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성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상실감과 자존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Women’s Body Image on Sexual Function after Pueperiu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상실감과 자존감이 순차적 매개 효과를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산욕기 후 여성으로 성적 행위를 경험한 18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신체 이미지 척도, 상실감 척도, 자존감 척도, 성적 기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였으며 순차적 매개 효과를 통계적 분석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신체 이미지가 상실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상실감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신체 이미지와 상실감은 자존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 이미지가 자존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실감이 자존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상실감, 자존감이 성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신체 이미지와 자존감이 성적 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 이미지가 성적 기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실감이 성적 기능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존감은 성적 기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실감과 자존감의 매개 효과 결과,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 관계에서 상실감과 자존감의 다중매개 효과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 관계에서 상실감의 단순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 관계에서 자존감의 단순 매개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실감, 자존감의 순차적 매개 효과 결과, 신체 이미지가 상실감을 경유하여 자존감을 거쳐 성적 기능 경로로 상실감과 자존감이 순차적 매개 효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욕기 후 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성적 기능 관계에서 상실감과 자존감의 순차적 매개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산욕기 후 여성의 성적 기능을 높이기 위해 상실감, 자존감을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산욕기 후 여성의 성적 기능을 증진 시키기 위해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고려하여 성적 기능에 관련된 심리적 상담과 성적 기능장애를 극복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play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Study subjects were 184 women who experienced after pueperium sexual relations and the data of them were used in final analysis. As the tools of measurement, this study used body image scale, sense of loss scale, self-esteem scale and sexual func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3.0,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examin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 of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on sense of loss, body image had negative effect on sense of loss. As for the effect of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and sense of loss on self-esteem, body image and sense of lo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In other words,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but sense of los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s for the effect of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on sexual function, body image and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function. In other words,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function, but sense of lo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function. However,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function. Second,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multi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was significant. Third, as fo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through the influential channel of body image→ sense of loss → self-esteem → sexual function. Above study findings are seemingly significant in that they could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after pueperiu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Study findings present the fact that in order to improve women’s after pueperium sexual function,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sense of loss and self-esteem. In this vein, the author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women’s after pueperium sexual func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exual function-related consultations by psychological taking diverse influential psychological factors and develop a exercise program with which after pueperium women can overcome sexual mal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