adult readers seemed to put more importance on mediating socio-cultural contexts of the source culture. In the analysis by readers’ age group, the use of illustrations was prominent in translations for children while characters and letter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translations for junior reader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educational or didactic messages tended to be added in the paratexts of translations for both age groups. Meanwhile, the paratexts of translations for adult readers seemed to preserve the features of the source paratexts through the use of characters, letters, or illustrations.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paratexts of the translations of Gulliver’s Travels both by their readers’ age group and by the publishing year confirmed that paratex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ediating texts and the contexts of transl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y of paratexts provides a useful way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texts in question are interpreted and received in the target culture.
본고의 목적은 곁텍스트가 수용문화의 독자들에게 유용한 해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면서, 하나의 원본이 목표언어로 처음 번역된 시기로부터 오늘날까지 많은 번역자들에 의해 출간된 다수의 번역본들을 탐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곁텍스트가 어떻게 재구성되고 수용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연구에 대한 소개, 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장 Gulliver's Travels 원천텍스트와 목표텍스트 소개, 4장 시대별 『걸리버 여행기』번역본의 곁텍스트 양상과 Gulliver's Travels 원본과 번역본에서 드러나는 곁텍스트의 특성 번역 양상, 5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는 두 가지 연구 질문으로 시작된다. 첫째, 원본 곁텍스트의 특성은 어떠한가? 원문의 텍스트와 맥락을 어떻게 중재하는가? 둘째, 번역본의 곁텍스트는 시대에 따라, 대상독자에 따라 두드러진 차이가 보이는가? 만일 그렇다면 시대와 대상독자에 따라 어떻게 중재되면서 수용되었는가? 이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주네트가 프랑스 원본을 중심으로 구분한 곁텍스트의 다섯 가지의 특성(공간적, 시간적, 본성적, 화용적, 기능적 측면)을 문학작품을 물리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주변텍스트로 한정하여 시간적 특성, 본성적 특성, 화용적 특성으로 재구성한다. 이와 같이 재구성된 분석방법에 따라 Gulliver's Travels의 원본과 번역본들의 각각의 곁텍스트에 적용하여 곁텍스트의 번역 양상을 확인해 볼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원본은 1726년에 출판된 Gulliver's Travels의 런던판이다. 한편 국립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자료에 따르면, 최초의 한국어 번역본은 1947년에 출판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총 187권의 번역본이 확인된다. 이 중 16권의 번역본을 연대별로 선정하여 세 가지의 독자층위(아동용, 청소년용, 성인용)로 구분한다. 분석의 순서는 먼저, 원본 곁텍스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번역본 곁텍스트의 특성을 시기별, 대상독자별로 분류하여 원본과 번역본 간의 곁텍스트 비교, 분석 및 번역본 간의 비교 ·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번역과정에서 재구성되는 곁텍스트가 번역의 수용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 양상을 밝혀볼 것이다.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시대별 분석에 따르면 아동용과 청소년용은 수용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시하여 중재가 일어났고, 성인용의 경우는 원본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중재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대상독자별로 보면, 먼저 아동용은 일러스트레이션이 두드러졌고, 청소년용은 문자적인 요소가 훨씬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둘 다는 본문 내용 이외의 교육적이거나 교훈적인 메시지가 추가되는 양상이었다. 성인용에서는 문자적인 요소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원본의 곁텍스트가 번역본에 그대로 보존되고자 하는 양상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걸리버 여행기』번역본의 시대별, 대상독자별로 구분하여 곁텍스트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시대와 대상독자에 따라 다르게 중재되면서 수용되는 양상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곁텍스트가 수용문화의 독자들에게 유용한 해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 사회의 시대상황과 번역상황에 대한 연구가 곁텍스트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곁텍스트가 다양하게 해석되고 수용되는 양상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