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자칠판을 이용한 초등영어 상호작용적 수업의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Interactive Whiteboard.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전자칠판
IWB
초등영어
상호작용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프로미시언의 전자칠판 엑티브보드를 이용한 초등영어 상호작용적 수업을 통해서 그 효과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먼저 전자칠판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특징과 영어 교과에서 활용되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전자칠판 관련 사전 연구를 살펴본 후, 전자칠판이 가지고 있는 상호작용적 측면을 이용한 교수-학습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교수-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고 전자칠판의 상호작용적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 앞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될 가능성이 큰 이 새로운 매체의 보다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찾으려고 했다.본 연구를 위해서 경북 구미 D 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영역의 검사와 인지적 영역의 듣기, 말하기 검사를 실시하여 두 개의 동질 집단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비교반과 실험반으로 선정하여 동일한 내용의 교과를 본 연구자가 두 개 반을 대상으로 주당 정규 영어 1시간과 재량영어 1시간으로 12주간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과에 사용되는 교육 자료는 동일하나 실험반을 대상으로는 프로미시언의 전자칠판과 전자칠판을 구성하는 부가품인 엑티브펜, 엑티브완드, 엑티보트를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실험 수업을 촬영하여 멀티미디어 매체 사용 분석법과 과업 집중도 분석법을 이용한 수업 관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전자칠판이 수업 중 어떻게 사용되는지 학생들의 반응은 어떤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또한 다른 지역에서 전자칠판을 사용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여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의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였다.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정의적 영역의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자기주도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의 결과 실험반의 흥미도, 참여도, 자기 주도력에 있어서 비교반에 비해서 긍정적이며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났다. 자신감에 대한 비교에서는 실험반이 더 나은 평균을 보이나 두 반 모두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어서 통계적으로 두 반의 차이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실험반을 대상으로 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반의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 바람직한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둘째, 실험반과 비교반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듣기, 말하기 사전 검사에는 두 반의 동질성이 아주 높았다. 전자칠판을 이용한 상호작용적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반의 듣기, 말하기에 대한 평균이 비교반의 평균보다 높아졌으며 통계적 유의 확률에서도 변화의 유의미성을 보여주었다.셋째, 전자칠판을 이용한 상호작용적 수업을 실시하면서, 전자칠판이 가진 무선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진단이 가능했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수준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사가 상호작용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인지적 영역의 사전 점수를 바탕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을 각각 5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분포를 정리하였다. 사후 검사 후 실험반과 비교반의 5개 하위집단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실험반에서 수준차가 좁혀지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넷째,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을 멀티미디어 매체 사용 분석법과 과업 집중도 분석법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멀티미디어 매체 사용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멀티미디어 사용률이 높으며, 개인, 집단, 전체 학급을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었다. 더불어 과업 집중도 분석을 통해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과업 집중률이 높으며, 듣기와 말하기에 집중한 시간이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다섯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전자칠판을 이용한 상호작용적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도와 학습 참여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영어 실력 향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집중하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 있다고 했으며, 영어 교과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적 컨텐츠를 제공해 주길 바라는 응답이 있었다.전자칠판을 이용한 초등영어 상호작용적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의 정의적 인 면뿐만 아니라 인지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엑티보트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수준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영어과에서 학생들의 수준차가 커져가고 있는 현실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전자칠판과 관련된 연구가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도 영어과에 대한 전자칠판의 확실한 효과를 검증한 연구의 양이 그리 많지 않았다. 국내에서는 전자칠판과 관련된 연구가 전혀 이루어 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전자칠판을 이용한 상호작용적 초등영어 수업의 효과를 통해서 많은 의미 있는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앞으로 전자칠판과 관련하여 영어 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al and interactive English class in Elementary School using Promethen's Activboard, a kind of interactive whiteboard. First of all, this study found general characters and figures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about IWBs. On this basi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and constructed a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WBs. Using this model, experimental classes utilizing the Activboard have been performed to learn the effects and to find better applications for the technology.4th grad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in Gumi, Kyoungbuk province took the test of emotional domains and the listening and speaking test of cognitive domains. With these result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se two groups took two English classes per week for twelve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Activboard, Activpen, Activewand, and Activote during the English classes.To support the effects of this study, an experimental class was recorded and then analyzed for multimedia use and task concentration. It was observed how the IWB was used and how the students responded through the analyses.Also this study gathered various opinions using the IWB and its supplement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and students nationwide.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erformed the test of emotional domains which consisted of interest, self-confidence,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to the group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rea of interest,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self-confide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result. Statistically,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because they were developed altogether. However, the result of the paired samples 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veloped meaningfully. This indicates that the English class using Activboard and its supplements were successful for students' emotional domains.Second, the two groups were almost the same in the pre-test for listening and speaking. After performing interactional and interactive classes using the IWB,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was much higher and its development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in listening and speaking.Third, the diagnosis of the students' starting points was possible by using Activote, a wireless response system in the IWB classroom. The Activote functioned to evaluate students' learning levels. Also, it could help the teacher consider students and teach them according to their levels. On the basis of the pre-test related to cognitive domains, the two groups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five sub groups according to their score levels. This study presented the distribution of each sub group. After the post-test, this study checked the distribution of the two groups again. The result showed that the English class using the Activote changed students' levels desirably and positively.Fourth,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an English class using the IWB by the multimedia use and task concentr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multimedia use analysis presented that the rate of using multimedia was raised. Using the IWB was effective for individuals, small groups and the whole class. In addition, the rate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tasks was increased and time for listening and speaking was much for the students through the task concentration analysis.Finally,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the students. The result showed English classes using the IWB affected students interest and increased participations in learning English. Students also responded that English learning was developed by the classes. Teachers responses showed that students in IWB had more interest and greater concentration in classes. Teachers also expressed that they wanted to have a variety of contents using the Activboard in English teaching.In conclusion, students developed i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omains through the English classes using the IWB. A prominent point was that using the Activot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vels. It could be a meaningful result in the situation that the differences among students became various and broad in English education of Korea.Studies concerned with using IWBs have been performed mainly in the U.S. and U.K. In addition, the study verifying definite effects in English education has not been performed properly in these countries. Also, there is no study about IWBs in Korea. This study obtained various implications through the interactional and interactive English classes using the IWB. In the future, new studies will be needed concerning IWBs in the various fields of English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