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확장에 따른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 A Study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by the Revolution and Expansion of Technolog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Responsive Identity Design’ is defined as an evolved identity design which was developed by the technology evolution and expansion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transcendental experience by preparing and composing a logical basis for the role and style of the Responsive Identity Design which will further develop in a rapidly changing technology environment. As Stefan Sagmeister stated in his famous quote, “Static identity design is not always the answer,” the evolved identity design was finally actualized by the ‘participation identity design’ such as the ‘Generative Logo’ beyond the flexibility identity design in a participation of social-cultural environment. Likewise, I could insist on the logic through the inductive assertion and reasoning that the identity design in a drastically evolving and developing technology environment must become an identity design with new styles and functions. The changes of media environment, society, and technology system have been accomplished, and the prelude of ‘Responsive mechanism' expansion is happening all around the world. It did not take a long time for the infrastructure of responsiveness caused by participation and personalized society, ‘contextual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three dimensional display,’ and ‘social network service’ to formulate the equation of ‘convenience of devices’ and ‘socialization.’ Technologies such as ‘Responsive web design', ‘Semantic web', ‘Big-data', ‘Cloud computing', ‘N-screen' are strongly explaining the logical appearance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In this time and environment, I have provided a conceptual definition and accomplished the structure typology of the core properties through the study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For the logical probability of typology, I induced a cognitive graft between the ‘Subjective properties' and ‘Objective properties' of ‘World 2' and ‘World 3' appear in “Three Worlds” written by Karl Popper. Additionally, I wanted to establish a more substantial identity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by defining the fiv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onsistence,' ‘flexibility,' ‘extensity,' ‘contextuality,' and ‘intensity’ which are the components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phenomenon, I proceeded many case studies in the portent of the responsive identity design; ‘in the response to globalization of domestic identity design cases', ‘in the response to diversification of global identity design cases', in the response to periodical trend of event identities cases', and ‘in the response to media transition of IT technology identities cases.' These kinds of case studies have been an important source for the identity design trend changes and the analysis of identity design direction for the recent 10 years. Furthermore, this phenomenon has helped me to deduce a social phenomenon keyword, “responsive.” And in the end, it has become the current research subject which signifies the evolution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This research could be the process and social phenomenon for the evolution of 'Responsive Identity Design' in an expanded social culture and future technology environment.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Responsive Identity Design)’은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확장에 의해 변화된 환경에서 전개되는 진화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급변하는 테크놀로지 환경을 통해 앞으로 전개될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역할과 형태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구성하고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준비를 위한 선험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고정된 아이덴티티가 능사는 아니다”라는 생각을 오랫동안 해 온 ‘스테판 사그마이스터(Stefan Sagmeister)'의 사고와 같이 진화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참여(Participation)'의 사회문화 환경 속에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Flexible identity design)'을 넘어 결국 ‘제너레이티브 로고(Generative Logo)'와 같은 ‘참여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실현을 이루었다. 이와 같이 급격히 진화하고 발전하는 테크놀로지와 사회 환경에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새로운 방법과 기능을 지닌 진화된 형식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연구자는 귀납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 사회의 변화, 테크놀로지 생태계의 변화가 모두 이루어지고 ‘반응형 메커니즘(Responsive mechanism)'의 확산에 대한 전조(前兆)가 글로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참여와 개인화 사회로 인해 나타난 반응성, ‘맥락적 정보(Contextual information)’,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입체 공간 디스플레이’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프라는 ‘매체의 효율적 등장’과 ‘사회화’의 등식을 구성하는 데 길지 않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반응형 웹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 ‘시맨틱 웹(Semantic Web)’과 ‘빅데이터(Big Data)'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N스크린'과 같은 테크놀로지는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등장 배경을 논리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기와 환경에서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연구하여 그 개념적 정의를 규정하고 핵심적 특징에 대한 유형화를 이루었다. 유형화의 논리적 개연성을 위하여 연구자는 ‘칼 포퍼(Karl Popper)'의 ‘Three Worlds'에 등장하는 ‘World 2', ‘World 3'의 ‘주체적 특성(Subjective properties)’과 ‘객체적 특성(Objective properties)'에 대한 인식적 접목을 유도했다. 그리고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다섯 가지 중요한 특징들이라고 할 수 있는, ‘일관성(Consistence)', ‘가변성(Flexibility)', ‘공간성(Extensity)', ‘맥락성(Contextuality)', ‘강도성(Intensity)'을 규정함으로써 연구자는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더욱 견고한 개념을 정립하고자 했다. 또한 연구자는 현상적 관점에서의 반응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전조를 ‘글로벌화에 반응한 국내 아이덴티티 사례', ‘사업 다각화에 반응한 글로벌 아이덴티티 사례', ‘시대적 트렌드에 반응한 이벤트 아이덴티티 사례', ‘미디어 변천에 반응한 IT 테크놀로지 아이덴티티 사례'로 구분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사례 연구는 최근 10년간 나타나고 있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변화와 움직임, 그리고 방향 분석에 대한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구자로 하여금 ‘반응형'이라는 사회 현상적 키워드를 도출하게 했다. 그리고 결국 이를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의 진화를 위한 의미 있는 현재의 연구 대상이 되게 했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등장하게 될 미래 테크놀로지의 확장된 사회문화 환경에서 ‘반응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의 진화를 위한 의미 있는 과정과 사회현상이 되었다고 할 수 있었다.