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과대학생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on Self-Regulted Learning Strategies of Medical Stu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자기조절학습
학습환경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of medical students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pecifically, the study gave answers fo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vironment of medica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rd, how doe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ffect self -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For answering those questions, we surveyed 365 students of a medical school in Cheonan, Korea and the data of 305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measuring tool, the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developed by Jung, Mi-Kyung(2005) and the 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JHES) developed by Shochet, Colbert-Getz and Wright(2015)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The results were summarized below.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 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grad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lower graders was superior to upper graders. In addition, the lower grader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learning environment than the upper graders.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her factors(community of peers, faculty relationship, academic climate, meaningful engagement, mentoring) except inclusion and safety.Thir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faculty relationships, mentoring, and academic climate you have, th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change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In general,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s as students progress to higher education. However, in this study, the self regulating ability was getting worse as the grade goes up. Accurate diagnosis and improvement are needed to understand what causes the deterioration of the potential of this taleted group.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 -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re correlated each other. Good self-regulation means not only learning but also environmental control. A student who can control his or her life can have a high quality of life and can lead a healthy life mentally and physically. Therefore, these two measures will be meaningful indicators when evaluating the mental healths of medical students.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to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learn better in a good learning environment. It is an fundamental factor for becoming professional. Practically, we should try to find out what is good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셋째,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천안에 소재하는 일 개 의과대학 4개 학년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05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 도구와 존스홉킨스 학습환경척도(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 JHE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예과 2학년과 의학과 1학년이 의학과 2학년과 의학과 3학년 보다 자기조절 학습 능력이 더 높았다. 즉, 상급학년보다 하급학년의 자기조절 학습 능력이 더 뛰어났다. 또한,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예과 2학년과 의학과 1학년이 의학과 2학년과 의학과 3학년 보다 학습환경 전체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즉 상급학년보다 하급학년이 학습환경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에 대한 차이를 보면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환경의 하위요인 중 멘토링만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멘토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의 인식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면,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요소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은 학습환경의 하위요인 중 소속감과 안전을 제외한 다섯 가지 요인들(친구집단, 사제관계, 면학분위기, 의미있는 참여, 멘토링)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셋째,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학습환경의 하위 요인 중 친구집단, 멘토링, 면학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구집단, 멘토링, 면학부위기에 대한 인식이 좋은 학생들이 자기조절학습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년에 따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유의미하게 변한다. 대체로 학생들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자기조절학습 능력도 발달한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조절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 무엇이 이 우수한 인재집단의 잠재력을 퇴화시키고 있는지, 의학교육 현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환경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상관관계가 있다. 자기조절을 잘 한다는 것은 학습에 대한 조절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통제력도 갖고 있다는 의미이다. 자기조절을 통해 자신의 삶을 제어할 수 있는 학생은 삶의 질도 높고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따라서, 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대한 접근을 할 때에도 이 두 가지 척도는 의미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좋은 학습환경은 학생들의 학습능력도 향상시키지만,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있어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 각 대학의 현실을 고려하여 좋은 학습환경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어떻게 학습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찾는 노력을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